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빙그레는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21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5.2% 증가했다고 16일 공시했습니다.
1분기 매출은 3009억원으로 전년 대비 2.5% 증가했습니다. 당기순이익은 110.6% 늘어난 183억원을 기록했습니다.
빙그레 관계자는 "주요 제품 매출이 늘었고 해외 매출이 증가했다"며 "해외 매출 성장에 따라 수익성이 개선됐고 수익성이 좋은 제품 구성이 확대되면서 영업이익이 신장했다"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빙그레는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21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5.2% 증가했다고 16일 공시했습니다.
1분기 매출은 3009억원으로 전년 대비 2.5% 증가했습니다. 당기순이익은 110.6% 늘어난 183억원을 기록했습니다.
빙그레 관계자는 "주요 제품 매출이 늘었고 해외 매출이 증가했다"며 "해외 매출 성장에 따라 수익성이 개선됐고 수익성이 좋은 제품 구성이 확대되면서 영업이익이 신장했다"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리테일 테크 기업 컬리는 올해 1분기 사상 첫 분기 영업이익 흑자를 기록했다고 21일 밝혔습니다. 컬리 분기보고서에 따르면 올 1분기(별도 기준) 영업이익이 5억원으로 전년 대비 314억원 개선했습니다. 매출은 전년 대비 6% 늘어난 5381억원으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습니다. 컬리가 분기 영업이익 흑자를 기록한 것은 2015년 회사 설립 이후 9년만에 처음입니다. 첫 영업이익 흑자 달성은 근본적인 손익 구조 개선으로 가능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습니다. 컬리는 지난해부터 지속 가능한 성장 구조를 구축하기 위해 수익원 다각화와 운반비, 지급수수료 절감 등에 주력했습니다. 실제 운반비와 지급수수료 등이 포함된 비용은 올 1분기 63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 줄었습니다. 같은 기간 운반비 등이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 역시 1년 새 1.5%p 하락한 11.9%를 기록했습니다. 지난해 오픈한 창원과 평택센터를 통해 물류효율도 개선했습니다. 최신 자동화 설비 등이 도입되면서 생산성 증대와 배송 효율화, 안정화 등을 이뤄냈습니다. 같은 기간 계약 기간이 만료된 송파 물류센터의 철수로 비효율적인 비용 집행을 없앤 부분 역시 크게 작용했습니다. 수익 다각화 차원에서는 수수료 기반의 3P(판매자 배송)와 컬리멤버스, 물류대행 등 사업에 집중했습니다. 특히 3P는 올 1분기에 전년 동기 대비 5배 성장했습니다. 뷰티컬리 역시 34% 성장하며 실적 개선을 견인했습니다. 컬리의 올 1분기 전체 거래액(GMV)은 7362억원으로 1년 새 13% 증가했습니다. 영업활동을 통한 현금 창출력을 의미하는 지표 중 하나인 EBITDA(조정 상각전 영업이익)에서도 첫 분기 흑자를 이뤄냈습니다. 올 1분기 EBITDA는 71억원으로 전년 대비 297억원 개선됐습니다. 앞서 컬리는 지난해 12월 처음으로 월 EBITDA 흑자를 기록했습니다. 컬리는 올해는 자체적인 현금 창출력에 기반한 성장성 강화와 미래 동력 확보에 집중한다는 방침입니다. 세부적으로는 고객 쇼핑 편의성 확대와 활동성 강화 등에 전방위적인 투자를 진행할 계획입니다. 신사업 발굴과 샛별배송 권역 확장 등도 지속적으로 추진합니다. 컬리 관계자는 "수익 다각화와 구조적 개선을 통해 분기 첫 영업이익 흑자를 기록할 수 있었다"며 "최근 시장에서 자주 언급되는 IPO의 경우 구체적으로 확정된 부분은 없으나 주간사 등과 긴밀히 협의해 좋은 타이밍에 재추진할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11번가가 지난 3월에 이어 4월에도 오픈마켓 사업 영업이익 흑자를 달성했습니다. 