검색창 열기

Electronics 전기/전자

LG전자-마그나, 주식매매절차 완료...車전장 3개축 재편

URL복사

Wednesday, July 28, 2021, 16:07:28

LG전자, 합작사 지분 51% 확보

 

인더뉴스 이진솔 기자 | LG전자(대표 권봉석·배두용)와 자동차 부품 업체 마그나 인터내셔녈(이하 마그나)이 28일 합작법인 ‘엘지마그나 이파워트레인’에 대한 주식매매절차를 완료했다고 이날 밝혔습니다.

 

이로써 LG전자는 인포테인먼트(VS사업본부), 차량용 조명(ZKW), 전기차 파워트레인(LG마그나 이파워트레인) 등 전장사업 3개 축을 완성했는데요. 향후 먹거리로 꼽히는 미래차 공략에 가속화할 것으로 보입니다. 

 

LG전자는 이달 1일 전기차 파워트레인 관련 사업을 물적분할해 100% 자회사인 엘지마그나 이파워트레인을 설립했습니다. 이날 마그나에 이 회사 주식 49%를 매각해 LG전자와 마그나 간 합작법인 주식매매절차를 마쳤습니다. 마그나는 지분 확보를 위해 약 4억5300만 달러(약 5213억원)를 투자했습니다. LG전자는 나머지 지분 51%를 보유하게 됩니다.

 

엘지마그나 이파워트레인은 전기차에 들어가는 모터, 인버터 등 전기차 파워트레인(동력전달장치)을 구성하는 부품을 개발하는 데 주력합니다. 주로 구동시스템(모터·인버터·감속기가 모듈화된 형태), 차량 탑재형 충전기 등을 생산할 예정입니다.

 

합작법인 본사 소재지는 인천광역시입니다. 이 회사 자회사로는 미국 미시간주에 있는 엘지마그나 이파워트레인 미국법인(LG Magna e-Powertrain USA Inc.)과 중국에 있는 엘지마그나 이파워트레인 난징법인(LG Magna Nanjing e-Powertrain Vehicle Components Co., Ltd.)이 있습니다.

 

엘지마그나 이파워트레인은 이달 1일 창립총회를 열고 LG전자 VS사업본부에서 전기차 파워트레인 사업을 맡아온 정원석 상무를 대표이사에 선임했습니다. 합작법인은 내달 열릴 이사회에서 주요 경영진을 선임할 예정입니다. 최고운영책임자(COO)에는 마그나에서 아시아 지역 제품 생산과 품질 관리를 총괄했던 하비에르 페레즈(Javier Perez) 부사장이 내정됐습니다.

English(中文)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 news.

배너

More 더 읽을거리

이진솔 기자 jinsol@inthenews.co.kr


4월 전국 2.6만가구 입주 예정…대구지역 역대 최대

4월 전국 2.6만가구 입주 예정…대구지역 역대 최대

2023.03.20 16:02:35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내달 전국에서 총 2만6665가구의 아파트가 집들이에 나설 예정인 가운데 임대아파트 입주 예정물량이 올해 월별 최다인 것을 집계됐습니다. 20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4월 전국 총 41개 단지에서 총 2만6665가구(임대 포함)의 아파트가 입주에 들어갈 예정입니다. 4월 기준으로만 볼 경우 2018년 2만9841가구 이후 가장 많은 물량입니다. 임대 입주예정 물량의 경우 총 7875가구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4월 총 예정물량 대비 29.5% 수준임과 동시에 올해 월별로 따질 경우 가장 많은 수치입니다. 부산 남구 우암동 일원에 공급되는 민간임대 대단지인 'e편한세상 북항마린브릿지(3018가구)'가 내달 입주 예정에 있는 것이 4월 전체 임대 입주예정 물량 숫자를 이끈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광역시도별로 4월 아파트 입주예정물량을 볼 경우 경기도가 1만1253가구로 가장 많은 가운데 대구(3498가구), 부산(3018가구), 대전(1747가구), 경북(1717가구) 등의 순으로 집계됐습니다. 서울의 경우 총 268가구로 조사됐으며 모든 물량이 공공임대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1만가구 이상이 입주에 들어갈 예정인 경기도는 양주(2419가구), 화성(1730가구), 안산(1714가구), 광주(1108가구) 등의 순으로 집들이 물량이 많았습니다. 지방서 가장 물량이 많은 것으로 조사된 대구의 경우 동월 기준 2000년 조사 이래 최다 물량이 집들이에 나서는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여경희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임차인을 구하지 못하거나 대출이 어려워 입주가 늦어지는 경우 외에 시공사의 공사 지연 및 공사비 갈등으로 입주시기가 밀리는 단지들도 등장하고 있다"며 "입주예정자들은 입주시기를 지속 체크하며 지연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대출 등 이사계획을 세우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본다"고 밝혔습니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