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권용희 기자ㅣKT[030200]는 올해 2분기 연결 기준 실적을 집계한 결과 영업이익 576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5.5% 늘어났다고 7일 공시했습니다.
매출액은 6조5475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6조3122억원 대비 3.7% 늘었습니다. 당기 순이익은 지난해 같은 기간 3634억원 대비 19% 늘어난 4325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KT는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사업경비 증가 등 불확실한 경영환경 속에서도 수익성 개선에 성공하며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증가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사업부문별로 살펴보면 유무선 사업(텔레코 B2C)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0.8% 증가한 2조3902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KT는 무선, 인터넷 프리미엄 가입자의 지속적인 확대와 더불어 해외 여행객 증가에 더해 외국인 관광객의 국내 로밍 수요가 늘어나며 매출이 증가했다고 설명했습니다.
2분기 무선 가입자 수는 약 2462만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약 2340만명 대비 120만명 가량이 늘었습니다. 초고속 인터넷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7% 늘어난 6124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플랫폼 사업(디지코 B2C) 매출은 미디어, 모바일 플랫폼 성장세에 힘입어 지난해 같은 기간대비 3.8% 성장한 5756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이중 IPTV, 옥외광고, 콘텐츠 제작 등 미디어 매출은 5180억원이었고 금융 플랫폼, 콘텐츠마켓, IoT 등 모바일 플랫폼 매출은 577억원을 기록했습니다.
IPTV사업은 VOD, OTT 결합요금제 및 프리미엄 요금제 중심으로 가입자가 늘어나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2% 증가했습니다.
B2B 고객 대상 통신사업(텔레코 B2B)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7.6% 증가한 5469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CCTV용 전용회선 성장 지속 및 중소 CP사 수주 확대 등으로 기업인터넷/데이터 매출은 5.2% 늘었고, 자급제와 MVNO 확대 영향으로 기업통화는 전년 동기 대비 12.3% 증가했습니다.
B2B 플랫폼 사업(디지코 B2B) 매출은 기존에 수주한 대형 프로젝트의 매출 발생과 부동산 사업 회복세가 지속되며 전년 동기 대비 0.6% 증가한 5059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KT 그룹 계열사는 금융, 부동산, 콘텐츠, DX 등 핵심 포트폴리오 중심으로 성장세를 이어갔습니다.
BC카드는 신용카드 매입액 증가와 더불어 자체카드 발행 및 대출사업 등 신사업 성장으로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5.9% 증가했습니다. 케이뱅크는 2021년 2분기부터 아홉 분기 연속 영업 흑자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부동산 사업은 호텔사업 회복세와 아파트 분양사업으로 성장세를 바탕으로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48.8% 증가했습니다. 에스테이트는 서울시내 총 5개의 호텔을 운영 중에 있으며, 해외관광객 증가로 호텔 객실 점유율이 개선됐습니다.
KT스튜디오지니와 스카이TV는 올해 상반기 7편의 오리지널 드라마와 5편의 오리지널 예능을 편성했습니다. 다만 경기 침체에 따른 광고시장과 커머스 시장 침체로 콘텐츠 자회사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5.8% 감소했습니다.
KT클라우드는 AI 클라우드 본격화와 IDC DBO 사업 수주에 힘입어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8.5% 증가했습니다.
KT는 신임 CEO 최종 확정으로 지배구조 안정화에 나선다는 계획입니다. KT는 지난 4일 이사회를 열고 김영섭 전 LG CNS 사장을 최종 후보로 확정했습니다. 오는 30일에는 2차 임시주주총회를 열고 최종 선임 절차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김영진 KT 최고재무관리자(CFO)는 "KT는 인플레이션과 경기침체 등 어려운 대외 환경에서도 B2C와 B2B 사업의 균형 잡힌 성장과 KT그룹 사업 포트폴리오의 성장성을 증명하며 시장의 기대를 뛰어넘는 실적을 기록했다"며 "신임 CEO 후보자 확정으로 하반기에는 안정적인 경영체제 속에서 실적 개선을 이어가며 기업가치 향상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