지난 16일 공시된 SK스퀘어 분기보고서에 따르면 11번가의 올해 1분기 영업손실은 195억원으로 전년 동기(318억원) 대비 38.7% 개선, 4분기 연속 전년대비 손실을 축소했습니다. 당기순손실은 200억원으로 전년 대비 19.4% 개선했습니다. 매출액은 1712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오픈마켓 사업에서 2개월 연속 영업이익 흑자와 올해 1월부터 4월까지 누적 EBITDA(상각전 영업이익) 흑자를 만들어냈습니다. 알리·테무 같은 중국 전자상거래업체(C커머스)의 국내 침투 등 경쟁환경 속에서도 버티컬 서비스와 전문관을 통해 마트, 패션 등 수익성이 높은 상품 카테고리 판매를 확대하고 마케팅 운영 효율화 등 내실 다지기에 주력한 것이 주효했다는 설명입니다. 11번가는 2분기에도 버티컬 서비스와 특화 전문관 성장세를 이어갈 방침입니다. 올 초 선보인 간편식 버티컬 '간편밥상', 트렌드 패션 버티컬 ‘#오오티디’, 뷰티 구매고객 혜택 프로그램 '뷰티라운지'에 이어 새로운 버티컬 서비스를 선보이며 구매 고객 확대에 나섭니다. 게임형 이벤트, 숏폼 콘텐츠 등 다양한 서비스를 강화해 고객 유입과 체류 시간 확대를 노립니다. 닐슨코리안클릭에 따르면 11번가의 모바일 앱 월 평균 방문자 수(MAU)는 월 1300만명 이상으로 국내 쇼핑 앱 2위 수준이며 월 평균 이용 시간은 전년 대비 2배가량(+91%) 증가하고 있습니다. 익일배송 서비스 '슈팅배송'은 물류센터 운영 효율화 작업에 매진하고, 3월 론칭한 오픈마켓 판매자 대상 풀필먼트 서비스 '슈팅셀러'도 빠르게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11번가는 중장기 전략 토대인 ▲e커머스 근원적 경쟁력 강화 ▲견조한 트래픽 기반 성장 모델 구축▲ B2B 서비스 강화를 통해 근본적인 체질 개선을 시도합니다. 올해 오픈마켓 사업 흑자와 2025년 리테일 사업을 포함한 연간 흑자 전환이 목표입니다. 안정은 11번가 사장은 "오픈마켓 사업의 수익성 확보와 리테일 사업의 체질 개선을 통해 실적 개선이 본격화되고 있다"며 "올해 2분기에도 핵심 경쟁력에 대한 집중 투자와 과감한 사업구조 개편으로 수익성을 강화하는데 더욱 집중할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김용운 기자ㅣ풀무원(대표 이효율)은 올해 1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5.4% 성장한 7693억원,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27.7% 증가한 156억원을 기록했다고 17일 밝혔습니다. 사업부문별로 국내식품제조유통사업부문은 풀무원지구식단 캠페인과 온라인 채널 성장 등을 통해 전년 대비 매출이 86억원 증가했습니다. 건강케어제조유통사업부문은 방판 채널 취급 제품 수가 일시적으로 줄어들며 전년 대비 실적이 소폭 감소했습니다. 식품서비스유통사업부문은 국내외 여행객 증가와 설 연휴 등의 영향으로 공항과 리조트 이용객 증가, 단체급식과 컨세션 신규 수주 등이 이어지면서 1분기 매출이 전년 대비 14.7% 상승한 2046억원,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238.6% 증가한 48억원을 달성했습니다. 미국, 일본, 중국, 베트남을 포함하는 해외식품제조유통사업부문은 주력인 미국 법인이 역대 최고 두부 매출을 기록하고 아시안 누들류 제품이 지속 성장하면서 전체 1분기 매출이 전년 대비 5.1% 상승한 1545억원을 달성했고 영업손실은 8억원으로 전년 66억원 대비 대폭 개선됐습니다. 미국 법인 매출은 2021년 말 풀러튼 공장 두부 생산 라인 증설 및 2023년 길로이 공장 아시안 면류 생산라인 신설 등 현지 생산체계 확충에 따른 원가 개선 및 생산성 향상, 코스트코 등 메인스트림 채널 성장 등에 힘입어 전년 대비 15% 상승했습니다. 일본 법인과 중국 법인은 전년 대비 매출은 소폭 감소했지만 두 법인 모두 원가 개선 및 판가 인상을 통해 영업손실 폭이 크게 개선되어 전사 영업이익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습니다. 