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빙그레(대표 전창원)는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25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0.3% 증가했다고 14일 공시했습니다.
3분기 매출은 3906억원으로 전년 대비 10.2% 증가했고 당기순이익은 46.4% 늘어난 202억원을 기록했습니다.
빙그레 관계자는 "해태아이스크림 흑자 전환 및 해외법인 성장으로 3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증가했다"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빙그레(대표 전창원)는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25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0.3% 증가했다고 14일 공시했습니다.
3분기 매출은 3906억원으로 전년 대비 10.2% 증가했고 당기순이익은 46.4% 늘어난 202억원을 기록했습니다.
빙그레 관계자는 "해태아이스크림 흑자 전환 및 해외법인 성장으로 3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증가했다"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삼양식품(대표 김정수)은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이 19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7.2% 증가했다고 14일 공시했습니다. 3분기 매출은 2115억원으로 전년 대비 30.8% 증가했고 당기순이익은 111.9% 늘어난 312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삼양식품에 따르면 3분기 국내외 신제품 출시 및 해외 유통채널 다변화에 따른 수출 호조세가 지속되며 매출이 증가했습니다. 삼양식품 관계자는 "원재료비를 포함한 부자재·인건비·유틸리티 등 제반 비용 부담이 지속되고 있다"며 "사업구조 효율화와 비용 절감 등을 통해 수익성 확보에 집중할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11번가(사장 하형일)가 익일배송 서비스 ‘슈팅배송’ 성장에 힘입어 분기 최고 매출액을 달성했습니다. 14일 공시된 SK스퀘어의 분기보고서와 IR자료에 따르면 11번가의 올해 3분기 매출은 189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3% 증가했습니다. 직전 분기 대비로는 34% 증가한 수치로 2018년 독립법인 출범 이후 가장 높은 분기 매출액입니다. 3분기 당기순이익은 일회성 법인세 수익이 반영돼 24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영업손실은 364억원으로 전년 대비 영업적자 폭이 확대됐습니다. 이커머스 경쟁시장 대응에 따른 마케팅 비용 증가가 주 요인입니다. 직전 분기보다는 적자 폭을 87억원 줄였습니다. 11번가는 3분기 매출액 성장의 요인으로 슈팅배송을 통한 익일배송 서비스 성장을 꼽았습니다. 11번가 슈팅배송 3분기 거래액은 지난 2분기 대비 3.9배 규모 증가했으며, 월 평균 이용 고객 수는 46%, 인당 구매금액은 166% 증가했다는 설명입니다. 지난 1일부터 11일까지 진행된 11번가의 ‘그랜드 십일절’에도 슈팅배송을 찾는 고객이 늘었습니다. 그랜드 십일절 11일간 슈팅배송 거래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5배 이상 증가했습니다. 슈팅배송 직매입 품목의 무리한 확장 대신 고객 수요를 기반으로 한 계획적인 판매 품목 확대에 집중하고 있다고 회사는 설명했습니다. 특히 지난 6월 말 론칭한 ‘Apple 브랜드관’은 슈팅배송을 통해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 11번가는 늘어난 연말 수요에 대비해 물류센터 가동 효율을 높일 계획입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CJ제일제당(대표 손경식·최은석)은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매출이 5조139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1.7% 증가했다고 14일 공시했습니다. 자회사 CJ대한통운을 제외한 CJ제일제당의 분기 매출이 5조원을 넘은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해외 매출 비중은 약 62%를 넘어섰고 3분기 영업이익은 3867억원으로 전년 대비 20.0% 증가했습니다. 식품사업부문은 비비고 브랜드 중심의 K-푸드 해외 판매 호조 등에 힘입어 매출 3조558억원, 영업이익 209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8.4%, 12.5% 증가했습니다. 식품사업은 사상 최초로 분기 매출 3조원, 영업이익 2000억원을 넘겼습니다. 해외 사업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22.8%, 50% 이상 늘었습니다. 주요 사업국가에서 비비고 브랜드 글로벌전략제품(GSP)을 중심으로 확장을 이어갔고, 고수익 핵심제품군 판매 증가 등으로 수익성이 개선됐습니다. 특히 슈완스는 생산성 개선과 고정비 절감 등으로 영업이익이 두 배 이상 늘었습니다. 국가별로 K-푸드 영토확장도 이어갔습니다. GSP 매출이 40% 이상 늘어난 미국뿐 아니라 유럽(+67%), 중국(+29%) 등에서 매출이 증가했습니다. 미국의 경우 그로서리 채널 만두 매출이 62% 늘면서 시장점유율이 44%를 돌파, 1위 지위를 지켰습니다. 냉동 레디밀 매출은 81% 늘었습니다. 국내 식품 매출은 1조6736억원으로 전년 대비 15.1% 신장했습니다. 소비 트렌드 변화에 맞춘 제품을 지속 선보였고, 온라인·B2B(기업 간 거래)·편의점 등 성장 채널의 유통 비중을 확대했습니다. 아울러 전 가치사슬(VC)에 걸친 비용 감축 노력으로 전방위적인 비용 및 원가 상승에 대응했습니다. 아미노산과 조미소재 등 그린바이오가 주력인 바이오사업부문 매출은 25.4% 증가한 1조3094억원으로 2개 분기 연속으로 1조3000억원을 돌파했습니다. 영업이익은 25.8% 증가한 1603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사료·축산 독립법인 CJ Feed&Care는 매출 7747억원, 영업이익 171억원으로 같은 기간 각각 28.9%, 94.3% 늘었습니다. 최근 베트남과 인도네시아 등 주요 사업국가의 축산 가격이 상승세로 전환되고 생산성 향상을 지속하면서 수익성이 개선됐다는 설명입니다. CJ제일제당 관계자는 "미래 준비를 위한 고부가가치 신제품 개발 및 신사업 강화, R&D(연구개발) 투자를 통해 구조적 경쟁력을 확보하고 성장을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대상(대표 임정배)은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34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0% 감소했다고 14일 공시했습니다. 3분기 매출은 1조616억원으로 전년 대비 15.8% 증가했고 당기순이익은 76.4% 줄어든 53억원을 기록했습니다. 3분기 누적 매출액은 3조747억원으로 전년보다 19.9% 증가했지만 누적 영업이익은 1258억원으로 7.4% 감소했습니다. 대상 관계자는 "즉석 간편식 및 신선식품류 판매량 증가, 라이신 시장 호황에 따른 매출 성장, 글로벌 K푸드 인기에 따른 김치·김·떡볶이 등 식품 매출이 오르면서 매출이 증가했다"며 "다만 국내외 원부재료 가격 상승의 영향으로 영업이익이 감소했다"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SPC삼립은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23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6.9% 증가했다고 14일 공시했습니다. 3분기 매출은 8835억원으로 전년 대비 18.4% 증가했고 당기순이익은 177.9% 늘어난 154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오뚜기(대표 함영준·황성만)는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44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5% 감소했다고 14일 공시했습니다. 3분기 매출은 8216억원으로 전년 대비 16.2% 증가했고 당기순이익은 21.0% 감소한 256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오뚜기 관계자는 "지난 3분기는 간편식, 소스류 및 유지류 등이 꾸준하게 성장해 매출의 성장이 이어졌다"며 "반면 원자재 및 구매가 상승 등으로 인해 영업이익은 감소했다"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농심(대표 박준)은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27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2% 감소했다고 14일 공시했습니다. 3분기 매출은 8130억원으로 전년 대비 20.8% 증가했고 당기순이익은 11.7% 늘어난 234억원을 기록했습니다. 농심 관계자는 "매출액은 국내시장 여건 개선 및 주력브랜드 매출 확대, 미국 등 해외법인의 지속 성장으로 증가했다"며 "영업이익은 원·부자재 가격 상승 부담이 지속되며 감소했다"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오리온그룹은 오리온이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121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6% 증가했다고 14일 공시했습니다. 3분기 매출은 7411억원으로 전년 대비 18.5% 증가했고 당기순이익은 12.7% 늘어난 867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오리온에 따르면 글로벌 인플레이션에 따른 경기 침체 등에도 신제품을 꾸준히 출시하고 현지 시장 상황에 적극 대응하며 전 법인 매출액이 증가했습니다. 원재료 공급선 다변화, 생산효율 개선 및 매출 확대를 통해 제조원가 상승 압박을 완화하며 영업이익도 늘었습니다. 한국 법인 매출은 17.6% 증가한 2360억원, 영업이익은 13.2% 증가한 332억원입니다. ‘닥터유’ 브랜드 매출이 전년 대비 25% 늘었습니다. 원부재료 가격 상승으로 제조원가율이 전년 대비 약 6%p 올랐으나, 해외법인 매출 상승에 따른 로열티 수익이 30억원 증가하고 수출물량 확대로 이익이 발생했습니다. 올 4분기에도 감자·유지류 등 주요 원재료 가격 및 에너지 비용 상승이 예상됨에 따라 수익성을 방어하는 데 역량을 집중할 방침입니다. 비스킷·스낵·젤리·마켓오네이처 등 신제품을 출시하고 음료사업도 ‘닥터유 제주용암수’ 제품 속성을 바탕으로 브랜드 인지도를 높여갈 계획입니다. 중국 법인은 매출이 3357억원으로 5.0% 증가했으나 영업이익은 596억원으로 14.3% 감소했습니다. 영업력 강화에 집중하면서 신규 거래처를 발굴하고 스낵과 젤리를 중심으로 매출 성장을 이어갔지만, 제조원가 및 물류비용 등이 오르며 영업이익이 줄었습니다. 4분기에는 명절 수요 공략에 나섭니다. 한국의 설날에 해당하는 ‘춘절’ 성수기를 앞두고 현지 문화를 반영한 선물세트를 예년보다 빠르게 출시할 예정입니다. 가격 경쟁력이 높은 스낵류를 중심으로 판매를 확대합니다. 베트남 법인은 매출이 1130억원, 영업이익은 210억원으로 같은 기간 각각 44.0%, 65.8% 신장했습니다. 파이·스낵·비스킷·젤리 등 전 카테고리에 걸친 신제품 출시와 영업력이 시너지를 냈다는 분석입니다. 비용 구조 효율화를 바탕으로 원부재료 가격 상승에도 영업이익이 증가했습니다. 4분기에는 베트남 최대 명절 ‘뗏’을 대비한 선물용 패키지를 내놓고 대량 구매 수요가 큰 B2B(기업 간 거래) 판매를 추진하는 등 성수기 공략에 집중합니다. 대용식 시장 내 신규 카테고리인 레이어케이크 제품도 선보여 신성장동력으로 키워갈 계획입니다. 러시아 법인 매출은 103.4% 증가한 623억원, 영업이익은 181.5% 늘어난 106억원입니다. 뜨베리 신공장 본격 가동 이후 주력 카테고리인 파이 제품 생산량이 늘면서 9월 가동률이 138%에 달했습니다. 4분기 파이·비스킷 생산라인 신공장 증·이설을 추진해 딜러 및 거래처 수도를 확대할 예정입니다. 오리온 관계자는 "4분기에도 차별화된 신제품을 출시하고 중국과 베트남의 최대 명절인 설 성수기를 철저히 대비해 성장을 이어가겠다"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김용운 기자ㅣSK텔레콤의 올해 3분기 매출이 4조3434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영업이익은 4656억원 입니다. 11일 SK텔레콤에 따르면 3분기 실적은 유무선 통신을 중심으로 미디어, 엔터프라이즈 등 신성장 사업 영역도 성장을 이어가며 전년 동기 대비 연결 기준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3%, 18.5% 증가했습니다. 순이익은 SK하이닉스 지분법 이익 등이 제외돼 66.7% 감소한 2456억원 이었습니다. SK브로드밴드의 매출과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9%, 1.4% 성장한 1조442억원, 797억원을 달성했습니다. SK브로드밴드는 IPTV 순증 1위를 유지하며 가입자 규모 성장세를 이어갔으며 콘텐츠 수급이 개선되며 콘텐츠 매출도 증가했습니다. 특히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제시한 미디어, 엔터프라이즈, AIVERSE 등의 사업도 성장세를 이어가며 실질적 성과로 연결됐습니다. 미디어 사업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0.6% 증가한 3956억원을 기록했고 데이터센터와 클라우드를 중심으로한 엔터프라이즈 사업은 전년 동기 대비 8.9% 성장한 매출 3785억원을 기록하며 성장세를 이어갔습니다. 올해 3분기까지 엔터프라이즈 사업의 누적 매출액 규모는 1조원을 상회했습니다. 구독 사업의 총 상품 판매액도 3분기 1500억원 기록해 3개 분기 연속 성장세를 기록했습니다. SK텔레콤은 올해 3분기 배당금을 1, 2분기와 동일한 주당 830원으로 확정했습니다. 대내외 경제 환경의 불확실성이 가중되는 상황에서도 'EBITDA(법인세 이자 감가상각비 차감 전 영업이익) – CapEx(설비투자)'의 30~40% 수준을 연간배당재원으로 설정해 분기 배당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SK텔레콤의 올해 3분기 실적에 대해 신한투자증권의 김아랑 애널리스트는 "5G 가입자 수가 늘어나고 있고 로밍 매출의 의미있는 회복이 있었다"며 "전 사업부가 순항중이라는 사실과 신사업의 포텐셜을 확인할 수 있는 실적이었다"고 분석했습니다. 김진원 SKT CFO(최고 재무 책임자)는 "유무선 사업에서의 리더십을 바탕으로 미디어, 엔터프라이즈 등 신성장 사업에서도 본격적인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며 "견조한 실적을 토대로 주주 가치 제고와 AI컴퍼니로 혁신하기 위해 최선을 다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이마트가 오프라인 사업 성장과 온라인 적자 개선에 힘입어 3분기 역대 최대 매출을 냈습니다. 이마트는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매출이 7조707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2.1% 증가했다고 10일 공시했습니다. 3분기 영업이익은 1007억원으로 전년 대비 7.3% 감소했고 당기순이익은 86.7% 줄어든 1243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이마트에 따르면 SCK컴퍼니와 G마켓 지분 인수에 따른 PPA상각비 400억원과 스타벅스 서머캐리백 이슈로 인한 일회성 비용 358억원이 반영됐습니다. 별도 기준 3분기 총매출액은 전년비 4.6% 증가한 4조5365억원이며 영업이익은 1050억원으로 같은 기간 1억원 늘었습니다. 사업부별 실적을 살펴보면 할인점은 기존점 매출이 전년 대비 6.3% 증가했습니다. 인사비 등 판관비가 늘었지만 매출총이익률이 0.7% 증가했습니다. 트레이더스는 지난해 코로나 수혜로 인한 역기저효과에도 기존점 매출이 0.2% 소폭 늘었습니다. 판관비 증가로 영업이익은 소폭 감소했습니다. 전문점은 수익성 중심의 구조조정을 통해 전년 대비 75억원 개선한 51억원의 흑자를 기록하며 상반기 대비 흑자 폭을 키웠습니다. SSG닷컴 순매출은 14% 증가했고, 할인 및 프로모션 비용 절감과 PP센터 효율화 노력 등으로 영업적자는 231억원을 기록, 전년보다 151억원 줄였습니다. W컨셉의 3분기 GMV(총 거래액)는 전년비 40% 증가한 1035억원으로 분기 BEP(손익분기점)를 달성했습니다. 오프라인 자회사의 경우 조선호텔앤리조트는 해외 입국 고객이 증가하면서 투숙율 개선에 따라 전년비 192억원 개선한 132억원의 영업이익을 냈습니다. 신규 사업장 오픈 등 투자를 이어가 지난 2분기 2년 반 만의 흑자에 이어 2개 분기 연속 흑자를 달성했습니다. 이마트24는 전년비 11억원 증가한 57억원의 흑자를 기록했습니다. 올해 3분기까지 누계흑자 96억원입니다. SCK컴퍼니 영업이익은 266억원으로 전년보다 594억원 감소했습니다. 캐리백 리콜 관련 일회성비용 반영과 지난해 드라이브스루 매장들의 영업호황에 따른 역기저효과 영향을 받았습니다. 이마트 관계자는 "오프라인 사업은 견고한 경쟁력을 입증했고 온라인은 균형성장전략에 힘입어 큰 폭의 적자 개선을 이뤘다"며 "하반기에는 영업에 더욱 집중해 성공적인 실적 달성을 이룰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SK바이오팜(대표 조정우)은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영업손실이 9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적자 폭이 407억원 감소했다고 10일 공시했습니다. 3분기 매출은 888억원으로 전년 대비 270.9% 증가했습니다. 당기순손실은 150억원으로 적자 폭을 줄였습니다. 세노바메이트(미국 제품명: 엑스코프리)는 올해 3분기 미국에서 전년 동기 대비 138% 증가한 474억원의 매출을 거뒀습니다. 세노바메이트의 미국 누적 매출은 1194억원입니다. 유럽 출시 확대로 올해 글로벌 매출 목표 1850억원을 초과 달성할 전망입니다. 특히 환자에게 처방된 총 처방 수(TRx)가 지속 증가하며, 올 3분기에는 전 분기 대비 12% 늘어난 약 4만5000건을 기록했습니다. 지난 8월부터 최초로 월간 처방 수 1만5000건을 돌파했습니다. 이는 경쟁 제품들의 미국 출시 29개월 차 처방 수 평균의 약 1.8배 수준이라는 설명입니다. SK바이오팜은 미국 내 의료 전문가와 환자를 대상으로 마케팅 활동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현지 영업·마케팅 조직 재정비를 통해 3분기 중 전체 Call 수 증가, 대면 영업 비율 증가, 엑스코프리 신규 처방 수 증가 등 관련 지표들이 긍정적으로 개선됐습니다. SK바이오팜 관계자는 "주요 제품의 미국 내 지속적인 성장과 라틴아메리카, 유럽 등 신규 시장 진출 및 확대가 매출 성장을 견인했다"며 "영업손실은 제품 매출과 용역 매출 모두 높은 증가를 기록하며 손실 폭을 크게 줄였다"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쿠팡이 2014년 로켓배송을 출범한 이후 첫 분기 흑자를 달성했습니다. 쿠팡이 10일(한국시간)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3분기 실적 보고서에 따르면, 쿠팡은 올 3분기 전년 동기(5조3850억원) 대비 27% 증가한 6조8383억원(분기 평균환율 1340.5원)의 매출을 기록했습니다. 원화 기준 매출은 사상 최대 규모이며 달러 매출은 지난해 46억4470만달러와 비교해 10% 증가한 51억133만달러로 집계됐습니다. 3분기 영업이익은 지난해 3653억원(3억1511만달러) 손실에서 1037억원(7742만달러)으로 흑자전환했습니다. 쿠팡이 분기 흑자를 낸 것은 지난 2014년 로켓배송 론칭 후 처음입니다. 당기순이익은 1215억원(9067만달러)입니다.
