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엔비디아가 우리나라 정부와 삼성전자·SK그룹·현대차그룹·네이버 등 국내 4개 기업에 최대 14조원 규모로 추정되는 GPU(그래픽처리장치) 26만장을 공급합니다.
국내 기업은 이를 기반으로 엔비디아의 'AI 인프라 생태계'에 참여하고 AI 팩토리 등 인프라를 구축해 스타트업 등에 모두 공개할 계획이어서 한국의 AI 인프라 구축과 전환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엔비디아는 또 국내 기업들과 6세대 이동통신(6G), 의료, 양자컴퓨팅 부문에서도 폭넓게 협력키로 하는 등 ‘경주 APEC’에서 광폭의 행보를 보이고 있습니다.
엔비디아는 31일 대한민국과 협력해 클라우드와 AI 팩토리를 중심으로 26만개의 GPU를 포함하는 전국 규모의 AI 인프라 확장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이번 인프라는 공공과 민간 부문이 함께 구축하며 자동차·제조·통신 등 한국 주요 산업 전반의 AI 기반 혁신과 경제 성장을 견인할 핵심 토대가 될 예정입니다.
한국은 26만개에 달하는 엔비디아의 최신 GPU 블랙웰을 활용해 AI 인프라를 구축하고, 자동차·제조·반도체·통신 등 주요 산업의 AI 개발과 디지털 전환을 가속한다는 게 주요 내용입니다.
정부는 최대 5만개 GPU를 배치해 기업과 산업의 AI 개발을 지원합니다. 삼성전자와 SK그룹, 현대차그룹은 각각 최대 5만개의 GPU를, 네이버클라우드는 6만개의 GPU를 도입합니다.
엔비디아 측은 "새로운 블랙웰 인프라로 한국의 전체 AI GPU 수량은 6만5000개에서 30만개 이상으로 증가할 것"이라며 "이로써 한국은 세계적 수준의 AI 리더가 될 토대를 마련하게 됐다"고 평가했습니다.
엔비디아는 최근 공급 물량 부족 현상이 발생하고 있는 GPU를 한국 정부와 기업이 우선 할당받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방침입니다. 엔비디아가 ‘AI 산업혁명’ 무대로 한국을 낙점했다는 의미로 풀이됩니다.
한국이 반도체·제조·통신·게임·AI 스타트업 등 탄탄한 산업 밸류체인을 갖추고 있는 점이 크게 작용했단는 분석입니다.
삼성전자는 향후 수년간 엔비디아의 5만개 GPU를 도입해 업계 최대 수준의 ‘반도체 AI 팩토리’ 구축에 나섭니다. 또 엔비디아의 시뮬레이션 라이브러리 '옴니버스' 기반 디지털 트윈 제조 환경 구현을 가속화할 예정입니다.
삼성전자가 추진하는 AI 팩토리는 반도체 제조 과정에서 생성되는 모든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해 스스로 학습하고 판단하는 지능형 제조 혁신 플랫폼입니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엔비디아는 이미 AI 시대를 내다본 혁신 기업"이라며 "앞으로도 엔비디아와 함께 변화를 주도하고, 미래를 위한 새로운 표준과 혁신을 앞당기겠다”고 말했습니다.
SK그룹은 엔비디아의 GPU와 제조 AI 플랫폼 ‘옴니버스’를 활용한 ‘제조 AI 클라우드’ 구축에 나섭니다.
SK그룹은 이를 제조업 관련 공공기관, 스타트업 등에도 개방해 대한민국 제조업 생태계가 AI 기반으로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계획입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엔비디아와 협력해 AI를 국내 산업 전반의 혁신을 이끄는 엔진으로 만들고 있다”며 “이를 통해 산업 전반이 규모, 속도, 정밀도의 한계를 넘어서게 될 것이고, SK그룹은 차세대 메모리, 로보틱스, 디지털 트윈, 지능형 AI 에이전트를 구동할 인프라를 구축할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현대자동차는 엔비디아와 ‘AI 기반 모빌리티’를 구동할 블랙웰 AI 팩토리를 구축할 계획입니다. 5만개의 엔비디아 GPU를 탑재하는 이 AI 팩토리는 자율주행차, 스마트 팩토리, 로보틱스 분야의 거대 모델들을 훈련하기 위한 것입니다. 현대차는 정부와 국내 피지컬 AI 분야 확장을 위해 30억달러를 공동 투자할 계획입니다.
네이버클라우드는 엔비디아와 현실 공간과 디지털 공간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차세대 '피지컬 AI' 플랫폼을 공동 개발키로 했습니다. 또 반도체·조선·에너지 등 국가 주력 산업을 중심으로 AI 인프라를 구축해 산업 현장의 AI 활용을 지원할 계획입니다.
이해진 네이버 의장은 "자동차의 SDV 전환이 보여주듯 AI가 실제 산업 현장과 시스템 속에서 작동하는 '피지컬 AI'의 시대가 열리고 있다"며 "네이버는 AI와 클라우드 기술로 기업이 데이터를 더 잘 활용하고 산업이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라고 말했습니다.
LG전자는 엔비디아와 협력해 피지컬 AI, 디지털트윈 등 차세대 기술 혁신 가속화에 나섭니다. 엔비디아의 다양한 AI 플랫폼 생태계에 합류해 로보틱스 기술 역량을 고도화한다는 계획입니다.
디지털트윈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등 차세대 기술도 고도화합니다. LG AI연구원의 초거대 AI 모델 '엑사원'을 활용해 스타트업과 학계의 암 진단 연구 생태계를 지원할 예정입니다.
또 LG AI연구원, 네이버클라우드, NCAI, SK텔레콤, 업스테이지와 엔비디아의 네모 트론 등을 활용해 소버린 LLM을 개발합니다.
엔비디아는 AI 네이티브 6세대 이동통신(6G) 무선 네트워크, AI 무선접속망(RAN) 개발에도 협력합니다.여기에는 삼성전자,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연세대학교가 참여합니다.
이와 함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는 앤비디아와 험깨 양자 컴퓨팅 및 과학 발전을 위한 공동연구센터 설립을 추진합니다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대한민국은 기술과 제조 분야에서 선도적 입지를 갖추고 있으며, 이는 대한민국이 AI 산업 혁명의 중심에 서 있음을 보여준다. 이 산업혁명에서 가속 컴퓨팅 인프라는 전력망과 광대역만큼 중요한 기반이 되고 있다”며 “한국의 물리적 공장이 정교한 선박, 자동차, 반도체, 전자제품으로 세계에 영감을 주었듯, 이제는 인텔리전스라는 새로운 수출품을 생산하며 글로벌 변화를 이끌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3분기 실적] 롯데하이마트, 누적 영업익 184억원…3분기 연속 수익성 개선](https://www.inthenews.co.kr/data/cache/public/photos/20251044/art_17618778599179_f7220b_120x90.jpg)
![[3분기 실적] KB금융 순익 5조 깨고 전인미답 6조 향해 간다](https://www.inthenews.co.kr/data/cache/public/photos/20251044/art_17618244330917_f81756_120x90.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