풀무원 김종헌 재무관리실장은 "국내사업에서는 지속가능식품 카테고리를 계속해서 확대하며 시장의 지배력을 강화하고, 국내외 스타트업 협업과 내부 연구를 통한 푸드테크 혁신 기술로 미래 트렌드에 적극 대응해 나갈 계획"이라며 "해외사업은 두부, 아시안 누들에 이어 다양한 K-푸드 제품으로 확장하여 성장 및 수익성을 개선하고 미국 법인을 포함한 해외사업 전체 영업이익 턴어라운드를 달성하고 캐나다와 유럽까지 시장을 확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삼양식품이 해외 매출 급증에 1년 만에 영업이익이 3배 넘게 뛰었습니다. 삼양식품은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801억원으로 전년 동기(239억원) 대비 235.8% 늘었다고 16일 공시했습니다. 1년 만에 3.3배 증가한 수치입니다. 1분기 매출은 3857억원으로 전년 대비 57.1% 증가했고 당기순이익은 665억원으로 194.5% 신장했습니다. 해외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83% 증가한 2889억원을 기록하며 1분기 실적을 견인했습니다. 해외법인을 중심으로 전 지역에서 매출이 증가했습니다. 특히 미국과 중국에서 높은 매출 신장률을 나타냈습니다. 미국 내 월마트, 코스트코 등 주류 채널 입점 가속화와 까르보불닭볶음면 인기로 삼양아메리카 매출이 5650만달러(약 760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209.8% 증가했습니다. 중국법인 삼양식품상해유한공사는 5억위안(약 932억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194% 늘었습니다. 온라인 유통 채널 강화와 양념치킨불닭볶음면, 불닭소스 등 제품 다변화가 주효했습니다. 해외 매출 비중 확대로 영업이익도 크게 상승했습니다. 전체 매출에서 해외가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1분기 64%에서 올해 1분기 75%까지 커졌습니다. 내수 대비 높은 수익성에 고환율에 따른 환차익이 고스란히 영업이익에 반영됐다는 설명입니다. 삼양식품 관계자는 "해외 매출 급증과 고환율에 따른 환차익 효과로 1분기 수익성이 큰 폭으로 확대됐다"며 "2분기에도 해외법인을 중심으로 현지 맞춤형 전략을 강화하고 판매채널 확장에 집중해 성장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대상은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47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1.5% 증가했다고 16일 공시했습니다. 1분기 매출은 1조44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5% 증가했습니다. 당기순이익은 53.1% 늘어난 207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영업이익이 2배가량 뛴 배경으로 회사는 주요 제품 및 선물세트 사업 수익성 확대와 액상 라이신 수요 증가에 따른 손익 회복을 꼽았습니다. 바이오 사업 업황이 개선되고 전분당 및 바이오 스페셜티 제품 실적이 성장하면서 영업이익과 매출 모두 신장했습니다. 신선식품, 편의식품, 조미료류 등 주요 품목 매출 증가로 전체 매출이 늘었습니다. 대상은 올해 전사 원가절감 및 경영효율화에 초점을 맞출 계획입니다. 식품사업 수익성 강화 및 B2B(기업 간 거래) 성장 확대에 주력합니다. 대상 관계자는 "소재사업 제조 경쟁력을 강화하고 스페셜티 제품 매출을 확대할 것"이라며 "글로벌 주력 품목(김치·소스·편의식·김 등) 매출 증대와 함께 현지 사업을 다각화하고 인프라를 강화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농심은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61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7% 감소했다고 16일 공시했습니다. 1분기 매출은 8725억원으로 전년 대비 1.4% 증가했습니다. 당기순이익은 1.8% 감소한 531억원을 기록했습니다. 국내법인 매출은 7673억원으로 전년 대비 8% 신장했습니다. 