인더뉴스 김용운 기자ㅣ코웨이(대표 이해선ㆍ서장원)는 올해 3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969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8% 증가했다고 9일 밝혔습니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0.8% 증가한 1651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코웨이의 3분기 누적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5.8% 증가한 2조8759억원, 영업이익은 2.5% 증가한 5137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코웨이에 따르면 3분기 매출 중 국내 환경가전사업은 아이콘 얼음정수기를 비롯한 혁신 제품 판매 등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2.7% 증가한 5713억원을 기록했습니다. 해외법인 매출액은 354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5% 증가했습니다. 해외법인 중 말레이시아 법인의 매출액은 276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9% 증가했습니다. 김순태 코웨이 CFO는 "올해 3분기에 디지털 전환 및 혁신 제품 판매 등을 앞세워 안정적 경영 실적을 기록했다"라며 "앞으로도 연구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혁신 제품을 지속적으로 출시해 어려운 대외 환경 여건 속에서도 안정적 경영 실적을 이어가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셀트리온(대표 기우성)은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213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8.1% 증가했다고 9일 공시했습니다. 3분기 매출은 6556억원으로 전년 대비 60.6% 증가했고 당기순이익은 18.2% 늘어난 1669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셀트리온에 따르면 바이오시밀러 사업에서는 글로벌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는 램시마의 공급 증가가 매출 확대에 주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다케다제약사로부터 자산권을 인수한 제품 중심으로 케미컬의약품 매출도 증대하면서 바이오의약품과 케미컬의약품 모두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주요 바이오시밀러 제품군인 램시마·트룩시마·허쥬마는 유럽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및 항암제 시장에서 안정적인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아이큐비아 등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유럽시장에서 램시마가 53.6%, 트룩시마 23.6%, 허쥬마가 12.7%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했습니다. 또 의료정보 제공기관 심포니헬스에 따르면 화이자를 통해 미국에서 판매 중인 램시마(인플렉트라)는 올 3분기 기준 31.7%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10.5%p 증가했습니다. '테바'를 통해 판매 중인 트룩시마는 27.6%의 점유율로 전년 대비 3.8%p 상승했습니다. 램시마SC는 유럽 성장세가 가속화되는 모습입니다. 정맥주사(IV) 제형에서 피하주사(SC) 제형으로의 전환에 속도가 붙으며 독일에서 27%, 프랑스에서 16%의 점유율을 달성했습니다. 셀트리온은 미국에 출시될 때 IV제형 램시마와 SC제형 램시마SC가 시너지를 낼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셀트리온은 램시마·램시마SC의 점유율 확대를 넘어 세계 최초 휴미라 고농도 바이오시밀러 ‘유플라이마’도 유럽 시장에 안착시켜 IBD(염증성 장질환) 적응증 시장 내 입지를 다진다는 계획입니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이번 분기에는 바이오·케미컬 의약품이 글로벌 시장에서 고르게 성장하며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전년 동기 대비 증가했다"며 "후속 바이오시밀러의 임상 및 개발도 차질 없이 진행하고 신약 개발과 신성장동력 확보에도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CJ프레시웨이(대표 정성필)는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35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4.9% 증가했다고 9일 밝혔습니다. 3분기 매출은 7517억원으로 전년 대비 33.5% 증가했고 당기순이익은 44.6% 늘어난 251억원을 기록했습니다. CJ프레시웨이에 따르면 식자재 유통과 단체급식 사업의 고른 성장으로 매출과 이익 모두 3분기 연속 증가했습니다. 올 3분기까지의 누적 영업이익은 804억원으로 지난해 연간 실적을 넘어섰습니다. 사업별로 살펴보면 급식·외식업체 등을 대상으로 하는 식자재 유통사업 매출은 570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3.3% 증가했습니다. 이 중 급식 경로는 PB(자체 브랜드) 및 독점 공급 상품 등 차별화된 상품 전략을 실적 상승 요인으로 꼽았습니다. 외식 경로는 3분기까지 월 매출 5억원 이상인 외식 프랜차이즈와의 재계약을 모두 성사시키며 대형 고객사 중심의 안정적인 포트폴리오를 구축했습니다. 외식 프랜차이즈의 신규 브랜드 론칭, 메뉴 개발 등을 돕는 외식 솔루션 사업도 점진적인 성과를 보이고 있다는 설명입니다. 단체급식 사업 매출은 1631억원으로 역대 분기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전년 대비 39.2% 증가한 수치입니다. 특히 골프장·워터파크·휴게소 등 레저·컨세션 경로가 약 71% 성장했습니다. 시장 점유율 확대 및 전문성 제고를 위해 레저와 컨세션 사업조직을 강화한 결과로 풀이됩니다. 오피스·산업체 경로에서는 일일 식수 1000명 이상의 대형 고객사 수주에 성공한 것이 주효했습니다. 메뉴 운영 역량 강화와 간편식 테이크아웃 코너 ‘스낵픽’ 확대, 점포별 메뉴를 확인하고 주문할 수 있는 모바일 앱 ‘프레시밀’ 출시 등 신규 서비스가 고객 호응을 이끈 것으로 회사는 분석했습니다. 제조사업 매출은 18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소폭 신장했습니다. 소스 전문 자회사 송림푸드와 전처리 농산물을 공급하는 제이팜스가 외식시장 회복세와 가정간편식 인기에 힘입어 안정적인 실적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CJ프레시웨이 관계자는 "남은 하반기 동안 고객 맞춤형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솔루션 사업에 박차를 가하겠다"며 "고객사 성장을 지원하는 푸드 비즈니스 파트너 역할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GS[078930]의 3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112.56% 증가한 1조3578억원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9일 GS가 공시한 올해 연결기준 3분기 실적에 따르면, 매출은 7조3845억원, 영업이익은 1조3578억원, 당기순이익은 5606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지난해 3분기 대비 매출은 34.29%, 영업이익은 112.56%, 당기순이익은 7.04% 증가했습니다. 직전 분기인 2분기와 비교할 경우 영업이익은 11.12%, 당기순이익은 40.12%의 감소율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변동률과 대조되는 흐름을 나타냈습니다. 매출은 1.68%로 소폭 상승했습니다. GS 측은 2분기 급등했던 유가와 정제마진이 3분기에 하락하며 직전 분기 대비 영업이익이 감소했으나 자회사들의 전반적인 실적 호조로 전년 동기보다는 양호한 실적을 기록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올해 1~3분기 누계 매출은 21조6343억원, 영업이익은 4조1283억원, 순이익은 2조2451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지난해 3분기까지 누계 실적과 비교할 경우 매출은 52.45%, 영업이익은 124.95%, 당기순이익은 70.84%를 나타냈습니다. GS 관계자는 "하반기 들어 국제유가가 하락세로 전환하고 글로벌 경기침체가 우려되는 등 영업 환경이 급변하고 있어 이에 따른 영향을 예의 주시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김용운 기자ㅣKT는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4.2% 증가한 6조4772억원,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8.4% 증가한 4529억원을 기록했다고 8일 밝혔습니다. 별도 기준 서비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0.6% 증가한 3조9444억원,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24.9% 증가한 3236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올해 출범한 'kt cloud'를 포함할 경우 KT의 3분기 별도 서비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9% 증가한 4조308억원이었습니다. 부문별 실적에서 유·무선 사업(Telco B2C)은 프리미엄 가입자의 증가세가 지속됐습니다. 5G 가입자는 전체 핸드셋 가입자 중 약 57%로 796만명을 기록했습니다. 홈 유선전화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7.8% 줄었지만 고품질 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지속적인 수요 증가로 기가인터넷 판매 비중이 늘어나며 초고속인터넷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6% 늘었습니다. B2C 플랫폼 사업(DIGICO B2C) 중 IPTV 사업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5.8% 증가했습니다. B2B 플랫폼 사업(DIGICO B2B)은 코로나19 이후 기업의 디지털전환(DX) 수요가 늘어남에 전년 대비 21% 성장했숩나다. AICC사업은 지난 분기에 이어 금융권을 중심으로 한 대형 구축사업의 확대로 전년 동기 매출 대비 91.7% 성장했습니다. B2B 고객 대상 사업(Telco B2B)에서는 국내외 대형 CP사의 트래픽량 증가와 함께 신규 CP사 유치에 성공하며 기업 인터넷 사업 매출이 전년대비 10.9% 증가했습니다. 기업통화 매출은 기업인터넷전화의 고ARPU 중심의 성장과 MVNO 시장 확대로 전년 동기 대비 6.8% 늘었습니다. KT CFO 김영진 전무는 “대외환경의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가운데 KT는 디지털 플랫폼 기업으로의 전환을 가속화, DIGICO 및 B2B 사업 성장을 기반으로 수익성을 강화했다"며 “남은 기간에는 DIGICO 전환을 통한 성장과 수익성 중심 경영을 강화해 기업가치를 높일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CJ ENM(대표 강호성·윤상현)은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25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0.9% 감소했다고 8일 공시했습니다. 3분기 매출은 1조1785억원으로 전년 대비 37.4% 증가했고 당기순손실은 566억원을 기록해 적자전환했습니다. 미디어 부문 매출은 '작은 아씨들', '스트릿 맨 파이터', '환승연애2' 등 인기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37.7% 증가한 6099억원을 기록했습니다. 특히 OTT와 채널에서 콘텐츠 영향력이 확대되며 티빙 매출은 81.6% 증가하고, 같은 기간 콘텐츠 판매 역시 168.9% 늘었습니다. 티빙 가입자가 전 분기 대비 18.6% 증가하며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나, 오리지널 콘텐츠 확대에 따른 제작비 증가와 '피프스 시즌' 영업 손실 영향으로 미디어부문 수익성은 부진했습니다. 커머스 부문 매출은 3095억원, 영업이익은 57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소비 심리 위축 현상이 심화되는 가운데 엔데믹 전환에 따른 오프라인 채널 강세, TV 송출 수수료 등 고정비가 증가해 실적이 감소했습니다. 다만 자체 브랜드 및 모바일 취급고가 전년 대비 성장했습니다. 영화 부문 매출은 전년 대비 258.2% 신장한 1186억원, 영업손실은 1억원입니다. '공조2: 인터내셔날'의 박스오피스 실적이 호조를 보이며 극장 매출이 같은 기간 376.8% 증가했습니다. '외계+인 1부' 부가 판권 및 해외 판매와 함께 'Cha Cha Real Smooth' 등 피프스 시즌의 영화 매출 243억원이 반영됐습니다. 음악 부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13.5% 증가한 1405억원, 영업이익은 211.8% 늘어난 340억원입니다. 3분기 음악 부문 영업이익률은 24.2%로 역대 최고치라는 설명입니다. 자체 아티스트 'INI'의 세 번째 싱글 앨범 ‘M’이 일본 오리콘 차트 1위를 기록하고 'ENHYPEN'의 세 번째 미니앨범 'MANIFESTO : DAY 1'이 판매 호조를 보이며 매출 확대로 이어졌습니다. 여기에 '임영웅'과 '(여자)아이들' 국내 콘서트 등 라이브 매출이 늘었습니다. CJ ENM 관계자는 "앵커 IP의 경쟁력 강화가 OTT 및 채널의 콘텐츠 영향력 확대로 이어지고 있고 글로벌 시장에서의 존재감도 커지고 있다"며 "4분기에는 음악부문의 지속적 성장, 티빙의 가입자 증가, TV 광고 회복에 집중해 수익성 제고에 힘쓸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현대백화점은 3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92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4.1% 증가했다고 8일 공시했습니다. 3분기 매출은 1조3721억원으로 전년 대비 48.4% 증가했고 당기순이익은 10.0% 늘어난 693억원을 기록했습니다. 백화점 부문은 2분기에 이어 패션·스포츠·화장품 등 고마진 상품군이 성장했습니다. 별도 매출은 5607억원으로 전년보다 13.2% 증가했습니다. 영업이익은 매출총이익률이 개선됨에 따라 전년 대비 64.6% 신장한 965억원을 기록했습니다. 면세점 부문은 3분기에도 중국 봉쇄 정책 영향이 이어졌습니다. 면세점 별도 매출은 558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2.1% 늘었지만, 150억원의 영업손실을 내며 적자 폭을 키웠습니다. 현대백화점 계열사인 가구·매트리스 회사 지누스의 매출은 286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0% 증가했습니다. 다만 영업이익은 106억원으로 46.3% 감소했습니다. 현대백화점은 지난 5월 지누스를 7747억원에 인수했고, 올 3분기부터 현대백화점 연결 실적에 신규 편입됐습니다. 현대백화점 관계자는 "거리두기 완화와 소비심리 회복 영향 및 지누스 신규 편입 효과로 3분기 연결 기준 매출과 영업이익이 늘어났다"며 "면세점 부문은 중국 내 봉쇄 정책 지속으로 영업 적자를 기록했으나 수입 화장품 등 핵심 상품군 판매가 지속적으로 늘어나 매출은 51.8% 증가했다"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CJ대한통운이 수익 구조 개선과 해외 영업 확대로 영업이익이 늘었습니다. 8일 CJ대한통운(대표 강신호)에 따르면 3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107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2% 증가했습니다. 