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최태원 SK그룹 회장이 기자들을 만나 향후 SK의 반도체 사업과 경쟁사에 대한 생각을 밝혔습니다.
4일 SK그룹에 따르면, 최 회장은 이날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서밋 2024'에서 진행된 스탠딩 인터뷰에서 기자들을 만나 질의응답을 하는 시간은 가졌습니다.
우선, AI 보틀넥에 대한 SK그룹의 향후 계획과 관련해 최 회장은 "보틀넥이라고 생각한 걸 혼자 해결할 수는 절대 없다"고 답했습니다.
이어 "결국 새로운 테크놀로지가 잉태가 돼서 새로운 게 나오지 않으면 보틀넥이 해소될 일은 별로 없을 가능성이 크다"며 "그래서 지금도 새로운 기술을 모색하는 데도 신경을 쓰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최 회장은 보틀넥의 문제 대부분이 코스트 관련 문제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구글 검색은 한 번 돌아가는데 1센트 미만 정도의 코스트를 넣는데 ChatGPT를 쓰면 50센트 정도의 코스트가 발생한다"며 "코스트를 낮추는 것이 가장 큰 문제고 이를 위해 필요한 것이 칩, 에너지 솔루션 등이다"고 답했습니다.
빅테크와의 협업에 대한 질문도 이어졌습니다.
최 회장은 빅테크와의 협력 방안과 계획에 대해 "투자 내용이 매력적이면 같이 하자는 얘기가 될 것이고 매력도가 떨어진다면 상관하지 않을 것"이라며 "빅테크는 우리보다 더 많은 솔루션과 어프로치를 하고 있으며 그중에 서로 맞는 것이 있다면 같이 하는 것이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도 "AI 데이터센터와 같은 부분이 빅테크의 코스트를 줄여주는 부분이 되며 이 부분에서 증명해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최 회장은 경쟁사인 삼성전자[005930]와 관련된 질문에는 조심스러운 입장을 취했습니다.
실적상 반도체 업계의 기존 1위였던 삼성전자를 추월할 것이라는 전망에 대한 질문에는 "다른 회사를 얘기하는 것에 대해 조심스러울 수밖에 없다는 전제를 드린다"고 조심스럽게 입을 열었습니다.
이어서 "AI라는 것이 반도체 업계에 들어오면서 여러 가지 종류로 구분되고 어프러치도 다양하게 필요하다"며 "우리가 하는 어프러치가 있고 다른 회사들이 하는 어프러치는 또 다를 것"이라 답했습니다.
최 회장은 "그런 만큼 반도체 회사들 간에 누가 더 잘한다라는 말을 하는 게 맞지 않을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HBM4에 대해서도 "쿼리라 부르는 작동을 증명하는 프로세스가 있는데 이게 통과가 안되면 일정을 앞당기는 의미가 없다"며 "내년에 가서 봐야겠지만 기술이라는 게 당긴다는 마음을 먹는다고 되는 게 전혀 아니다"고 확정짓지 않았습니다.
이날 최 회장은 젠슨 황 엔비디아 CEO와 만난 이야기를 하며 젠슨 황 CEO가 SK에게 HBM4 개발을 6개월 앞당겨 달라 요청했다고 전한 바 있습니다.
삼성전자의 HBM4 개발과 관련하여 SK하이닉스는 이제껏 유지해온 개발 속도를 그대로 유지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저희는 저희 것만 한다"며 "저희가 할 수 있는 스케줄에 맞춰 필요한 칩을 만든다. 그 이상 말씀드리는 건 적절치 않은 것 같다"며 말을 아꼈습니다.
한편, AI 사업과 관련해 투자 비용이 늘어남에 따라 SK가 부채 비율이나 순차입금 줄이는 기조를 취하는 것에 대해 "(부채 비율과 순차입금) 두 개 다 해야한다"며 "줄인 부분을 어딘가에는 투자할 것이며 그 투자할 부분의 비중이 AI 쪽에 아무래도 비중도가 높아질 거라고 생각한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