라면, 스낵 및 수출사업 중심으로 매출이 성장했습니다. 1분기 면류 매출이 3932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2.2% 늘었습니다. 스낵 매출은 1141억원으로 11.3% 증가했습니다. 유럽 및 동남아 등 수출 주요국 매출이 확대됐습니다. 해외법인은 전년도 역기저 효과에 매출이 6.6% 줄었습니다. 중국 매출이 955억원으로 5.6% 감소했습니다. 유베이 협업을 위한 거래선 이관 영향에 따라 매출이 일시적으로 줄었다는 설명입니다. 미국 매출은 2.9% 감소한 1600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일본 매출은 248억원으로 8.9% 늘었습니다. 농심 관계자는 "매출 원가 및 비용 부담 증가 등의 원인으로 영업이익이 감소했다"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오뚜기는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73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0% 증가했다고 16일 공시했습니다. 매출은 8836억원으로 전년 대비 3.1% 증가했습니다. 순이익은 29.0% 늘어난 485억원을 기록했습니다. 1분기 면제품류(라면·당면·국수 등) 매출이 252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7% 증가했고 농수산 가공품류(밥·미역 등) 매출이 1744억원으로 54.2% 늘었습니다. 양념소스류(마요네스·케찹 등) 매출은 1468억원, 건조식품류 매출(카레·레토르트 등)은 720억원으로 각각 6.5%, 6.2% 신장했습니다. 국내 매출이 7988억원으로 2.0% 늘었습니다. 해외 매출은 848억원으로 14.8% 증가하며 전체적인 매출 상승을 이끌었습니다. 오뚜기 관계자는 "간편식 등 매출 증가로 견조하게 꾸준한 성장을 보였고 영업이익 등이 소폭 상승했다"며 "판관비 등 비용적인 측면에서는 별도의 이슈는 없으며 전년 수준과 비슷하다"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이마트가 고물가 기조 속 트레이더스 활약에 힘입어 1분기 실적 반등에 성공했습니다. 연초부터 진행하고 있는 초저가 할인 프로모션 및 매장 리뉴얼 효과로 오프라인 방문객 또한 늘었습니다. 이마트는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47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45.0% 증가했다고 16일 공시했습니다. 연결 1분기 매출은 7조2067억원으로 1.0% 증가했습니다. 순이익은 294억원을 기록해 전년 대비 1000.8% 급증했습니다. 별도 기준으로는 매출 4조2030억원, 영업이익 932억원의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이는 지난해 1분기보다 매출은 2.3%, 영업이익은 22.9% 늘어난 수치입니다. 회사는 방문 고객수 증가를 1분기 실적 개선의 주요인으로 꼽았습니다. 이마트는 올해 들어 생필품을 저렴하게 판매하는 ‘가격파격 선언’ 행사를 시작했습니다. ‘가격 역주행’ 프로젝트는 직소싱과 대량 매입, 제조업체와 협업을 통해 50여개 상품을 최저가 수준으로 선보였습니다. 이 가운데 30개 안팎의 주요 상품을 이마트에브리데이와 공동으로 판매하며 통합 시너지를 본격화했습니다. 점포 리뉴얼도 매장 방문 유인과 체류 시간 증대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커머스의 지속적 확장에도 이마트 방문 고객수는 전년 동기 대비 83만명(2.7%) 늘었습니다. 특히 창고형 할인점 트레이더스의 경우 지난해 동기 대비 매출액을 11.9% 끌어올렸고 방문 고객수도 7.5% 증가하며 실적 반등의 선봉장 역할을 했다는 평가입니다. 영업이익은 지난해 1분기 74억원에서 올해 306억원으로 313.5% 신장했습니다. 고물가로 인해 단위당 가격이 저렴한 대용량 상품을 찾는 고객이 증가했다는 분석입니다. 트레이더스 푸드코트 'T카페' 방문객 수도 늘었습니다. 