3분기 매출은 3조1134억원으로 전년 대비 9.4% 증가했고 당기순이이은 52.2% 늘어난 602억원을 기록했습니다. CJ대한통운 관계자는 "전사적인 영업활성화 노력과 글로벌 부문 사업 안정화로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성장했다"며 "영업이익 역시 지속적인 수익 구조 개선 추진 및 미국·인도·베트남 등 전략 국가의 영업 확대를 통해 전년비 증가했다"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신세계가 견고한 백화점 실적과 주요 자회사 실적 개선에 힘입어 3분기 호실적을 거뒀습니다. 신세계는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153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9.4% 증가했다고 7일 공시했습니다. 3분기 매출은 1조9551억원으로 전년 대비 17.3% 증가했으나 당기순이익은 50.0% 감소한 945억원을 기록했습니다. 백화점 사업은 야외활동 인구 증가가 호재로 작용했습니다. 매출 609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9.8% 늘었고 영업이익은 1094억원으로 50.5% 증가했습니다. 여성(31.7%)·남성패션(29.1%)·골프웨어(33.7%) 등 패션 수요가 늘었고 추석 명절 실적도 외형 성장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올 3분기 ▲밀레니얼 세대를 겨냥한 영컨템포러리 전문관(신세계 강남점) ▲업계 최초 NFT(대체불가토큰) 대형행사(센텀시티점·대전신세계) ▲SSG닷컴 신세계백화점몰 전문관 강화(우리술 전문관) 등 콘텐츠가 매출과 미래 고객 창출에 기여했다는 평가입니다. 특히 지난해 8월 오픈한 대전신세계 Art & Science는 아쿠아리움·갤러리 등 문화·예술 콘텐츠와 단독 명품 브랜드를 앞세워 오픈 1년 만에 방문객 2400만명, 매출 8000억원을 달성했습니다. 신세계인터내셔날은 매출이 3875억원, 영업이익이 242억원으로 각각 10.7%, 71.0% 증가했습니다. 지난해 1분기부터 7분기 연속 성장세입니다. 일라일(50.5%) 등 여성복을 중심으로 자체 패션 브랜드 매출이 늘었고 크롬하츠 등 명품 브랜드는 두 자리 수 신장률을 기록했습니다. 신세계디에프는 3분기 매출 8566억원으로 전년보다 7.5% 올랐지만, 영업이익은 51억원으로 77.7% 감소했습니다. 신세계센트럴시티는 백화점 등 매출 증대에 따른 임대수익과 호텔 매출 증가로 3분기 매출 854억원을 기록, 전년 대비 41.6%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226억원으로 119.4% 늘었습니다. 올해 8월부터 신세계로 편입된 신세계라이브쇼핑은 자체 패션 브랜드 등 콘텐츠를 앞세우며 매출 429억원, 영업이익 10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신세계까사 매출은 679억원으로 전년 대비 12.8% 증가했지만 원자재값과 환율 상승, 부동산·건설 경기 침체 영향으로 58억원의 영업손실을 냈습니다. 신세계 관계자는 "백화점 성장과 자회사들의 실적 개선을 바탕으로 7분기 연속 전년 대비 최대 실적을 이어가고 있다"며 "디지털 콘텐츠 강화, 신세계인터내셔날 등 자회사의 내실 있는 성장을 바탕으로 올 4분기에도 견고한 실적을 이어나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문승현 기자ㅣ케이뱅크는 올 3분기 256억원의 순이익(잠정)을 냈다고 7일 밝혔습니다. 직전 2분기 대비 20.2%,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서는 52.4% 증가한 것으로 분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입니다. 3분기까지 연 누적 당기순이익은 714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84억원에 견줘 8배 이상 성장을 보였습니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시장 흐름에 기민하게 대응해 여수신 성장을 이어간 가운데 체질 개선 노력으로 비용효율화에 성공한 것이 최대 분기 실적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습니다. 3분기 케이뱅크의 고객은 783만명에서 801만명으로 18만명 늘었습니다. 수신 잔액은 12조1800억원에서 13조4900억원으로, 여신 잔액은 8조7300억원에서 9조7800억원으로 각각 1조3100억원, 1조500억원 증가했습니다. 영업이익경비율(CIR)은 3분기 말 37.9%로 전 분기(39%)보다 낮아졌습니다. CIR은 금융사의 영업이익 대비 판매관리비를 비교하는 지표로 낮을수록 생산성과 경영 효율성이 높다는 뜻입니다. 3분기 말 순이자마진(NIM)은 2.44%, 연체율은 0.67%입니다. 국제결제은행(BIS) 총자본비율은 14.51%로 나타났습니다. 서호성 케이뱅크 은행장은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대출시장 침체 등 어려운 여건에서도 고객 혜택 확대에 힘쓴 것이 최대 실적으로 이어졌다"면서 "차별화된 디지털 금융상품을 지속적으로 발굴해 최근 급변하는 금융상황을 도약과 반전의 기회로 삼겠다"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휴온스(대표 송수영·윤상배)는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2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6.3% 감소했다고 4일 공시했습니다. 3분기 매출은 1231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9.7% 증가했고 당기순이익은 81.9% 줄어든 26억원을 기록헀습니다. 회사에 따르면 전문의약품 부문과 뷰티·웰빙 부문의 안정적인 성장세에 힘입어 매출은 상승세를 이어갔습니다. 휴온스는 영업이익 감소 원인으로 해외사업 확대 과정에서 발생한 대손상각비 56억원을 일시 반영한 점을 꼽았습니다. 지난 2020년 미국법인을 통해 수출했던 개인보호장비(PPE)가 코로나19 방역조치 해제로 판매가 어려워져 미회수 매출채권 전액을 선제적으로 대손충당금에 반영했다는 설명입니다. 전문의약품 부문은 전년동기 대비 4% 늘어난 528억원의 매출을 기록, 분기 최대 실적을 냈습니다. 마취제는 리도카인을 중심으로 미국 수출이 증가하면서 분기 최초 100억원 매출을 돌파했습니다. 고혈압·고지혈증 분야 순환기계통 의약품도 143억원을 기록하며 3분기 연속 성장세를 이어갔습니다. 뷰티·웰빙 부문은 전년동기 대비 17% 증가한 446억원의 매출을 올렸습니다. 건강기능식품 사업은 갱년기 유산균 메노락토가 2분기 연속 매출 100억원을 넘었습니다. 의료기기 사업분야도 혈당측정기 덱스컴G6와 코로나 진단키트 매출 호조로 전년동기 대비 7% 늘어난 40억원의 매출을 달성했습니다. 수탁사업 부문의 매출은 149억원입니다. 의약품 수탁은 전년 대비 10% 증가한 79억원을 기록했지만 점안제 수탁 매출은 70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9% 감소했습니다. 건강기능식품 자회사 휴온스푸디언스는 해외수출 및 OEM 매출 증가에 따라 3분기 영업이익이 10억원으로 합병 후 첫 흑자를 냈습니다. 송수영 휴온스 대표는 "휴온스는 불확실한 대외 여건 속에서도 매년 성장을 이뤄왔다"며 "확장된 사업 영역을 정돈하고 내실경영을 강화해 외형 성장과 함께 수익성을 극대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롯데하이마트(대표 황영근)는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이 6억8600만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8.7% 감소했다고 3일 공시했습니다. 3분기 매출은 8738억원으로 전년 대비 16.0% 줄었고, 당기순손실은 3703억원을 기록하며 적자전환했습니다. 롯데하이마트에 따르면 인플레이션과 금리인상이 지속되면서 실질 소득이 감소했고 글로벌 경기 침체로 가전제품 수요가 줄었습니다. 회사는 선택과 집중을 통해 체질 개선에 나설 방침입니다. 저효율 점포 폐점·대형점포 확대로 오프라인 효율성을 제고하고, 온라인쇼핑몰은 중소형 가전 전문성에 집중한 가전 중심 온라인몰로 강화한다는 전략입니다. 롯데하이마트 관계자는 "우수한 생활가전 브랜드를 육성하고 헬스케어·캠핑·펫가전 등 신 라이프스타일 상품군·글로벌 브랜드 운영을 확대하겠다"라며 "가성비 좋고 차별화된 PB 상품을 우수한 파트너사와 협업·개발해 상품 경쟁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KT&G가 국내외 전자담배 판매 호조로 사상 최대 분기 매출을 기록했습니다. KT&G(대표 백복인)는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매출이 1조621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5% 증가했다고 3일 공시했습니다. 3분기 영업이익은 4056억원으로 전년 대비 2.7% 감소했고 당기순이익은 28.8% 증가한 4631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KT&G에 따르면 국내외 궐련형 전자담배 성장세와 글로벌 담배사업 호조에 힘입어 분기 최대 매출을 기록했습니다. 일시적 판관비 증가로 영업이익은 줄었다는 설명입니다. 별도 기준 KT&G 매출은 970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3% 늘었고 영업이익은 3078억원으로 5.1% 감소했습니다. 당기순이익은 4061억원으로 같은 기간 36.5% 증가했습니다. 3분기 국내 궐련 총수요는 169억6000만개비로, 궐련형 전자담배로의 소비 이전 확대 영향으로 전년 대비 0.4% 감소했습니다. KT&G 판매량 역시 전년 대비 0.4% 감소한 110억5000만개비를 기록했습니다. 다만 신제품·초슬림 제품 수요 증가로 시장점유율은 65.2%로 0.1% 늘었습니다. 국내 궐련형 전자담배의 경우 지속적인 수요 확대로 침투율이 상승하며 16.7%를 기록했습니다. 3분기 궐련형 전자담배 시장 내 스틱 점유율은 48.5%를 차지했습니다. 높은 디바이스 점유율을 기반으로 한 성장세가 지속되고 있다는 평가입니다. 해외궐련 시장은 신 시장 수출량 증가와 인니법인 주도의 해외법인 성장으로 전년 대비 29.7% 증가한 122억개비를 팔았습니다. 매출액은 고단가 시장 판매량 증대 및 환율효과로 43.7% 늘어난 2546억원을 기록했습니다. 해외 궐련형 전자담배는 현지 수요 확대에 따라 디바이스 및 스틱 판매량이 늘고 있습니다. 자회사인 KGC인삼공사는 매출 4290억원, 영업이익 74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7%, 9.2% 증가했습니다. 매출은 국내 면세수요 회복세 및 중저가 특판매출 증가, 상해 봉쇄 해제 후 중국시장 성장이 호재로 작용했습니다. 또 홈쇼핑 편성 전략 조정과 고수익 면세채널 회복으로 영업이익이 늘었습니다. KT&G 관계자는 "궐련형 전자담배 신규 플랫폼 출시 등 기존 주력사업에서 시장 주도적 입지를 확고히 할 것"이라며 "동시에 글로벌 궐련형 전자담배, 글로벌 건기식 홍삼 등 회사의 미래 전략 사업 분야에서 지속 성장 기반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롯데칠성음료(대표 박윤기)는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75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2% 감소했다고 3일 밝혔습니다. 3분기 매출은 7843억원으로 전년 대비 12.2% 증가했고 당기순이익은 49.5% 감소한 467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음료 부문은 매출 5374억원으로 전년보다 11.3%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640억원으로 6.5% 감소했습니다. 탄산 카테고리의 경우 '헬시 플래저(즐겁게 건강을 관리하는 트랜드)' 확산에 따른 제로 제품의 인기와 포트폴리오 확대에 힘입어 전년 대비 매출이 17% 증가했습니다. 커피 카테고리는 대용량 페트 커피의 판매 호조로 매출이 8% 늘었습니다. 에너지음료는 지난 5월에 선보인 제로 칼로리 ‘핫식스 더킹 제로’ 수요 증가로 매출이 23% 신장했습니다. 내년 ‘밀키스 제로·2%부족할때 아쿠아 제로’ 출시할 계획이며 건강기능식품 사업도 확대합니다. 주류 부문 매출은 192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4% 늘었으나 영업이익은 43.2% 감소한 67억원을 기록했습니다. '별빛청하', '처음처럼 새로' 등 신제품의 영향으로 소주와 청주의 매출이 각 119억원, 63억원 증가했습니다. 특히 소주와 와인이 분기 매출을 견인했습니다. 각각 1년 전보다 321억원, 162억원 증가했습니다. 롯데칠성음료는 올해 소주 주력 제품 '처음처럼'을 리뉴얼했고 저칼로리 맥주 '클라우드 칼로리 라이트' 출시 및 무알콜맥주 '클라우드 제로'를 리뉴얼하며 맥주의 포트폴리오를 넓혔습니다. 롯데칠성음료 관계자는 "트랜드에 맞춘 별빛청하·처음처럼 새로 등 신제품을 선보이며 변화하는 주류 시장에 대응하고 있다"며 "향후에는 위스키 증류소·와이너리에 대한 투자 및 마주앙으로 대표되는 기존 와인 사업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SK이노베이션[096770]의 3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5.28% 증가한 7039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3일 SK이노베이션이 공시한 올해 3분기 실적에 따르면, 매출액 22조7534억원, 영업이익 7039억원, 당기순이익 1751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은 82.49%, 영업이익은 5.28% 증가했으며, 당기순이익은 65.46% 감소했습니다. 직전 분기인 올해 2분기와 비교할 경우 매출은 14.31% 늘었으나,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69.78%, 86.91% 줄었습니다. SK이노베이션 측은 "윤활유 사업이 분기 최대 영업이익을 달성하고, 배터리 사업 수익성이 개선됐으나 글로벌 경기침체 우려에 따른 유가 및 정제마진 하락 영향으로 전분기 대비 영업이익이 대폭 감소했다"며 "다만 매출액은 석유사업의 CDU 가동률 상향과 배터리 사업의 신규 공장 생산능력 향상 등에 힘입어 전분기 대비 증가했다"고 밝혔습니다. 사업별 실적을 살펴보면, 배터리사업은 2조1942억원의 매출액과 영업손실 1346억원을 기록했습니다. 미국, 유럽 신규 공장 안정화에 따른 판매량 증가와 원자재 가격 상승분에 대한 판매단가 전가 등으로 전분기 대비 매출이 9062억원 증가하는 성과를 거뒀습니다. 영업손익은 원재료 가격 상승에 대한 판가 조정 협의 등을 통해 수익성을 개선했습니다. 석유사업은 3165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습니다. 각국의 긴축기조 강화와 중국의 대규모 수출쿼터 발표 등으로 유가 및 정제마진이 하락하며 전분기 대비 1조9126억원이 감소했습니다. 화학사업은 영업이익 1083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나프타(납사) 가격 하락에 따른 재고관련 손실에도 불구하고, 견조한 파라자일렌(PX) 스프레드 및 환율상승 등에 따른 마진개선 효과에 힙입어 전분기 대비 323억 증가했습니다. 윤활유사업은 전분기 대비 808억원 증가한 3360억원의 영업이익을 달성하며 분기 기준 최대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유가하락에 따른 원가 하락에도 불구하고, 타이트한 글로벌 수급 균형으로 견조한 판가수준이 유지된 것이 영업이익 증가를 이끌었습니다. 석유개발사업은 영업이익 1605억원을, 소재사업은 제품 종류별 판매량 변동에 따른 매출액 감소와 일회성 비용 증가로 인해 영업손실 270억원을 기록했습니다. 김양섭 SK이노베이션 재무부문장은 "변동성이 높은 시장 환경이 지속되는 상황에서도 고도화 설비 가동 확대 등 운영 최적화를 통해 안정적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SK이노베이션의 새로운 비전인 ’올타임 넷제로’를 달성하기 위해 그린 사업으로의 전환 투자에도 속도를 내겠다"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애경산업(대표 채동석·임재영)은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15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6.2% 증가했다고 3일 공시했습니다. 3분기 매출은 1617억원으로 전년 대비 11.0% 증가했고 당기순이익은 195.6% 늘어난 130억원을 기록했습니다. 화장품 사업 3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9.4% 증가한 551억원, 영업이익은 62% 증가한 87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중국의 봉쇄정책 장기화와 소비 침체 영향에도 틱톡·콰이쇼우 등 성장하고 있는 동영상 플랫폼에 신규 진출했습니다. 