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Bank 은행

[2024 연간실적] KB금융 ‘순익 5조’시대 활짝…‘리딩금융그룹’ 위상강화

URL복사

Wednesday, February 05, 2025, 18:02:02

금융지주 최초 순익 5조782억원 달성
비은행 계열사 기여 순이자익 12.8조
CET1비율 13.51%로 업계 최고 수준
은행 3.3조·손해보험 8395억원 순익

 

인더뉴스 문승현 기자ㅣKB금융그룹(회장 양종희)은 2024년 연간 당기순이익(지배기업지분순이익)이 5조782억원을 기록했다고 5일 밝혔습니다.


2023년 4조5948억원 대비 10.5%(4834억원) 증가한 역대 최대 실적입니다. 이로써 KB금융은 국내 금융그룹 최초로 연간 순이익 5조원 시대를 활짝 열며 '리딩금융그룹'으로서 위상을 굳건히 했습니다.


부문별 경영실적을 보면 KB금융의 지난해 순이자이익은 12조8267억원으로 전년 대비 5.3%(6458억원) 불었습니다. 작년 순이자마진(NIM) 하락추세에도 금리인하 기대감에 대출수요가 확대되면서 은행의 대출자산 평잔이 증가하고 카드·보험 등 비은행계열사의 이자이익 기여도가 꾸준히 확대된데 힘입었습니다.


그룹과 은행의 지난해 NIM은 각각 2.03%, 1.78%로 전년 대비 5bp(0.05%p)씩 떨어졌습니다. KB금융은 "4분기 단행된 2차례 기준금리 인하영향이 시장금리에 조기반영됐지만 은행 NIM은 전년대비 5bp 하락하는데 그쳐 내실중심의 수익성 관리역량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고 스스로 평가했습니다.


작년 순수수료이익(3조8496억원)은 주가연계증권(ELS) 판매중지, 부동산PF 시장침체 등 영향으로 은행과 부동산신탁의 신탁보수가 감소했음에도 4.8%(1761억원) 증가했습니다. 신용카드 수수료손익이 997억원 늘고 IB부문 증권업수입수수료가 확대된 결과입니다.

 


지난해 4분기만 보면 순이익은 6829억원으로 전년 동기(2183억원) 대비 3배 넘게(212.8%·4646억원) 증가했습니다. 다만 직전 3분기 순이익(1조6140억원)에는 크게 미치지 못했습니다. 희망퇴직비용 등 거액의 일회성 비용인식, 환율상승과 주가하락에 따른 유가증권 및 파생·외환 관련 손익 감소, 계절적 요인으로 인한 보험실적 축소 등 영향에 전분기 대비 57.7% 줄었습니다.


주주환원 기반이 되는 보통주자본비율(CET1)은 작년 12월말 기준 13.51%로 업계 최고 수준입니다. 4분기 순이익 규모 감소와 환율급등 등 여러 하락요인에도 포트폴리오 리밸런싱 노력을 기울여 차별화된 자본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KB금융의 2024년 12월말 기준 총자산은 757조8000억원, 관리자산(AUM)을 포함한 그룹 총자산은 1276조3000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주요 계열사 경영실적을 보면 KB국민은행은 지난해 3조2518억원의 순이익을 냈습니다. 전년 대비 0.3%(97억원) 소폭 감소한 것입니다. 4분기 순이익은 6339억원으로 환율상승에 따른 유가증권 및 파생·외환 관련 손익 감소, 일회성 희망퇴직 비용인식 등 영향으로 전분기(1조1120억원) 대비 43% 줄었습니다.


작년 12월말 기준 원화대출금은 363조6000억원입니다. 9월말 대비 0.5%, 전년말 대비 6.4% 불었습니다. 이중 가계대출(176조8000억원)은 기준금리 인하와 부동산시장 거래량 증가에 따른 대출수요 확대로 전년말 대비 6.2% 증가했습니다. 기업대출(186조8000억원)도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가면서 전년말 대비 6.6% 늘었습니다.

 


주요 건전성 지표인 고정이하여신(NPL)비율(연체 3개월 이상 기준)은 작년 12월말 기준 0.32%, 연체율은 0.29%로 안정적인 수준에서 관리되고 있다고 설명합니다.