노브랜드를 중심으로 한 전문점 역시 수익성·사업성 중심의 사업구조 개편 효과로 1분기 영업이익이 42.1% 증가한 108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자회사 중 SCK컴퍼니(스타벅스)는 매출 7346억원으로 7.6%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327억원으로 59.5% 늘었습니다. 지속적인 신규점 출점 효과와 국제 원두가격 하락, 폐기 감축 등 원가 개선 노력에 힘입어 수익성이 향상됐습니다. 신세계프라퍼티는 스타필드 주요 매장의 매출 실적 호조에 따라 지난해 동기 대비 93억원 증가한 122억원의 영업이익을 냈습니다. 조선호텔앤리조트는 영업이익이 54억원으로 투숙률 개선을 바탕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14억원 늘었습니다. 온라인 자회사들은 적자 규모를 소폭 줄였습니다. SSG닷컴은 EBITDA(조정 이자·세금·감가상각 전 순이익) 기준 지난해 동기 대비 35억원 증가한 54억원의 흑자를 기록했습니다. 백화점 상품 판매가 호조를 보였고 광고패키지 다양화로 광고 수익 등이 증가했습니다. 이마트 관계자는 "오프라인 3사 기능 통합 시너지가 본격화되고 온라인 사업은 수익성 중심의 상품 강화와 물류비 효율화 등 체질 개선을 이어나가고 있다"며 "오프라인 점포 가격 경쟁력을 공고히 하고 다양한 온·오프라인 협업을 통해 시너지를 창출하며 성장을 이끌어낼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오리온은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125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6.2% 증가했다고 16일 공시했습니다. 1분기 매출은 7484억원으로 전년 대비 12.7% 증가했습니다. 1분기 호실적은 원자재 가격이 지속 상승하는 가운데 원료공급선 다변화, 글로벌 통합구매 등 효율 및 수익 중시 경영을 펼친 게 주효했다는 설명입니다. 수익성 개선을 위해 간접영업체제로 전환한 중국 법인의 영업이익이 41.5% 늘며 전체 영업이익 증대에 크게 기여했습니다. 한국 법인은 매출액이 9.5% 증가한 2716억원, 영업이익은 17.1% 증가한 438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지난해 증설한 파이, 비스킷 라인을 통해 공급을 확대하고 원가절감 노력을 지속하며 매출과 영업이익이 동반성장했습니다. 현재 충북 진천에 18만8430㎡(5만7000평) 규모 부지에 물류센터와 신규 공장 구축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완공 시 생산∙포장∙물류 통합으로 운영 효율화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올해 수출 측면에서는 꼬북칩을 필두로 북미 시장 확대에 주력합니다. 중국 법인은 매출이 3064억원으로 16.0% 늘었고 영업이익은 542억원으로 41.5% 신장했습니다. 최대 명절인 ‘춘절’ 효과로 매출이 성장한 가운데 수익성 개선을 위해 간접영업체제로 전환하면서 수익성이 향상됐습니다. 최근 영업력 강화를 위해 글로벌 식품기업 출신 현지 인재를 팀장으로 신규 영입하는 등 조직 개편에 나섰습니다. 오는 3분기 내 심양 공장에 감자플레이크 생산라인과 감자창고 건설을 완료할 예정입니다. 매출액의 약 40%를 차지하는 성형감자스낵의 안정적 원료 공급체계 구축 및 원가 효율화를 도모합니다. 베트남 법인은 ‘뗏’ 명절 선물 판매 증가 및 할인점, 편의점 채널 영업 확대로 매출액이 12.3% 증가한 1182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영업이익은 195억원으로 전년 대비 18.9% 증가했습니다. 연내 하노이 옌퐁 공장을 증축∙증설하고 하노이와 호치민에 신규 공장 건설을 위한 부지를 확보할 계획입니다. 러시아 법인 매출은 505억원으로 4.8% 증가했으나 영업이익은 78억원으로 6.0% 감소했습니다. 신규 초코파이 생산라인 본격 가동과 신제품 젤리, 후레쉬파이 입점 확대로 현지 루블화 기준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각각 25%, 13% 늘었습니다. 다만 현지화 가치가 16% 하락하면서 영업이익이 역성장했습니다. 올해 오리온은 신규 법인 시장 확대에 힘씁니다. 