일본, 동남아시아 등 글로벌 시장 다변화도 주효했습니다. 생활용품 사업 3분기 매출은 106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8% 증가하고, 영업이익은 65억원으로 715.3% 신장했습니다. 퍼스널 케어 및 섬유유연제 카테고리의 꾸준한 성장으로 제품 포트폴리오가 강화되고, 글로벌 신규 채널 진출로 매출이 늘었습니다. 애경산업 관계자는 "코로나 이후 지속되는 국내외 경영환경 악화를 극복하기 위해 디지털 채널 강화 및 글로벌 확장, 포트폴리오 다변화, 프리미엄 제품 출시 전략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동아쏘시오홀딩스는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22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4% 증가했다고 2일 공시했습니다. 3분기 매출은 2694억원으로 전년 대비 13.0% 증가했고, 당기순이익은 59.2% 감소한 255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주요 자회사 중 일반의약품 전문회사 동아제약은 ▲박카스 사업부문 ▲OTC(일반의약품) 사업부문 ▲생활건강 사업부문 등 전 부문 매출이 증가했습니다. 동아제약 매출은 1515억원으로 전년 대비 27.8% 늘었고, 영업이익은 279억원으로 63% 신장했습니다. 주요 제품별로 보면 피로회복제 '박카스' 매출이 73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0% 증가했습니다. 감기약 '판피린' 매출은 137억원으로 45.9% 증가했고, 소화제 '베나치오' 매출은 38억원으로 28.1% 늘었습니다. 건강기능식품 '오쏘몰' 매출은 9.9% 증가한 28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물류 전문회사 용마로지스는 전년 동기 대비 18.5% 증가한 905억원의 매출을 기록했습니다. 영업이익은 37.4% 감소한 17억원입니다. 바이오의약품 전문회사 에스티젠바이오 매출은 7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7%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적자전환했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동원F&B(대표 김재옥)는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45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0% 감소했다고 2일 공시했습니다. 3분기 매출은 1조1146억원으로 15.5% 증가했고 당기순이익은 전년 대비 89.3% 늘어난 286억원을 기록했습니다. 동원F&B에 따르면 동원홈푸드 전 부문이 고른 매출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특히 식당 수요 증가로 축육부문이 성장했고, 외식시장 회복 및 대형급식 B2B(기업 간 거래) 거래처 확보를 통해 식자재 부문 매출이 늘었습니다. 동원F&B 관계자는 "참치·돈육·치즈·분유 등 주요 원재료 단가가 올랐다"며 "원/달러 환율 변동에 따른 수입 원재료 단가 상승, 물류비 증가 등으로 영업이익이 감소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인더뉴스 문승현 기자ㅣ카카오뱅크[323410]는 올 3분기 당기순이익이 787억원으로 집계됐다고 2일 밝혔습니다. 직전인 2분기(570억원) 대비 38.1%, 1년 전인 지난해 3분기(519억원) 대비해선 51.3% 큰 폭으로 늘었습니다. 3분기 영업수익(4118억원)과 영업이익(1046억원)도 증가했습니다. 1년 전 실적 2772억원, 711억원에 비해 각각 48.5%, 46.9% 불었습니다. 이로써 카카오뱅크는 분기 기준 역대 최대 영업수익과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기록을 새로 쓰게 됐습니다. 이와 함께 올 1~3분기 누적 영업수익은 1조1211억원, 누적 영업이익은 2674억원을 기록했습니다. 2021년 영업수익 1조649억원, 영업이익 2569억원과 비교하면 9개월 만에 지난해 1년의 성과를 넘어선 것입니다. 카카오뱅크 관계자는 "고객들이 꾸준히 카카오뱅크를 찾으면서 실적도 개선되고 있다"며 "고객 유입에 따른 외형적 성장은 물론 수익이라는 내실도 다졌다"고 말했습니다. 수신 잔액은 지난해 말 30조원에서 올 9월말 기준 34조6000억원으로 늘었습니다. 저원가성 예금이 꾸준히 확대되면서 62.1%의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여신 잔액은 같은 기간 25조9000억원에서 27조5000억원으로 증가했습니다. 중·저신용자 대출과 전월세보증금·주택담보대출이 성장을 견인한 것으로 카카오뱅크는 분석합니다. 무보증 중·저신용자 대상 대출 잔액은 3조288억원으로 전년 말 2조4643억원 대비 증가했습니다. 중·저신용자 대출 잔액 비중은 9월 말 기준 23.2%까지 상승했습니다. 지난 2월 출시한 주택담보대출의 누적 약정금액은 8070억원입니다. 금융권 주택담보대출 시장이 전반적으로 부진을 보인 가운데 카카오뱅크는 취급지역 전국 확대 등으로 규모를 늘려가고 있습니다. 카카오뱅크는 9월말 기준 1978만명의 고객을 확보해 연내 2000만 고객 돌파가 확실시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2017년 7월 출범 이후 5년여 만입니다. 특히 10대 전용 금융서비스인 '카카오뱅크 미니(mini)'의 3분기 기준 누적 가입자는 150만명으로 1년 전보다 50% 크게 늘었습니다. 카카오뱅크는 최근 개인사업자 뱅킹서비스를 출시한데 이어 인증사업을 시작할 예정입니다. 지난 10월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본인확인기관'으로 지정됐고 연내 공인전자문서중계자, 전자서명인증사업자 라이선스까지 취득한다는 계획입니다. 이렇게 되면 고객은 카카오뱅크 앱을 통해 행정안전부, 국세청 같은 정부기관 사이트에 로그인해 공문서를 신청하고 신원확인이 필요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고 카카오뱅크는 밝혔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SK바이오사이언스가 코로나19 백신 수요 감소로 3분기 부진한 성적표를 받았습니다. 1일 SK바이오사이언스(대표 안재용)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이 21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8.7% 감소했습니다. 3분기 매출은 911억원으로 전년 대비 58.8% 감소했고, 당기순이익은 72.8% 줄어든 208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지난 4월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로 엔데믹(감염병 주기적 유행)에 접어들면서 백신 수요가 감소한 영향이 컸습니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현재 미국 노바백스 코로나 백신을 위탁생산(CMO)하고 있습니다. 또 국산 1호 코로나 백신 '스카이코비원'을 자체 개발해 지난 9월 물량을 출하한 바 있습니다. SK바이오사이언스 관계자는 "지난해 노바백스 국내 공급분 원액이 매출에 반영됐지만 올해 3분기는 변이주 백신 생산 준비로 노바백스 CMO 매출이 저조했다"며 "4분기에는 스카이코비원 선구매분 실적이 반영될 예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롯데제과는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57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7.4% 증가했다고 1일 공시했습니다. 3분기 매출은 1조1032억5100만원으로 전년 대비 90.3% 증가했고 당기순이익은 14.0% 늘어난 354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지난 7월 롯데제과와 롯데푸드의 합병으로 매출이 크게 늘었습니다. 양사는 중복사업 통합 및 조직 효율화를 통한 수익성 개선을 위해 지난 7월 1일부로 통합법인 '롯데제과 주식회사'를 출범했습니다. 롯데제과가 롯데푸드를 흡수합병하는 구조입니다. 사업부문별로 보면 건과(껌·캔디·초콜릿), 빙과, 베이커리 등 제과사업 매출이 5051억원, 영업이익이 458억원으로 각각 전년 동기 대비 2.0%, 4.5% 증가했습니다. 빙과 PMI(합병 후 통합) 진행에 따라 매출과 영업이익이 줄었으나 건과 가격인상 효과로 손익 방어했다는 설명입니다. 유지·식품류, 육가공, HMR 등을 생산하는 푸드 사업 매출은 4031억원으로 전년보다 16.6%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33억원으로 59.6% 감소했습니다. 회사에 따르면 판가인상 및 리오프닝 영향으로 매출이 신장했으나 유지 부문 이익 기여가 줄고 B2C(기업과 소비자 간 거래) 원가 부담이 증가한 까닭입니다. 롯데제과는 인도·카자흐스탄·벨기에·러시아 등 해외에 9개 법인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3분기 해외 사업 매출은 2086억원으로 22.9% 늘었고, 영업이익은 11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7% 감소했습니다. 기저효과 감소와 원가 부담 증가로 손익이 감소한 게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입니다. 롯데제과 관계자는 "올해 3분기 실적은 7월 합병 후 롯데제과 기준이고 지난해 3분기 자료는 합병 전 롯데제과 연결 기준"이라며 "롯데제과, 롯데푸드 합병에 따라 컨설팅 비용이나 시스템 통합 작업 등 일회성 비용이 발생했다"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아모레퍼시픽그룹은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33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6.2% 감소했다고 31일 공시했습니다. 3분기 매출은 1조21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9% 감소했고, 당기순이익은 29.0% 줄어든 323억원을 기록했습니다. 화장품 부문 매출은 9499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아모레퍼시픽그룹에 따르면 올 3분기 아모레퍼시픽은 중국 소비 시장의 둔화와 원자재 가격 상승 등 악화된 국내외 경영환경으로 어려움에 직면했습니다. 국내 사업은 면세 채널 부진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18.6% 감소한 5871억원의 매출을 기록했습니다. 면세 등 수익성이 높은 채널의 매출이 하락하며 영업이익도 감소했습니다. 다만 순수 국내 이커머스 채널의 화장품 매출이 10% 이상 늘면서 ‘디지털 대전환’의 성과가 확대되고 있다는 설명입니다. 해외 사업은 중국 소비 둔화의 여파로 아시아 지역 매출이 하락하며 12.8% 감소한 3348억원의 매출을 기록했습니다. 그러나 중국을 제외한 기타 아시아 시장에서는 설화수·라네즈·이니스프리 등 주요 브랜드가 선전하며 약 20% 매출이 늘었습니다. 특히 북미 전체 매출이 97% 증가하는 등 북미 시장 내 주요 브랜드 경쟁력이 강화됐습니다. 라네즈의 경우 7월 진행된 ‘아마존 프라임 데이’에서 ‘뷰티 & 퍼스널 케어’ 부문 판매량 전체 1위에 오르기도 했습니다. 유럽에서도 라네즈 및 이니스프리의 판매 호조에 힘입어 전체 매출이 60% 증가했습니다. 주요 자회사들은 브랜드 및 제품 경쟁력 강화와 온라인 채널 판매 호조로 인해 매출과 이익이 대부분 증가했습니다. 이니스프리는 ‘레티놀 시카 흔적 앰플’ 등 대표 상품을 중심으로 온라인 매출이 확대되며 매출 성장과 흑자 전환을 기록했습니다. 아모레퍼시픽 관계자는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사업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 북미 시장에서 전년 대비 2배 가까운 매출 확장을 이뤄냈다"며 "아세안과 유럽 시장에서도 성장세를 이어갔고 주요 자회사도 대부분 매출과 이익이 성장했다"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대웅제약(대표 전승호·이창재)은 올해 3분기 별도 기준 매출액이 301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3.7% 증가했다고 31일 밝혔습니다. 3분기 영업이익은 303억원으로 전년 대비 26.7% 증가했고, 당기순이익은 48.5% 신장한 215억원을 기록했습니다. 대웅제약이 분기 매출액 3000억원을 경신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지난 7월 출시된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펙수클루를 비롯한 고수익 품목 중심의 성장, 보툴리눔 톡신 나보타의 수출 확대 및 우호적 환율 효과가 주효했다는 분석입니다. ETC(전문의약품) 부문 매출액은 전년 대비 6.5% 증가한 2095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펙수클루 출시 직후 시장 점유율 및 원외처방실적 상승과 함께 국내 주요 대학·종합병원, 로컬 시장에 안착했다는 평가입니다. 고지혈증 치료제 크레젯 및 리토바젯 등 수익성 높은 제품군 매출 확대도 성장을 견인했습니다. 회사에 따르면 펙수클루는 임상에서 증명된 우수한 약효와 안전성으로 상급 종합병원 추가 입성이 예상됩니다. 한국인에게 흔하게 발생하는 급성 및 만성위염 위점막 병변 개선에 대한 적응증을 추가 획득한 만큼 실제 처방이 하반기에 시작되면 외형과 매출이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보툴리눔 톡신 제제 나보타는 해외 수요가 크게 늘었습니다. 전년(209억원) 대비 93.3% 증가한 404억원의 매출액을 달성, 이중 수출은 32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30.2% 증가했습니다. 대웅제약은 지난 9월 영국에 나보타를 출시하며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시장인 유럽에 진출했습니다. 일반의약품(OTC) 부문 매출액은 348억원으로 전년 대비 15.9% 증가했습니다. 코로나19로 해열진통제 이지엔6가 55% 증가, 피로회복제 우루사는 10% 늘었습니다. 습윤드레싱 이지덤도 전년 동기 대비 28% 신장한 가운데 하반기에도 약국 유통을 지속 강화해 나갈 예정입니다. 대웅제약 관계자는 "국산 신약 34호 펙수클루가 시장에 안착하고 나보타가 전 세계 주요 보툴리눔 톡신 시장에서 선전하면서 사상 최초로 분기 매출 3000억원을 돌파하는 성과를 거뒀다"며 "다양한 분야에서 경쟁력을 확보해 글로벌 제약사로 도약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김용운 기자ㅣ올해 3분기 역대 최대 분기 매출을 기록한 LG전자가 4분기 전망에는 신중을 기했습니다. 31일 LG전자에 따르면 연결기준 올 3분기 매출액은 21조1768억원, 영업이익 7466억원을 기록했습니다. 매출액은 분기 중 최대로, 전년 동기 대비 14.1% 증가한 수치입니다. 영업이익도 전년 동기 대비 25.1% 증가했습니다. 먼저 H&A(Home Appliance & Air Solution)사업본부는 올 3분기 매출액 7조4730억원, 영업이익 2283억원을 기록했습니다. 매출액은 역대 3분기 중 최대로 전년 동기 대비 5.8% 증가했습니다. 국내를 비롯한 북미, 유럽 등 선진시장에서 전년 동기 대비 성장했으며 공간 인테리어 가전 '오브제컬렉션'을 중심으로 신가전, 스팀가전 등 프리미엄 제품의 인기가 H&A사업본부 실적을 견인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영업이익은 환율 인상 등에 따른 물류비 부담 및 마케팅 비용 증가 등의 영향으로 줄어들었습니다. HE(Home Entertainment)사업본부는 매출액 3조7121억원, 영업손실 554억원을 기록했습니다. 글로벌 TV 수요 감소와 지속된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에 따른 유럽 내 소비심리 위축 영향으로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11.2% 하락했고, 매출액 감소 영향과 경쟁심화에 따른 마케팅 비용 증가로 영업손실이 발생했습니다. VS(Vehicle Component Solution)사업본부는 매출액 2조3454억원, 영업이익 961억원을 기록했습니다. LG전자가 성장동력으로 육성하는 전장사업 매출액은 분기 사상 최대로 전년 동기 대비 45.6% 증가했습니다. 완성차 업체의 생산 확대에 대한 적극 대응과 효과적인 공급망 관리를 통해 2분기 연속 2조원을 돌파했습니다. 영업이익은 인포테인먼트, 전기차 파워트레인, 차량용 조명 시스템 등 모든 사업 영역의 매출 성장과 지속적인 원가 구조 개선으로 2분기 연속 흑자를 기록했습니다. BS(Business Solutions) 사업본부는 1조4292억원의 매출액과 영업손실 144억원을 기록했습니다. 