KB증권의 2024년 당기순이익은 5857억원으로 전년 대비 50.3%(1961억원) 큰폭 증가했습니다. 4분기 순이익은 389억원입니다.


KB손해보험은 지난해 17.7%(1262억원) 증가한 8395억원의 순이익을 냈습니다. 미보고발생손해액(IBNR) 적립방법 변경 관련 준비금 환입과 장기 인보험 신규 증대로 보험영업손익이 크게 확대된 결과입니다. 4분기 순이익은 995억원입니다.


KB국민카드의 2024년 당기순이익은 4027억원으로 전년 대비 14.7%(516억원) 증가했습니다. 신용손실충당금 증가에도 유실적회원·금융자산 성장과 모집비용 효율화로 총영업이익이 늘어난 영향입니다. 4분기 순이익은 323억원입니다.


KB라이프생명은 신계약 매출증가, 사업비 효율화 등 보험손익 증가에 힘입어 전년 대비 15.1%(353억원) 증가한 2694억원의 당기순이익(개별기준)을 냈습니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More 더 읽을거리

문승현 기자 heysunny@inthenews.co.kr

배너

삼성증권, 업계 첫 예탁자산 30억원 이상 고객 5천명 돌파

삼성증권, 업계 첫 예탁자산 30억원 이상 고객 5천명 돌파

2025.10.22 10:48:06

인더뉴스 박호식 기자ㅣ삼성증권은 업계 최초로 예탁자산 30억원 이상 고객 5000명을 돌파했다고 22일 밝혔습니다. 삼성증권에 따르면 지난 9월 말 기준 자산 30억원 이상 고객 수는 5449명으로 2020년 말 대비 91% 증가했습니다. 자산 30억원 이상 고객 수의 증가율을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30대(194%), 40대(184%), 20대(178%), 50대(147%), 60대(93%), 70대 이상(39%) 순으로, 젊은 세대의 신규 유입이 초부유층 고객 수의 성장을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들의 자산 포트폴리오 내 현금 비중은 2020년 말 23.0% 수준에서 2025년 9월 말 11.5%로 11.5%포인트 감소하며 투자 자산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추세가 확인됐습니다. 전체 자산에서 해외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2020년 말 12.6%에서 2025년 23.2%로 10.6%포인트 증가했습니다. 주로 국내외 채권과 해외주식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고금리 환경에서 절세 메리트가 높은 저쿠폰 국채 그리고 글로벌 AI 인프라 및 대형 기술주를 중심으로 한 해외주식 포트폴리오 구성이 이유로 분석됩니다. 올 들어서는 새 정부의 증시부양 정책 기대감에 발맞춰 국내주식 투자 비중도 5.1%포인트 확대되는 등 30억원 이상 고객들은 시장 변화에 기민하게 대응하는 모습입니다. 이들의 국내 주식 매매 상위 종목은 삼성전자, 두산에너빌리티, SK하이닉스, 한화오션, 알테오젠, 네이버,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카카오, 현대로템 순입니다. AI 반도체 핵심 대형주와 더불어 정책 수혜가 기대되는 방산, 원전, 인프라 관련 종목에 대한 집중적인 투자 등 공격적인 수익 추구 경향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삼성증권은 해석했습니다. 삼성증권 관계자는 “삼성증권의 자산관리 경쟁력은 ‘SNI’라는 초고액자산가 전담 브랜드를 기반으로 성장했다”며 “2003년 업계 최초로 자산관리 서비스를 도입한 이후, 2010년 초고액자산가 전담 브랜드 SNI를 선보이며 줄곧 업계를 선도하는 자산관리 명가로서의 역사를 써왔다”고 말했습니다. 삼성증권은 지난 20여 년간 축적한 투자 노하우를 기반으로 PB(프라이빗 뱅커)의 컨설팅 역량, 최적화된 상품 솔루션, 그리고 강력한 인프라를 결집한 독보적인 자산관리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유정화 삼성증권 SNI/법인전략담당 상무는 “예탁자산 30억원 이상 고객 5000명 달성은 고객이 보내준 신뢰의 상징”이라며 “고객 중심 가치를 최우선에 두고 대한민국 대표 증권사로서 업계를 선도하겠다”고 말했습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