인도 법인은 지난해 말 추가 구축한 파이 생산라인을 기반으로 현지 맞춤 신제품을 선보여 라인업을 다양화합니다. 미국 법인은 최근 꼬북칩을 현지 유통채널 ‘파이브 빌로우’와 ‘미니소’에 입점했으며 매출 규모에 따라 생산 공장 설립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오리온 관계자는 "제품력 강화 및 시장 확대를 통해 지속 성장세를 이어가는 한편 탄탄한 현금흐름을 기반으로 미래 성장동력 확보에도 주력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한편 증권가에서는 오리온 각 법인의 고른 성장세에 따라 오리온의 올해 연결 기준 실적을 매출 약 3조2000억원, 영업이익은 5600억원 수준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넥슨이 2024년 1분기 연결 실적을 14일 도쿄증권거래소를 통해 공시했습니다. 넥슨은 올해 1분기 실적은 ▲매출 9689억원(1084억엔) ▲영업이익 2605억원(291억엔) ▲순이익 3210억원(359억엔)으로 집계됐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3%, 영업이익은 48% 감소한 수치입니다. 순이익은 3210억원(359억엔)으로 32% 감소했습니다. 해당 감소세에 대해 역대 최대를 기록했던 지난해 1분기 실적의 기저효과가 작용했다는 것이 넥슨의 설명입니다. 지역별 매출의 경우 한국이 53%를 차지했으며 중국 27%, 북미·유럽 9%, 일본 3%로 나타났습니다. 북미·유럽의 경우 화제를 모았던 '데이브 더 다이버' 등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92% 매출 증가를 보였습니다. 이정헌 넥슨(일본법인) 대표이사는 "올 1분기는 전사 역량을 집중해 유저 만족도 향상과 참여도 개선을 위한 각고의 노력을 기울인 시간이었다"라며 "믿고 기다려 주신 유저분들께 보답하기 위해 앞으로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넥슨은 넥슨게임즈[225570]를 통해 개발·출시 예정인 루트슈터(아이템 수집을 강조한 슈팅 장르) 게임 '퍼스트 디센던트'를 비롯해 엠바크 스튜디오가 개발 중인 3인칭 탈출 슈팅게임 '아크 레이더스' 등 신작을 선보일 예정입니다. 모바일의 경우 21일 중국에서 '던전앤파이터 모바일'을 출시할 예정이며 '마비노기 모바일'도 선보입니다. 이 대표는 "21일 중국에 출시하는 던전앤파이터 모바일을 시작으로 참신한 게임성과 강력한 IP로 무장한 게임들을 차례로 선보일 예정이니 많은 기대와 관심 부탁드린다"고 말했습니다. 이러한 신작들을 바탕으로 넥슨은 2분기 실적을 ▲매출 8213~9318억원(923~1047억엔) ▲영업이익 1542~2465억원(173~277억엔) ▲순이익 1152~1856억원(130~209억엔)으로 전망했습니다.
인더뉴스 문승현 기자ㅣ현대해상(대표이사 조용일·이성재)은 올해 1분기 당기순이익이 4773억원으로 집계됐다고 14일 밝혔습니다. 이는 지난해 1분기(3153억원) 대비 무려 51.4%(1620억원) 증가한 것으로 분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입니다. 이 기간 매출액은 4조2279억원에서 4조4401억원으로 5.0%(2122억원), 영업이익은 4210억원에서 6411억원으로 52.3%(2201억원) 각각 불어났습니다. 보험손익은 1년전보다 116.6% 증가한 5329억원입니다. 이번 실적성장은 장기보험 예실차(IFRS17 기준으로 산출한 이익지표 예상치와 실제치 차이) 개선과 보험계약마진(CSM) 상각수익 증가에 힘입었습니다. 먼저 장기보험에서는 보험금 예실차 손익이 1년전보다 174억원 늘고 CSM 상각수익도 334억원 늘었습니다. 또 제도변경에 따른 부채평가금액 감소로 손실부담계약관련비용 환입이 발생하며 보험손익이 개선됐습니다. 일반보험은 고액사고가 줄어 보험손익이 82.6% 개선됐고 자동차보험은 1월 폭설 등 계절적 요인으로 손해액이 증가했습니다. 투자손익은 작년 1분기 부동산 관련 수익증권 평가익이 일회성으로 반영된 기저효과로 37.8% 감소한 1082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인더뉴스 문승현 기자ㅣDB손해보험(대표 정종표)은 올해 1분기 당기순이익이 5834억원으로 잠정집계됐다고 14일 밝혔습니다. 