매출액은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 등 B2B 시장 수요 회복으로 전년 동기 대비 9.7% 성장했습니다. 영업이익은 원자재 가격 상승, 물류비 증가 등의 영향으로 영업손실을 기록했습니다. 신한투자증권의 박영우 애널리스트는 "이번 3분기 실적 발표를 통해 TV, 가전의 수요 부진과 경쟁 비용 부담이 재확인됐다"며 "현재 주가는 지난해 고점 대비 58.6% 하락한 상황에서 다수의 악재가 노출됐으나 현 주가는 이미 이를 상당부분 반영하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LG전자 관계자는 3분기 실적에 대해 "매출액은 글로벌 인플레이션 심화에 따른 수요 감소 영향에도 불구하고 신가전 판매 확대와 자동차 부품 매출 성장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신장했다"며 "다만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의 비경상 요인을 감안하면 글로벌 경기 둔화에 따른 수요 위축 등의 영향으로 감소했다"고 밝혔습니다. 4분기 전망에 대해 LG전자 관계자는 "인플레이션 및 금리 인상에 따른 소비심리 하락, 장기화되고 있는 지정학적 리스크 영향으로 사업의 불확실성이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며 "주목을 받고 있는 VS사업본부는 부품 공급사와 긴밀히 협업해 매출 성장 및 흑자기조를 유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삼성중공업[010140]의 3분기 영업손실이 전년 동기 대비 늘은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31일 삼성중공업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잠정 경영실적은 매출 1조4001억원, 영업손실 1679억원입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5.7% 감소했으며, 영업손실 규모는 577억원 확대됐습니다. 직전 분기인 2분기와 비교했을 경우 매출은 2% 감소했으나, 영업이익은 879억원이 개선됐습니다. 삼성중공업 측은 "하계휴가 및 추석연휴를 비롯해 조업일수 감소 등의 영향으로 매출이 감소한 모습을 나타냈다"며 "조업일수 감소에도 상반기 대비 매출액 증대를 계획했지만 사외 외주업체들이 인력 수급에 애로가 있는 상황을 고려해 선제적으로 일부 프로젝트의 생산스케줄을 조정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올해 남은 기간 LNG선과 해양플랜트 등 약 30억불 상당의 추가 수주로 2년 연속 수주 목표 초과 달성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오는 2023년부터는 LNG선 위주의 프로덕트 믹스 개선으로 본격적인 실적 개선이 나타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삼성물산[028260]이 건설과 바이오 부문의 호조세에 힘입어 3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465.1%가 증가하는 성과를 거뒀습니다. 28일 삼성물산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연결기준 잠정실적 집계 결과 매출은 11조2560억원, 영업이익은 7970억원, 당기순이익은 5970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지난해 3분기와 비교할 경우 매출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35.6%, 59.1% 늘었으며, 영업이익은 무려 465.1%가 증가했습니다. 사업부문 별로 볼 경우 건설부문은 매출 4조1890억원, 영업이익 3240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74%, 영업이익은 흑자 전환했습니다. 하이테크 공정 호조 및 해외 신규 프로젝트 매출이 본격화되고 국내외 준공 프로젝트의 손익이 개선되며 실적이 증가했다는 삼성물산 측의 설명입니다. 상사부문은 매출 4조7960억원, 영업이익 590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전년 대비 매출은 9.9%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28% 감소했습니다. 상사부문의 경우 화학 분야(1조8010억원)와 철강 부문(1조5580억원)이 매출 증가를 이끌었습니다. 레저부문은 2270억원의 매출과 480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렸으며, 식음부문은 매출 7030억원, 영업이익 240억원을 기록했습니다. 레저부문은 파크 집객 회복 및 성수기 영업 확대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69.4% 증가했으며, 식음부문은 대외급식 신규 매출 및 식자재 유통 사업이 확대되는 호조로 22.6%의 매출 증가세를 나타냈습니다. 바이오부문은 매출 8700억원, 영업이익 3130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주요 사업 호조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92.9%, 100.6%의 높은 증가세를 올렸습니다. 삼성물산 측은 "글로벌 경기침체 우려 등 급변하는 사업환경에서도 사업별 경쟁력 및 다각화된 포트폴리오 등을 기반으로 실적 성장세를 이어갔다"고 설명했습니다.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현대중공업그룹 지주사인 HD현대가 두 분기 연속 1조원대 영업이익을 달성했습니다. 27일 HD현대가 공시한 3분기 연결기준 실적에 따르면, 매출 17조2872억원, 영업이익 1조716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37.5%, 영업이익은 255.2% 증가했습니다. HD현대 측은 "전 세계적인 인플레이션과 각국의 금리 인상,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장기화 등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이 확산되는 가운데에서도 지난 분기에 이어 1조원대 영업이익을 기록했으며 전 계열사가 흑자를 달성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주요 사업 부문별로 살펴볼 경우, LNG운반선 비중확대, 환율 상승과 지속적인 원가절감 노력 등에 힘입어 흑자전환에 성공한 조선 부문의 실적 개선이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건설기계 부문도 선진·신흥 시장에서의 매출 확대를 바탕으로 견조한 실적을 유지했으며, 에너지 사업부문은 정유부문의 높은 고도화율과 석유화학 부문의 견조한 실적을 바탕으로 안정적인 실적을 이어갔습니다. 계열사 별로 보면, 한국조선해양은 3분기 매출 4조2644억원, 영업이익 1888억원의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한국조선해양은 하기휴가 등으로 인한 조업일수 감소와 더불어 인플레이션 국면 등 어려운 대외 경영환경 속에서도 선박 포트폴리오 개선, 꾸준한 원가절감 및 공정 효율화 노력 등에 힘입어 전 분기 대비 흑자전환에 성공했습니다. 전년 동기과 견줄 경우 매출은 19.9%, 영업이익은 33.2% 증가했습니다. 건설기계 부문 계열사인 현대제뉴인은 매출 2조1016억원, 영업이익 1310억원의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현대제뉴인은 다양한 제품 라인업을 바탕으로 한 유럽, 북미 등 선진시장과 동남아 등 신흥시장에서의 큰 폭의 매출 신장과 엔진 사업 매출 증대 등에 힘입어 중국 시장 위축에도 불구하고 호실적을 올렸습니다. 현대일렉트릭은 매출 5351억원, 영업이익 378억원을 올렸습니다. 선별 수주 전략, 조선 업황 개선 및 환율 상승 등에 따라 실적이 개선되며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전년 동기 대비 35.8%, 410.8% 증가했습니다. 에너지 부문의 현대오일뱅크는 매출 10조2831억원, 영업이익 7022억원을 기록했습니다. 특히 영업이익의 경우 수요 둔화에 따른 정제마진 하락과 유가 하락으로 인한 재고평가 손실 등에도 불구하고 전년 동기 대비 305.6%가 증가하는 성과를 거뒀습니다. 현대글로벌서비스는 친환경 선박 리트로핏과 선박 부품서비스 수주 호조에 힘입어 매출 2896억원, 영업이익 367억원의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현대로보틱스는 76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리며 전년 동기 대비 흑자로 전환했습니다. 현대중공업그룹 관계자는 "조선, 정유, 건설기계 등 전 사업영역에서 안정적인 흑자 기조를 유지, 전 분기에 이어 1조원대 영업 이익을 거뒀다"며 "복합 경제 위기가 가시화되는 가운데 친환경 기술 개발을 통한 시장 선점과 수익성 위주의 영업 전략을 펼쳐 견조한 실적을 이어갈 수 있도록 총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LG생활건강(대표 차석용)은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190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4.5% 감소했다고 27일 공시했습니다. 3분기 매출은 1조8703억원으로 전년 대비 7.0% 줄었고 당기순이익은 46.8% 감소한 1274억원을 기록했습니다. LG생활건강에 따르면 올해 초 시작된 중국 봉쇄정책이 3분기에도 지속되며 중국 경제 전반의 침체로 이어졌습니다.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에 기인한 원자재 가격 상승과 환율 영향으로 원가 부담이 가중되는 등 경영환경이 악화됐다는 설명입니다. 뷰티(화장품)사업 3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3.1% 감소한 7892억원, 영업이익은 68.6% 감소한 676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3분기는 화장품 비수기인 가운데 중국 시장에서 간헐적 봉쇄로 오프라인 매장 영업 정상화가 지연되는 등 소비가 위축돼 중국과 면세 채널에서 부진했습니다. 대신 ‘오휘’, ‘CNP’ 등 명품 브랜드 매출이 각각 22%, 2% 증가했습니다. 색조 화장품도 강화하고 있습니다. 펄 메이크업 브랜드 ‘글린트’는 온라인 출시 후 최근 국내 최대 H&B스토어에 입점했고, 더크렘샵은 미국에서 신제품 출시와 채널 확대를 통해 관심 고객수를 늘려가고 있습니다. 에이치디비(홈·데일리뷰티)사업 3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8.8% 증가한 5873억원, 영업이익은 11.8% 감소한 561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오랄·헤어·바디케어 카테고리 내 프리미엄 라인 매출은 늘었으나, 높아진 원자재 가격에 환율 영향까지 가중된 원가부담으로 영업이익은 줄었습니다. 다만 ‘닥터그루트’가 클림트의 명화를 담은 애딕트 키스에디션과 마이크로바이옴 맥주효모 영양 샴푸를 출시하는 등 브랜드 기능을 강화했습니다. ‘피지오겔’은 냉장화장품 콜드테라피와 피지케어 라인 레드 수딩 시카밸런스 등을 출시하며 포트폴리오를 확대했습니다. 리프레시먼트(음료)사업 3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1.3% 증가한 4939억원, 영업이익은 4.9% 증가한 663억원을 달성했습니다. ▲코카콜라 ▲스프라이트 ▲몬스터에너지 등이 지속 성장하고 있으며, 원부자재 단가 상승 등 비용 부담에도 효율적인 운영을 통해 영업이익이 늘었습니다. LG생활건강 관계자는 "건강을 중시하는 헬시플레저 트렌드에 따라 코카콜라 제로가 포뮬라 개선 및 리미티드 에디션을 선보였다"며 "올 상반기 출시된 파워에이드 프로틴, 토레타 THE 락토 등 영양성분을 강화한 신제품들도 호응을 받으며 매출 성장에 기여했다"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김용운 기자ㅣ삼성SDS는 27일 실적 공시를 통해 3분기 매출액 4조1981억원, 영업이익 1850억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습니다. 지난해 동기 대비 매출액은 24.2% 증가, 영업이익은 16.7% 감소한 수치입니다. 부문별로 IT서비스 사업에서는 ▲자체 클라우드 서비스 SCP(Samsung Cloud Platform)의 금융권 적용과 고성능 컴퓨팅(HPC) 서비스 확대 ▲클라우드 관리 서비스(MSP) 사업 업종 확대, 앱 현대화 추진 ▲제조 SCM 컨설팅 등 클라우드 기반 SaaS 사업 등을 수주 등이 매출 상승을 견인했습니다. 또한 전사적자원관리(ERP) 대외사업, 제조실행시스템(MES) 해외사업의 지속 확산 등에 따라 지난해 동기 대비 7.8% 증가한 1조4871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물류 사업에서는 ▲첼로 스퀘어 국내·외 고객 확대 ▲해외 내륙운송·물류센터 운영 확대 ▲설비이전 물류와 제약·바이오 물류 신규 사업 추진 등에 따라 지난해 동기 대비 35.4% 증가한 2조7110억원의 매출을 올렸습니다. 삼성SDS는 향후 IT분야에서 자사 CSP인 SCP와 글로벌 CSP사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결합해 멀티 클라우드 환경에서 기술 우위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별화된 전략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이와 함께 SaaS 솔루션 등 클라우드 투자를 통해 고객의 디지털 전환을 적극 지원하면서 클라우드 사업을 더욱 확대할 방침입니다. 물류 분야에서는 디지털 물류 플랫폼 첼로 스퀘어(Cello Square)를 중국에 이어, 이달 내 베트남·싱가포르로 서비스 지역을 확대하고, AI· 데이터 분석 기술을 활용해 물류 가시성을 개선하면서 디지털 포워딩 사업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현대제철[004020]의 3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54.9%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27일 현대제철이 공시한 올해 3분기 연결기준 실적 자료에 따르면, 매출액 6조9999억원, 영업이익 3730억원, 당기순이익 2638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매출액은 19.4% 증가했으나 영업이익은 54.9%, 당기순이익은 55.7% 감소했습니다. 현대제철 측은 에너지 비용 상승과 함께 높은 원가의 원재료로 생산했던 제품을 하반기 시장 가격 하락 상황에서 판매하며 수익이 감소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와 더불어 현대제철은 고객 확대와 저탄소 제품 시장 선도 등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펼치는 중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발표에 따르면, 고객 확대는 글로벌 자동차 강판 판매 확대를 비롯해 국내외 에너지 프로젝트향 후판 수주 등을 바탕으로 매진 중입니다. 또, 저탄소 제품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 전기로를 통해 탄소배출을 30% 이상 저감한 1.0GPa급 고급 판재의 시제품을 개발하고, 저탄소 선재 제품 및 전기로 활용 공정에 대한 글로벌 CFP1 사전인증도 획득했습니다. 현대제철 관계자는 "글로벌 경기침체 우려와 중국 부동산 경기 부진에 따라 철강수요가 감소하고 고강도 긴축 통화정책으로 글로벌 철강가격 약세는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며 "수익 중심의 안정적 사업 기반 강화에 주력할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한화솔루션[009830]이 올해 3분기 태양광 모듈 판매 호조에 힘입어 통합법인 출범 이후 사상 최대 영업이익을 달성하는 성과를 거뒀습니다. 27일 한화솔루션이 발표한 3분기 연결기준 실적에 따르면, 매출은 3조3657억원, 영업이익은 3484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30.4% 올랐으며, 영업이익은 95.3%가 증가한 동시에 지난 2분기에 기록한 2777억원을 뛰어넘으며 역대 최대 액수를 달성했습니다. 한화솔루션의 영업이익 증가는 신재생 에너지 부문의 영업익 흑자전환이 이끈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신재생 에너지 부문은 지난 1분기까지 연속 영업손실을 기록했으나 3분기 1972억원의 영업이익으로 흑자전환함과 동시에 최대 이익 기록을 경신했습니다. 특히, 탄소중립과 에너지 안보의 중요성이 대두되며 미국, 유럽 등에서 태양광 모듈 판매 호조를 보인 것이 신재생 에너지의 영업이익 증대로 이어졌다고 한화솔루션 측은 설명했습니다. 한화솔루션은 태양광 모듈 평균 판매가(ASP)가 상대적으로 높은 미국 주거용과 상업용 태양광 시장에서 지난 2분기까지 각각 16분기와 11분기 연속 점유율 1위에 올랐으며, 3분기에도 1위가 유력한 상황입니다. 이와 함께, 케미칼 부문은 매출과 영업이익 변동률이 대조되는 모습을 나타냈습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2.1% 늘어난 1조4696억원을 올렸으나. 영업이익은 55% 감소한 1197억원을 기록했습니다. 고유가 환경이 지속되며 기초 소재 제품의 판매 가격이 올라갔지만, 핵심 원료인 납사 가격 상승 지속에 따라 마진이 줄어들며 대비되는 흐름을 보였습니다. 첨단소재 부문은 매출 3127억원, 영업이익 198억원을 기록했으며, 갤러리아 부문은 매출 1265억원, 영업이익 77억원을 올렸습니다. 신용인 한화솔루션 CFO는 "전 세계적인 탄소 중립 활동 강화와 에너지 안보 중요성 증대에 따라 당분간 태양광을 비롯한 재생 에너지 수요가 꾸준히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며 "물류비 감소 등 외부 환경도 호전되고 있어 4분기에도 실적 개선세가 이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인더뉴스 김용운 기자ㅣ삼성전자가 3분기 기준,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했습니다. 하지만 메모리 반도체의 수익성이 약화되면서 영업이익은 감소했습니다. 27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연결기준 올해 3분기, 매출 76.78조원, 영업이익 10.85조원을 기록했습니다. 삼성전자는 올해 1분기부터 3분기까지 모두 해당 분기 최대 매출을 경신했습니다. 그러나 3분기 전체 영업이익은 전분기 대비 3.25조원 감소한 10.85조원을 기록했고 영업이익률도 14.1%로 전분기 대비 4.1%p 줄어들었습니다. 먼저 DS(Device Solutions) 부문은 3분기 매출 23.02조원, 영업이익 5.12조원을 기록했습니다. 메모리는 예상을 상회하는 고객사 재고 조정과 중화권 모바일 등 소비자용 메모리 제품군의 수요 둔화세 지속으로 전분기 대비 실적이 감소했습니다. 시스템LSI는 모바일, TV 등의 수요 둔화 여파로 이익이 감소했지만 파운드리는 지속적인 첨단 공정 수율 개선과 성숙 공정의 매출 기여 확대로 최대 실적을 경신했습니다. SDC는 3분기 매출 9.39조원, 영업이익 1.98조원을 기록했습니다. 중소형은 폴더블을 포함한 플래그십 스마트폰 신제품 출시에 따라 수요가 증가하고 기술 차별화를 통해 주요 고객사가 출시한 신제품 내 점유율이 증가하면서 전분기와 전년 동기 대비 실적이 대폭 올랐습니다. 다만 대형은 TV·모니터 시장 약세와 초기 투자비 부담으로 적자가 지속됐습니다. DX(Device eXperience) 부문은 3분기 매출 47.26조원, 영업이익 3.53조원을 기록했습니다. MX는 폴더블 등 플래그십과 웨어러블 신모델 판매가 호조를 보여 선방 했습니다. 네트워크는 해외사업 중심으로 실적이 개선됐고, 미국 1위 케이블 사업자 컴캐스트(Comcast) 사업 확보 등 신규 수주 활동을 지속했습니다. VD(영상디스플레이)는 프리미엄 중심 판매 확대 측면에서는 성과를 얻었지만 전반적인 수요 감소와 비용 증가 영향으로 이익이 감소했습니다. 생활가전은 판매 믹스를 개선했으나 소비 부진 속에서 재료비와 물류비 부담으로 성장세를 둔화되었습니다. 하만은 커넥티드카 기술과 솔루션에 대한 견조한 수요 가운데, 고객사 주문 물량이 늘어나고 소비자 오디오 판매도 증가하면서 분기 최대 실적을 달성했습니다. 4분기 실적에 대해 삼성전자는 우선 글로벌 IT 수요 부진과 메모리 시황 약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이에 따라 파운드리와 SDC에 대해서는 실적 개선세를 유지하는 한편, DX는 수익성 확보를 위한 노력을 지속할 계획입니다. 메모리는 핵심 인프라 투자가 지속되면서 서버 펀더멘탈 수요는 유지될 것이나 고객사 재고 조정 영향은 계속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시스템LSI는 모바일 고객사 신제품 출시에 따라 SoC(System on Chip) 매출 증가가 예상되며, 2억 화소 이미지센서 판매 확대에 힘을 쏟을 계획입니다. 파운드리는 견조한 글로벌 고객사 수요가 지속적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으며 SDC는 독보적 강점을 보유한 스마트폰용 프리미엄 OLED 수요 강세로 중소형 패널의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삼성전자는 "글로벌 인플레이션과 수요 둔화 등 매우 어려운 경영 여건이 지속된 가운데서도 3분기 기준 최대 매출을 달성했다"며 "올해 3개 분기 모두 해당 분기 최대 매출을 경신한만큼 연간 기준으로도 전년도에 이어 사상 최대 매출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동아에스티(대표 김민영)는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이 14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1.8% 증가했다고 26일 공시했습니다. 3분기 매출은 1583억원으로 전년 대비 4.2% 늘었고 당기순이익은 환율 상승 효과로 98.8% 신장한 240억원을 기록했습니다. 동아에스티에 따르면 올 3분기 실적은 ETC(전문의약품) 부문이 소폭 하락했지만, 해외사업 부문과 의료기기·진단사업 부문이 전년 동기 대비 성장하며 매출과 영업이익이 증가했습니다. ETC 부문은 그로트로핀(인성장호르몬제)·모티리톤(기능성소화불량치료제) 등 주력 품목들의 매출이 증가했으나, 슈가논(당뇨병치료제)의 시장 적정재고 유지를 위한 유통 물량조절 이슈 등으로 1년 전보다 2.4% 감소했습니다. 해외사업 부문은 캔박카스(캄보디아) 판매량 증가 및 환율 상승 효과로 매출이 늘었습니다. 그로트로핀(브라질)의 텐더 시장 진입, 다베포에틴알파(일본) 등 바이오의약품 매출 호조로 같은 기간 24.2% 증가했습니다. 의료기기·진단 부문은 의료기기 부문 내시경 세척기 등 의료장비 등의 매출이 증가하고, 진단 부문 진공채혈관 매출 신장으로 전년 동기 대비 7.4% 늘었습니다. 향후 동아에스티는 R&D(연구개발) 부문에서 건선치료제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 'DMB-3115'의 글로벌 개발에 집중합니다. 현재 미국 및 유럽 9개국에서 임상 3상을 진행하고 있으며 다음달 완료 예정입니다. 내년 상반기 중 미국과 유럽에 NDA(신약허가신청)할 계획입니다. 또 미국 뉴로보에 기술 이전한 당뇨병 및 비알콜성 지방간염 치료제 'DA-1241'은 글로벌 임상 2상을 준비 중이고, 당뇨병치료제 'DA-1229'는 합작사인 레드엔비아가 대동맥판막석회화증치료제로 개발하기 위해 국내 임상 2상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미국 임상 2b/3a상도 개시했습니다. 주1회 패치형 치매치료제 'DA-5207'은 국내 임상 1b상 진행 중이며 과민성방광치료제 'DA-8010'은 올해 3월 국내 임상 3상을 개시했습니다.
인더뉴스 문승현 기자ㅣIBK기업은행(은행장 윤종원)은 올 3분기 당기순이익(연결기준)이 7963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30.1% 증가했다고 26일 밝혔습니다. 3분기까지 누적 순이익도 전년동기 대비 10.7% 늘어난 2조227억원을 기록했습니다. 3분기 말 기준 중소기업 대출잔액은 217조7000억원으로 지난해 말보다 6.8%(13조8000억원) 늘었습니다. 시장점유율은 22.8%로 집계됐습니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꾸준히 지원한 결과"라고 설명했습니다. 연체기간이 3개월 이상인 고정이하여신(NPL) 비율은 0.80%로 지난해 3분기말 대비 0.05%포인트 떨어졌습니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혁신금융을 강화하고 ESG(환경·사회·지배구조)와 녹색금융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는 등 민간금융만으로 충분하지 않은 분야에서 시장을 선도해 정책금융 역할 재정립 요구에 부응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현대건설[000720]의 올해 3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보다 24.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6일 현대건설이 발표한 올해 3분기 연결기준 실적 잠정집계 자료에 따르면, 매출액 5조4308억원, 영업이익 1537억원, 당기순이익 2347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24.8%, 58.2%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30.2% 감소했습니다. 3분기까지 누계 실적은 매출액 15조1556억원, 영업이익 5006억원, 당기순이익 6428억원 기록했습니다. 매출액과 당기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7.6%, 50.3% 늘었으며, 영업이익은 11.0% 줄었습니다. 현대건설 측은 "사우디 마르잔 공사, 이라크 바스라 정유공장, 파나마 메트로 3호선 등 해외 대형 공사가 본격화되고, 힐스테이트 더 운정, 힐스테이트 송도 더 스카이 현장 등 국내 주택실적 호조가 이어지며 누계 매출 증가로 이어졌다"고 설명했습니다. 당기순이익의 경우 "원달러 환율 상승에 따른 장부상 외화순자산의 평가이익이 반영되며 상승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아울러, 신규 수주는 필리핀 남부철도 공사, 사우디 네옴시티 터널 공사, 쿠웨이트 슈웨이크 항만 공사 등 해외 대형 공사 및 광주 광천동 주택재개발, 이태원동 유엔사부지 사업, 광양항 광역 준설토 투기장 조성공사 등 독보적 국내 사업 수주를 바탕으로 28조7295억원을 기록했습니다. 달성률은 101.3%, 수주잔고는 91조2506억원을 나타냈습니다. 신용등급은 업계 최고 수준인 AA-등급을 이어갔으며, 지불능력 지표인 유동비율은 186.6%, 부채비율은 104.8%를 기록했습니다.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은 4조6753억원, 순현금은 2조9525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4분기 이후에도 굵직한 대형 프로젝트의 실적 확대와 유동성 확보로 중장기 안정적 경영에 박차를 가하고 지속적인 수익성 개선으로 시장 신뢰를 유지할 것"이라며 "소형모듈원전(SMR), 스마트시티, 수소에너지 등 미래 사업전략과 연계한 신사업 전환을 가속화하는 동시에 우수한 기술력, 풍부한 해외공사 수행경험을 바탕으로 해외사업 확장에도 주력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삼성바이오로직스가 글로벌 인플레이션, 경기하락의 경영환경에도 올해 3분기 말 기준 연간 누적 매출 2조원을 돌파했습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대표 존 림)는 올해 3분기에 연결 기준 매출 8730억원, 영업이익 3247억원을 기록했다고 26일 공시했습니다. 3분기 매출은 제품 판매량 증가 및 환율 상승 효과 등의 영향으로 전년동기 대비 94% 늘었고, 영업이익도 94% 증가했습니다. 영업이익률은 37%입니다. 이로써 올해 3분기 누적 매출은 연결 기준 2조358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연간 매출액이 2조원을 넘은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3분기 별도 기준 매출은 6746억원으로 전년 대비 49%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3114억원으로 86% 늘었습니다. 원료의약품 CMO(위탁생산) 판매량 및 CDO(위탁개발) 등 이익이 늘어난 가운데 환율 상승의 영향을 받았습니다. 지난 4월 삼상바이오로직스 100% 자회사로 편입된 삼성바이오에피스는 3분기 매출 2698억원, 영업이익 779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지난해 3분기 미국·유럽 제품 허가 마일스톤(단계별 기술료) 수령에 따른 일시적 기저 효과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 12억원, 영업이익은 236억원 감소했습니다. 또 4공장 건설 및 2단지 부지 취득 등의 영향으로 삼성바이오로직스의 3분기 연결 기준 자산은 16조918억원, 자본 8조6106억원, 부채 7조4812억원으로 변경됐습니다. 부채비율은 86.9%, 차입금 비율은 24.1%입니다.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GS건설[006360]이 올해 3분기까지 누적 신규 수주규모가 역대 최대치를 기록하는 등 사업 수주에서 두드러진 모습을 보였습니다. 26일 GS건설이 발표한 3분기 잠정 경영실적에 따르면, 3분기까지 누적된 신규 수주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67.6% 늘어난 12조4470억원으로 집계되며 창사 이래 역대 최대규모를 기록했습니다. 이전 3분기까지 누적 최대 신규수주 기록은 2014년에 달성한 10조1660억원입니다. 이와 더불어, 3분기까지 올해 수주 목표로 잡은 14조6420억원의 85%를 달성했습니다. 3분기 누적 매출의 경우 8조3770억원, 영업이익은 4430억원, 세전이익은 6850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매출은 30.5% 늘었으며, 영업이익은 2.4% 줄었습니다. 아울러, 3분기만 봤을 경우 매출은 2조9530억원, 영업이익은 1250억원, 세전이익은 2320억원, 신규수주는 4조6780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전년 동기와 비교할 경우 매출은 36.0%, 세전이익은 19.6% 늘었으나 영업이익은 17.8% 감소했습니다. 신규 수주는 4조6780억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77.9% 증가했습니다. GS건설은 대표적 성장지표로 꼽히는 매출과 신규수주 등이 크게 늘어나며 분기 매출 증가로 이어졌다고 설명했습니다. 영업이익은 최근 원자재 가격 상승 등 대외환경변화를 고려해 선제적으로 원가율을 보수적으로 조정하면서 감소했다고 덧붙였습니다. GS건설 관계자는 "건설업을 둘러싼 어려운 경영 상황에서도 올해 신규수주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며 성장을 이어갈 모멘텀을 확보해가고 있다"며 "향후에도 수익성에 기반한 선별 수주와 내실있는 사업 추진을 통해 성장 동력을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LG에너지솔루션[373220]이 북미시장 배터리 출하량 증가 등에 힘입어 분기 최대 매출을 달성하는 성과를 거뒀습니다. 26일 LG에너지솔루션에 따르면, 올해 3분기 매출은 7조6482억원, 영업이익은 5219억원을 기록했습니다.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89.9% 늘었으며, 영업이익의 경우 3728억원 적자에서 흑자로 전환했습니다. 특히, 영업이익의 경우 라이선스 대가 합의금 및 충당금 등 일회성 요인이 반영된 지난해 2분기(7243억원)를 제외하면 가장 높은 수치입니다. LG에너지솔루션 측은 최대 매출을 기록한 주요 요소로 북미 및 유럽 고객향 전기차 배터리 출하량의 증가와 북미 전력망용 ESS(에너지저장장치) 제품 공급 본격화, IT 신모델 수요 대응 등을 꼽았습니다. 이창실 LG에너지솔루션 CFO는 "매출 성장에 따른 규모의 경제 효과, 메탈 등 주요 원재료 원가 상승분의 판가 인상 반영 및 생산성 향상 등으로 전 제품군의 수익성도 개선됐다"며 "달러 강세의 우호적인 환율 환경이 지속된 점도 실적 개선의 주요 요인"이라고 밝혔습니다. 실적 발표와 함께 4분기에 대비하기 위한 청사진도 내놓았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은 북미 지역 내 시장 경쟁력 확대 및 공급망 체계 구축 등 북미 시장 공략을 가속화해 대비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북미 시장 대응력 강화는 ▲지역 ▲고객 ▲제품 ▲스마트팩토리 등 총 4개 부문을 큰 틀로 잡고 진행할 계획입니다. 지역 부문의 경우 GM, 스텔란티스, 혼다 등 주요 완성차 업체와 함께 합작 배터리 생산공장 및 미시간 단독공장 등을 바탕으로 생산 능력을 꾸준히 확장할 예정입니다. 