이는 지난해 1분기(4473억원) 대비 30.4%(1361억원) 큰폭 증가한 것으로 분기 기준 역대 최고 실적입니다. 이 기간 매출액은 4조4877억원에서 4조6316억원으로 3.2%(1439억원), 영업이익은 5869억원에서 7666억원으로 30.6%(1797억원) 각각 불어났습니다. 이번 실적성장은 보험 각 부문에서 손해율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거나 개선된 결과라고 DB손해보험은 설명합니다. 먼저 장기보험에서는 장기위험손해율이 안정적으로 관리되면서 1년 전보다 28.2% 증가한 4484억원의 보험영업이익을 냈습니다. 자동차보험은 손해율이 1.0%포인트(p) 상승한 반면 사업비가 4.9% 줄어 보험영업이익(942억원)이 1.9% 늘었습니다. 일반보험에선 손해율이 3.7%p 개선된 효과로 보험영업이익이 45.1% 크게 증가한 203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보험손익은 5629억원으로 23.4% 늘어났습니다. 보험계약마진(CSM) 잔액은 12조4000억원으로 업계 최고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이와 함께 투자손익(2037억원)은 선박펀드에 발생한 특별배당과 주식형보유자산(FVPL) 평가이익 등에 힘입어 1년 전보다 55.9% 증가했습니다.
인더뉴스 문승현 기자ㅣ삼성화재(대표이사 사장 이문화)는 올해 1분기 당기순이익(지배기업 소유주지분 순이익)이 7010억원으로 집계됐다고 14일 밝혔습니다. 이는 지난해 1분기(6118억원) 대비 14.6%(892억원) 증가한 것으로 분기 기준 최대 실적입니다. 1분기 연결 세전이익은 9177억원입니다. 이 기간 매출액은 5조3423억원에서 5조5068억원으로 3.1%(1645억원), 영업이익은 8323억원에서 8971억원으로 7.8%(648억원) 각각 늘었습니다. 보험계약마진(CSM) 상각이익 증가와 안정적인 예실차(IFRS17 기준으로 산출한 이익지표 예상치와 실제치 차이) 관리를 통해 보험손익은 4462억원으로 1년전보다 6.3% 성장했습니다. 특히 상품·채널 경쟁력을 강화해 신계약 CSM을 30.6% 확대했습니다. 그 결과 1분기말 CSM 총량은 4092억원 증가한 13조7120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자동차보험에선 우량고객 중심 매출확대와 사업비 효율개선으로 보험손익 1025억원을 내며 흑자 사업구조를 견지했습니다. 삼성화재는 요율인하 누적과 매출경쟁 심화에도 전략적 대응으로 시장지배력을 확대했다고 스스로 평가합니다. 일반보험에서는 국내와 해외사업 매출 동반성장으로 보험수익(3855억원)이 1년전보다 13.6% 증가했습니다. 해외 고액사고로 손해율이 상승해 551억원의 보험손익을 냈습니다. 자산운용은 운용효율 개선노력과 대체투자 등 평가익 확대에 따라 투자이익률 3.65%, 투자이익 7420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삼성화재 관계자는 이날 컨퍼런스 콜에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잔액이 2조6000억원이며 모든 자산이 본PF에 해당해 건전성 이슈가 없다고 밝혔습니다. PF대출 관련한 충당금은 101억원 적립됐습니다. 삼성화재는 또 중장기 주주환원율을 50.0%로 제시하면서 현금배당이나 자사주 매입·소각 등 다양한 옵션을 검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CJ제일제당은 자회사 CJ대한통운을 포함한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375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8.7% 증가했다고 14일 공시했습니다. 1분기 매출은 7조2160억원으로 전년 대비 2.0% 증가했고 순이익은 1546억원으로 213.5% 늘었습니다. CJ대한통운을 제외한 CJ제일제당 1분기 매출은 4조4442억원으로 0.8%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2670억원으로 77.5% 늘었습니다. 