이를 바탕으로 오는 2025년 생산 능력은 글로벌 배터리 기업 최대 규모인 250~260GWh에 달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고객 및 제품 부문은 핵심 고객 추가 확보를 위해 공급사를 확장하고, 북미 지역 내에서 EV파우치를 비롯해 ESS(에너지저장장치), 원통형 배터리 생산을 바탕으로 강화할 계획입니다. 스마트팩토리 부문은 전(全) 생산공정 디지털화로 글로벌 통합관리 체계 구축을 통해 수율 개선 및 품질안정화, 생산성 향상을 달성한다는 방침입니다. 아울러, 핵심 원재료 현지화 확대 등 북미 공급망 체계 구축에도 앞장설 예정입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주요 협력사들과의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핵심 소재 북미 현지화에 나설 예정이며, 이를 통해 양극재 63%, 핵심광물 72% 등 5년 내 북미 및 FTA 체결국가로부터의 현지화율을 대폭 높이겠다는 계획입니다. 권영수 LG에너지솔루션 부회장은 "견조한 수주 잔고를 바탕으로 독보적인 매출 성장 및 수익성 제고, 스마트팩토리 기반의 차별화된 생산 역량 확보, 글로벌 완성차 업체와 전략적 파트너십 등을 통해 글로벌 선도 기업으로 입지를 강화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고객이 신뢰하고 사랑하는 수익성 넘버원 기업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문승현 기자ㅣKB금융그룹이 올 3분기까지 누적으로 4조원대 순이익을 내며 역대 최대 기록을 다시 썼습니다. KB금융지주는 25일 공시를 통해 3분기 누적 4조279억원의 당기순이익을 냈다고 밝혔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6.8%(2555억원) 증가한 것입니다. 주식시장 침체와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로 어려운 영업환경에서도 여신성장과 순이자마진(NIM)이 개선된 영향이라고 KB금융지주는 분석합니다. KB금융의 3분기 순이자이익은 2조8974억원으로 1년 전보다 19.4% 늘었습니다. 이에 따라 3분기 기준 KB금융그룹과 KB국민은행의 NIM은 각각 1.98%, 1.76%로 직전 2분기 대비 각각 0.02%포인트, 0.03%포인트 높아졌습니다. 다만 3분기 당기순이익은 1조2713억원으로 전분기(1조3035억원)와 비교해 2.5% 줄었습니다. 1년 전(1조2981억원)에 견줘서도 2.1% 감소한 수치입니다. KB금융지주 관계자는 "지난 2분기 일회성이익인 손해보험 부동산 매각익(세후 1230억원) 기저효과"라며 "이를 제외하면 전분기 대비 7.7% 증가한 실적"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주요 계열사별로 KB국민은행은 견조한 이자이익 증가와 비용관리에 힘입어 8242억원의 분기순이익을 냈습니다. 전분기 대비 10.0% 증가한 것입니다. KB자산운용의 3분기 순이익은 28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5.4% 늘었습니다. 반면 KB증권(1217억원), KB손해보험(813억원), KB국민카드(1066억원), 푸르덴셜생명(500억원)의 순이익은 1년 전보다 각각 27.9%, 35.6%, 12.1%, 20.9% 마이너스를 기록했습니다. 이날 KB금융그룹 이사회는 주당 500원의 분기배당을 의결했습니다. 올해 누적 분기 배당금은 주당 1500원입니다. KB금융그룹은 올해 처음으로 분기배당을 도입·정례화하고 지난 2월과 7월 총 3000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소각한 바 있습니다.
인더뉴스 문승현 기자ㅣ우리금융그룹(회장 손태승)은 올 3분기 8998억원의 당기순이익을 냈다고 25일 밝혔습니다. 직전인 2분기(9227억원) 대비 2.5% 감소한 것이지만 지난해 같은 기간(7782억원)과 비교하면 15.7% 증가한 것입니다. 올 3분기 누적 기준 순이익은 1년전(2조1979억원)보다 21.1% 늘어난 2조6617억원입니다. 우리금융그룹 관계자는 "어려운 영업환경 속에서도 역대 최대 3분기 실적을 거두며 탄탄해진 우리금융의 펀더멘털을 다시 한 번 증명했다"고 평가했습니다. 세부적으로 보면 이자이익과 비이자이익을 합한 순영업수익이 3분기 누적 7조263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7.5% 증가했습니다. 이 가운데 이자이익은 6조3476억원입니다. 기업대출 중심의 대출 성장과 적극적인 조달 비용 관리를 토대로 개선 흐름이 이어졌습니다. 비이자이익은 9155억원으로 금융시장 불확실성 확대에도 신탁, 리스 관련 수수료 등 호조로 수수료 이익이 늘어나 전년 동기 대비 14.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자산건전성 부문에선 올 9월 말 기준 고정이하여신(NPL) 비율 0.29%, 연체율 0.22%로 지난 분기에 이어 안정적 수준을 유지했습니다. 우량자산비율과 NPL커버리지비율은 각각 89.3%, 223.5%입니다. 그룹 판매관리비용률은 인플레이션 우려에도 선제적 비용관리 노력 결과 전년 동기 대비 4.7%포인트 개선된 40.5%로 집계됐다고 우리금융은 밝혔습니다. 주요 자회사별 3분기 누적 연결 순이익은 우리은행 2조3735억원, 우리카드 1792억원, 우리금융캐피탈 1673억원, 우리종합금융 683억원입니다. 손태승 우리금융 회장은 이날 실적발표 콘퍼런스콜에 참석해 "2023년에도 국내외 불확실한 경제여건은 지속될 것"이라며 "내년 경영계획은 내실경영과 함께 리스크 관리역량 강화에 집중하는 방향으로 수립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기아[000270]의 올해 3분기 매출이 지난해 동기 대비 30.5% 증가한 23조1616억원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5일 기아가 발표한 IFRS 연결기준 3분기 실적에 따르면, 글로벌 판매량 75만2104대, 매출액 23조1616억원, 영업이익 7682억원, 경상이익 7300억원, 당기순이익 4589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글로벌 판매량은 9.9%가 올랐고, 매출액은 30.5%가 증가하며 IFRS 집계 기준 최대 매출 기록을 세웠습니다. 반면,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42.1%, 59.6%가 줄었습니다. 글로벌 판매량의 경우 국내에서 13만2768대, 해외에서 61만9336대를 기록했습니다. 국내 판매의 경우 EV6를 비롯해 신형 니로 등 신차 효과와 함께 반도체 등 부품 수급 개선에 힘입어 SUV 대기 수요가 해소된 것이 호조세의 원동력으로 작용했다고 기아차 측은 설명했습니다. 해외 판매는 러시아 권역의 판매 중단에도 불구하고 수익성이 더 높은 타 권역으로의 물량 전환과 인도공장 3교대 전환, 신차 효과 등에 힘입어 증가세를 나타냈습니다. 매출액은 부품 수급 상황이 어느정도 개선되고 신형 SUV의 본격 판매 및 차종의 사향 상향에 따른 판매가격 상승에 환율 상승이 더해지며 전년 동기 대비 큰 폭으로 증가했습니다. 매출 확대에 힘입어 매출 원가율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3% 늘은 79.7%를, 판매관리비율은 판매보증비 증가에 따라 전년 동기보다 6.5% 상승한 17.0%를 올렸습니다. 영업이익의 경우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2.1%가 감소하며 매출액 증가와는 대조되는 모습을 나타냈습니다. 기아 측은 "큰 폭의 매출 증가를 달성했음에도 불구하고 엔진 품질보증비용이 확대되며 영업이익 감소를 피할 수 없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영업이익 감소로 영업이익률 또한 지난해 동기보다 4.2% 하락한 3.3%를 기록했습니다. 아울러, 3분기 글로벌 친환경차 판매량의 경우 전년 동기 대비 46.8%가 오른 12만3000대로 집계됐습니다. 친환경차를 유형별로 구분해 볼 경우 하이브리드 6만2000대, 전기차 4만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2만1000대의 판매량을 나타냈습니다. 3분기 전체 판매량 대비 비중은 16.8%입니다. 기아 관계자는 "반도체 등 부품 수급 상황 개선과 연계해 공급을 최대한 늘려 높은 대기 수요를 빠르게 해소하고, 친환경차와 고수익 RV 모델 중심으로 판매를 확대해 수익성 강화를 지속 추진할 계획"이라며 "해외 시장에서의 핵심 차종에 대한 판매 본격화와 제품 및 트림 믹스를 지속 상향하고 개선된 브랜드 및 상품성에 부응하는 가격 정책을 이어갈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인더뉴스 문승현 기자ㅣ신한금융그룹이 금리상승에 따른 이자이익과 신한투자증권 사옥 매각에 힘입어 올 3분기 역대 최대 수준의 순이익을 냈습니다. 신한금융지주는 올해 3분기 당기순이익(지배기업 지분 순이익 기준)이 1조5946억원으로 집계됐다고 25일 공시했습니다. 직전 분기인 올 2분기(1조3204억원) 대비 20.8%, 1년 전인 지난해 3분기(1조1157억원) 대비해선 42.9% 큰 폭으로 증가한 것입니다. 3분기 누적 순이익은 4조3154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3조5594억원)에 견줘 21.2% 불었습니다. 신한금융의 견조한 실적은 금리상승으로 순이자마진(NIM)이 개선되고 사옥 등 비영업자산 매각을 통한 자본효율화 노력이 주효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올 3분기 신한금융의 순이자이익은 2조7160억원으로 전분기와 비교해 2.7%, 1년 전 대비로는 17.8% 증가했습니다. 이에 따라 신한금융그룹과 신한은행의 3분기 NIM은 각각 2.00%, 1.68%를 기록했습니다. 전분기 대비 각각 0.02%포인트, 0.05%포인트 높아졌습니다. 반면 3분기 비이자이익은 6092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28.8% 줄었습니다. 신용카드, 증권수탁, 투자금융 등 수수료이익과 유가증권 관련 손익이 모두 감소한 영향입니다. 계열사별로 보면 핵심계열사인 신한은행의 3분기 순이익은 9094억원으로 나타났습니다. 전분기 대비 10.9%,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9.8% 증가했습니다. 이자이익은 기업 대출 중심의 자산 성장과 NIM 개선으로 1년 전보다 24.6%(1조1887억원) 늘었습니다. 이와 함께 신한투자증권의 3분기 순이익은 381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무려 754.4% 크게 증가했습니다. 사옥 매각이익 등 일회성 이익과 주식시장 침체에도 주식위탁매매 시장점유율이 개선된 영향이라고 신한금융지주는 밝혔습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3분기 신한카드 순이익(1750억원)은 2.0% 늘고, 신한라이프(920억원)는 0.8% 줄었습니다. 한편 신한금융그룹 이사회는 지난 6일 주당 400원의 분기배당을 결의하고 1500억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 및 소각을 결정했습니다.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포스코케미칼[003670]이 배터리소재 사업 확대에 힘입어 자사 역사상 최초로 분기 매출 1조원을 돌파하는 성과를 거뒀습니다. 24일 포스코케미칼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을 1조533억원, 영업이익은 818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지난해 3분기 대비 매출은 108.6%, 영업이익은 159.9% 증가한 수치입니다. 포스코케미칼의 견조한 실적은 배터리소재 사업이 이끈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3분기 배터리소재 부문에서의 매출은 7267억원(양극재 6583억원, 음극재 68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무려 238.9%가 늘었으며 전체 매출액서의 비중은 69%를 차지했습니다. 양극재 부문의 경우 전기차 배터리용 하이니켈 양극재 판매량이 늘어나고 에너지저장장치(ESS)신규 고객사 확보 및 원료 가격 상승의 판매단가 반영 등으로 매출이 큰 폭으로 상승했습니다. 음극재 부문은 전기차 배터리용 제품 판매 확대 등이 매출 상승의 원동력으로 작용했습니다. 라임케미칼 사업도 호조세인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유가 상승에 따른 콜타르와 조경유 등의 화학제품 판매 가격 인상으로 전분기 대비 6.5% 상승한 2041억원의 매출을 기록했습니다. 내화물 사업은 판매량 감소에 따라 전분기 대비 12.4% 감소한 1172억원의 매출을 올렸습니다. 전기로용 전극봉 원료인 침상코크스를 생산하는 자회사 피엠씨텍은 유분 판매량 증가로 전분기 대비 6% 증가한 637억원의 매출과 영업이익률 14.5%를 기록했습니다. 포스코케미칼은 세계 각국의 자국 중심 공급망 구축 움직임에 대응하고, 배터리 원료를 지속 확보 중인 그룹과의 시너지를 통한 안정적 원료 공급망 구축과 국내외 생산능력을 더욱 확장해 사업 경쟁력을 강화해 나갈 계획입니다. 이와 함께 글로벌 전기차사와 배터리사 등의 다양한 사업 파트너와 함께 북미, 유럽, 중국 등에서 양·음극재 사업 확대도 추진할 방침입니다. 포스코케미칼 관계자는 "원료의 안정적인 조달과 글로벌 현지 생산능력 확보를 위한 다양한 투자를 바탕으로 양·음극재의 원료·중간소재·최종제품에 이르는 전체 밸류체인을 완성할 것"이라며 "2025년까지 양극재 34만톤, 음극재 17만톤, 2030년까지 양극재 61만톤, 음극재 32만톤으로 생산능력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현대자동차[005380]의 올해 3분기 판매량과 매출이 각각 14.0%, 30.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4일 현대차가 발표한 올해 IFRS 연결기준 3분기 실적에 따르면, 판매량 102만5008대, 매출액 37조7054억원, 영업이익 1조5518억원, 경상이익 2조420억원, 당기순이익 1조4115억원을 기록했습니다. 판매량의 경우 글로벌 차량용 반도체와 기타 부품의 수급 완화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0% 증가했으며, 매출의 경우 판매 증가, 제네시스 및 SUV 중심의 판매 믹스 개선, 인센티브 감소, 환율 효과 등으로 증가세를 보였다고 현대차 측은 설명했습니다. 영업이익은 최근 발표한 세타2 GDI 엔진에 대한 품질비용 추가 반영으로 전년 동기보다 3.4%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판매량을 국내와 해외로 구분해 볼 경우 각각 16만2439대, 86만2569대를 기록했습니다. 전년 동기와 비교해 보면 각각 5.0%, 15.9% 늘었습니다. 국내 시장에서는 지난 7월 출시한 전기세단 아이오닉 6를 비롯해 제네시스 G90등 신차 판매가 호조세를 보이고 고부가가치 차종의 견조한 판매세로 판매량이 증가했습니다. 해외 시장에서는 반도체를 포함한 부품 수급 완화에 따른 생산 증가와 더불어, 미국, 유럽 등에서 친환경차 중심의 판매 호조가 증가의 원동력이 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매출 원가율의 경우 전년 동기보다 1.4%p 하락한 80.5%를 기록했습니다.원자재 가격 상승에도 불구하고, 공장 가동률 상승과 우호적인 환율 영향으로 전년 대비 하락한 것으로 현대차 측은 분석했습니다. 매출액 대비 판매 관리비 비율은 전년 동기 대비 2.8%포인트 높아진 15.4%를 올렸습니다. 아울러. 현대차는 지난 1월 발표한 ‘2022년 연간 실적 가이던스’를 다양한 대내외 경영환경 변화를 반영해 수정 발표했습니다. 발표에 따르면, 올해 연간 도매판매 목표를 지정학적 리스크 및 차량용 반도체 공급 부족 사태 장기화 등의 영향을 반영해 기존 432만대에서 401만대로 하향 조정했습니다. 전년 대비 연결 매출액 성장률은 우호적인 환율 상황 및 판매 믹스 개선에 따른 지속적인 평균판매가격(ASP) 상승을 반영해 기존 목표 13~14%에서 19~20%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이와 함께, 2022년 연결 부문 영업이익률 목표 역시 기존 제시한 5.5~6.5%에서 6.5~7.5%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현대차는 아이오닉 6의 유럽시장 판매 개시를 통한 전기차 판매를 확대하고 7세대 그랜저 등 고부가가치 차종 중심의 믹스 개선을 통한 점유율 확대 및 수익성 방어 집중 등을 바탕으로 4분기 실적에 대비한다는 계획입니다. 현대차 관계자는 “여러 경영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으나 차량용 반도체 공급 상황이 점차 개선세를 보이면서 4분기 판매는 3분기 대비 증가할 것으로 전망한다”라며 “3분기 품질비용 반영에도 불구하고 사상 최대의 연간 매출액, 영업이익 달성을 예상한다”고 밝혔습니다.
장승윤 기자 weightman@inthenews.co.kr
인더뉴스 문정태 기자ㅣCJ제일제당이 생분해성 바이오소재 ‘PHA(Polyhydroxyalkanoates)’의 글로벌 상용화를 본격 확대합니다. CJ제일제당은 스웨덴 바이오소재 컴파운딩 기업 ‘BIQ머티리얼즈’와 PHA 적용 인조잔디 충전재 사업 협력을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31일 밝혔습니다. BIQ머티리얼즈는 유럽 최초로 PHA 기반 충전재를 개발해 특허를 보유한 기업입니다. 이번 협약에 따라 CJ제일제당은 인조잔디 충전재에 적합한 PHA 소재를 공급하고, BIQ머티리얼즈는 제품 생산을 담당합니다. 양사는 유럽 시장에서 PHA 상용화를 적극 추진할 계획입니다. PHA는 미생물이 식물 유래 성분을 섭취해 세포 내에 축적하는 고분자 물질로 토양·해양·퇴비 환경에서 모두 분해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CJ제일제당은 지난 2022년 PHA 상업 생산을 시작해 브랜드 ‘PHACT’를 론칭했습니다. 유럽연합(EU)은 인조잔디 충전재를 미세플라스틱 발생 주요 품목으로 지정하고, 오는 2031년부터 석유계 충전재 사용을 금지할 예정입니다. 회사는 이에 따른 친환경 충전재 수요 증가에 대응해 현지 시장 공략에 나선다는 계획입니다. 지난 30일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열린 협약식에는 정혁성 CJ제일제당 BMS본부장과 프레드릭 베리에고르 BIQ머티리얼즈 회장 등이 참석했습니다. 이날 정혁성 본부장은 “유럽에서 PHA 적용 분야를 넓히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지속가능 소재 솔루션을 지속 발굴하겠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CJ제일제당의 미국 자회사 CJ바이오머티리얼즈는 ‘2025 바이오플라스틱 어워드 혁신상’을 수상했습니다. 비결정형 PHA(aPHA) 기술이 지속가능성과 확장성을 인정받았습니다. CJ제일제당은 ▲코스맥스(화장품 용기) ▲이토추플라스틱스(일본 유통 협력) 등과도 협업하며 PHA 응용 시장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인더뉴스 문정태 기자ㅣ31일 동원그룹은 2026년도 대표이사급 인사를 단행했습니다. 동원시스템즈는 패키징사업부문 대표에 윤성노 패키징영업본부장을 선임했습니다. 윤 신임 대표는 지난 1997년 입사 후 동원건설산업, 동원F&B 경영지원실장, 동원산업 인재전략실장 등을 거쳤습니다. 윤 신임 대표는 캔·페트·유리병 등 패키징 사업과 무균충전음료 등 신사업 경쟁력 강화를 추진할 계획입니다. 동원기술투자 대표이사에는 이진욱 동원산업 전략기획실장이 발탁됐습니다. 동원기술투자는 2022년 설립된 기업형 벤처캐피탈(CVC)로, 전략 투자와 신사업 발굴을 담당합니다. 1975년생인 이 신임 대표는 미쓰이스미토모은행, BNP파리바, 한국수출입은행 등을 거쳐 DL케미칼 CFO를 역임한 금융·재무 전문가입니다. 동원홈푸드는 중국 법인장으로 정해철 동원F&B 해외사업부 상무를 내정했습니다. 정해철 신임 법인장은 글로벌 식품 사업 경험을 바탕으로 현지 조미식품 사업 강화 역할을 맡습니다. 중국 법인은 소스·드레싱·시즈닝 등을 생산해 국내 식품기업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동원그룹 관계자는 “각 사업 부문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잠재력과 전문성을 갖춘 인물을 발탁했다”며 “수산·식품·소재·물류 등 핵심 사업을 확장하고 신성장동력 발굴에 적극 나설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문정태 기자ㅣ롯데하이마트가 2025년 3분기 실적에서 총매출과 영업이익이 3분기 연속 개선되며 수익성 회복세를 이어갔습니다. 3분기 누계 기준 영업이익과 순이익 모두 흑자를 기록했습니다. 롯데하이마트는 3분기 총매출액이 7982억원, 누적 2조1923억원을 기록해 전년 대비 각각 0.5%, 2% 증가했다고 31일 밝혔습니다. 회사에 따르면 순매출액은 6525억원, 누적 1조7757억원으로 감소했지만, 지난해 부가가치세 환급 등 일회성 요인을 제외하면 각각 0.9% 감소, 0.1% 증가 수준입니다. 영업이익은 3분기 190억원, 누적 184억원으로 전년 대비 감소했지만, 일회성 요인 제외 시 3분기 101억원, 누적 244억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회사는 “내수 가전 시장 역성장 환경에서도 실질적인 이익 개선이 이뤄졌다”고 설명했습니다. 롯데하이마트는 지난해 ‘기업가치 제고(밸류업)’ 계획을 발표하며 ▲고객 평생 케어 서비스 ‘하이마트 안심 Care’ ▲PB 브랜드 ‘PLUX(플럭스)’ ▲경험형 매장 혁신 ▲온라인·오프라인 옴니채널 강화를 4대 핵심 전략으로 제시했습니다. ‘하이마트 안심 Care’ 매출은 9월 누적 기준 전년 대비 44% 증가했습니다. PB ‘PLUX’는 론칭 이후 주요 카테고리에서 판매 1위를 기록하며 누적 매출이 6.4% 성장했습니다. 올해 리뉴얼한 18개 매장의 매출은 전년 대비 44% 늘었고, 이커머스 역시 9% 증가했습니다. 회사는 고객 불편 사전 해결을 위한 ‘가전설치 사전점검’ 및 ‘애플 성능 사전 진단 서비스’를 운영 중이며, 3D 도면 기반 ‘빌트인 플래너 솔루션’을 통해 상담 및 설치 편의성을 강화했습니다. 또 ‘하이마트 구독’과 ‘Total House Care’ 매장을 통해 제품·서비스 확장도 추진합니다. 롯데하이마트 관계자는 “핵심 전략 실행을 바탕으로 2025년 영업이익 100억원, 2029년 1000억원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온·오프라인 통합 경험 강화와 PB 확대 등으로 수익 체질을 강화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문승현 기자ㅣKB금융그룹(회장 양종희)이 올해 3개 분기만에 5조원을 훌쩍 넘는 순이익을 냈습니다. 지난해 연간 순이익(5조782억원)을 가뿐히 넘긴 역대 최대 실적입니다. 올들어 분기마다 1조7000억원 안팎의 순이익을 꾸준히 거둬들였다는 점을 토대로 남은 4분기까지 뒷심을 발휘한다면 7조원대 근접한 확정적인 '6조원 순이익 시대'에 최초 진입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KB금융은 균형잡힌 이익 포트폴리오를 토대로 비은행 이익기여도가 40%에 육박한다는 점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KB금융이 30일 발표한 3분기 경영실적을 보면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지배기업지분순이익)은 5조1217억원으로 작년동기(4조3941억원) 대비 16.6%(7276억원) 큰폭 증가했습니다. 같은 기간 3분기 개별 순이익(1조6860억원)도 4.1%(663억원) 늘었습니다. KB금융은 이자이익·수수료이익 등 핵심이익의 균형성장과 안정적인 비용관리 노력의 결실이라고 설명합니다. 세부적으로 3분기 누적 순이자이익은 9조7049억원으로 1.3% 증가했습니다. 금리하락 사이클 지속, 가계대출 규제강화 등 불확실성이 높아진 시장환경에서도 핵심예금 증대를 통한 조달비용 감축과 적정 여신성장 등 전략적으로 대응한데 힘입었습니다. 그룹 순이자마진(NIM)은 1.96%로 전분기와 동일한 수준을 유지했고 은행 NIM은 조달비용 관리노력으로 대출자산 수익률 하락폭을 안정적으로 방어하며 1.74%를 기록했습니다. NIM은 금융회사 수익성을 가늠해 볼 수 있는 지표입니다. 3분기 누적 비이자이익은 3조7390억원입니다. 기타영업손익 감소(15.4%↓)에도 순수수료이익(2조9524억원)이 3.5% 늘면서 견실한 이익체력을 유지했습니다. 9월말 현재 보통주자본(CET1)비율과 BIS자기자본비율은 각각 13.83%, 16.28% 입니다. 자산성장과 환율상승에 따른 위험가중자산(RWA) 증가에도 질적 성장에 기반한 효율적인 자본관리로 업계 최고 수준의 자본적정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주요 계열사 경영실적을 보면 KB국민은행은 3분기 누적으로 3조3645억원의 순이익을 냈습니다. 작년동기(2조6179억원) 대비 무려 28.5%(7466억원) 증가한 것입니다. 증권·손해보험·카드·라이프생명 등 비은행부문의 이익기여도는 37%에 이릅니다. 기여도는 각 계열사 그룹연결 대상 재무제표상 당기순이익을 단순합산한 것입니다. KB금융은 은행-비은행 상호보완의 실적을 기반으로 그룹 순이익을 확대하며 다변화된 포트폴리오를 입증했습니다. KB증권의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은 4967억원입니다. 국내외 증시활황으로 브로커리지 수익이 크게 확대됐지만 부동산PF 사업장에 대한 선제적 충당금 적립 등 영향으로 작년동기대비 9.2%(501억원) 줄었습니다. KB손해보험 누적 당기순이익(7669억원)은 1년전보다 3.6% 증가했습니다. 수익성 높은 대체자산 투자확대로 이자수익이 늘었고 이는 투자손익(1442억→3942억원) 확대로 이어졌습니다. 계약서비스마진(CSM)은 9조4000억원입니다. 지급여력비율(K-ICS·잠정치)은 191.8%로 금융감독원 권고기준(130%)과 비교해 안정적인 수준입니다. KB국민카드는 가맹점수수료 인하로 인한 수수료이익 감소, 건전성 관리강화에 따른 대손비용 증가로 누적 당기순이익(2806억원)이 24.2%(898억원) 감소했습니다. KB라이프생명은 3분기 누적 순이익(개별기준)은 2548억원, CSM은 3조1950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이와 함께 KB금융 이사회는 작년 3분기 대비 135원 많은 주당 930원, 총 3357억원의 현금배당을 결의했습니다. KB금융은 올해초 연간 배당총액 상향과 연중 자사주 매입효과가 반영되며 주당 현금배당금 점진적 상향이라는 주주환원 프레임워크 기조를 이어갔습니다. KB금융 재무담당 나상록 상무는 "국내경제 중심축이 부동산에서 자본시장으로 이동하는 전환기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며 그룹 수익 구조의 질적 향상을 추구하겠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정부정책에 발맞춰 유망분야 성장지원과 실물경제 투자를 주도하는 생산적금융의 인프라 역할도 지속적으로 강화하겠다"고 부연했습니다.
인더뉴스(주)/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서울 아 02788/ 등록일 2013년 8월 26일/ 제호: 인더뉴스(iN THE NEWS)/ 발행인 문정태·편집인 박호식, 주소: 서울시 종로구 새문안로92, 광화문오피시아빌딩 1803호
발행일자: 2013년 9월 2일/ 전화번호: 02) 6406-2552/ 청소년보호 책임자: 박호식
Copyright © 2013~2025 인더뉴스(iN THE NEWS) All rights reserved. / 인더뉴스(주)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므로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합니다.
(단, 기사내용을 일부 발췌한 뒤 출처표기를 해서 ‘링크’를 걸어 두는 것은 허용합니다.)
UPDATE: 2025년 11월 02일 09시 31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