지난해 4분기 증가세로 전환한 영업이익은 올해 1분기 뚜렷한 회복세를 보였습니다. CJ제일제당은 영업이익률이 높은 글로벌 사업이 호조를 보이고 국내 사업은 강도 높은 비용 절감 등의 노력을 기울인 결과 1분기 호실적을 거뒀다고 분석했습니다. 설 선물세트의 경우 올해는 1분기에 매출이 발생하며 수익성 개선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식품사업부문 매출은 2조8315억원으로 전년보다 2.6% 늘었고 영업이익은 1845억원으로 37.7% 증가했습니다. 국내 식품사업은 내식 트렌드 확산, 온라인 플랫폼과의 전략적 협업으로 새로운 판로를 확대하며 비비고 만두, 햇반, 고메 소바바 치킨 등 주요 제품 판매량이 10% 이상 증가했습니다. 해외 식품사업 매출 1조3752억원으로 글로벌전략제품(GSP)을 앞세워 북미에서 성장을 이어갔습니다. 북미 시장 점유율 1위인 비비고 만두는 2위 브랜드와 3배 이상 차이가 나고 슈완스의 대표 피자 브랜드 ‘레드바론’도 시장 점유율 1위를 유지했습니다. 쌀가공품 수요 증가로 냉동밥 매출이 23% 뛰었습니다. 특히 신영토 확장 전략을 토대로 주요 유통 채널 진출에 집중한 유럽과 호주는 매출이 각각 45%, 70%씩 크게 증가했습니다. 또 ‘넥스트 만두’로 선정한 냉동치킨과 냉동 및 상온 가공밥의 매출이 각각 25%, 23% 증가하며 해외 식품사업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했다는 평가입니다. 바이오사업부문은 매출 1조216억원, 영업이익 978억원으로 각각 3%, 55% 신장했습니다. 사업구조를 고부가가치 품목 중심으로 재편한 것이 수익성 개선으로 이어졌습니다. 글로벌 1위 품목인 트립토판(+44%)을 비롯해 스페셜티 아미노산(+32%) 매출이 늘었습니다. 사료∙축산 독립법인 CJ Feed&Care는 매출이 5911억원으로 전년 대비 10% 감소했고 152억원의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주요 사업국가인 인도네시아와 베트남 축산 사업이 안정화 추세로 접어들며 적자를 315억원 줄였습니다. CJ제일제당 관계자는 "글로벌 시장 리딩 플레이어로 도약하기 위해 해외 신영토 확장에 더욱 박차를 가하고 수익성 극대화를 위한 노력을 이어나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교촌에프앤비의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1년 새 2배 넘게 늘었습니다. 13일 교촌에프앤비에 따르면 올 1분기 영업이익이 113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3.8% 증가했습니다. 1분기 매출은 1133억원으로 전년 대비 5.9% 감소했습니다. 당기순이익은 73.3% 증가한 78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직전 분기인 지난해 4분기와 비교했을 때 매출은 1.9%, 영업이익은 67.3% 각각 신장했습니다. 교촌에프앤비는 가맹점주들의 영업권 보호를 위해 점포 수를 늘리지 않았음에도 1분기 매출액이 치킨업계의 성수기로 꼽히는 지난해 4분기 대비 소폭 상승한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했습니다. 회사는 올 초 아시안컵과 월드컵 예선전 등 스포츠 이벤트의 영향으로 소비자 판매량이 회복세를 보였고 메밀단편 등 신규 외식브랜드와 소스사업, 친환경 포장재 등 신사업의 매출이 증가하면서 전체적인 매출액 상승세를 이끈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교촌에프앤비 관계자는 "올해 교촌이 선포한 새 비전 ‘진심경영’을 바탕으로 브랜드 이미지 제고를 통해 고객 수요 회복에 나서며 실적 반등을 꾀할 것"이라며 "국내사업 뿐만 아니라 글로벌 사업과 신사업도 지속 확대해 기업 가치 고도화에 나선다는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CJ대한통운은 연결 기준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109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4% 증가했다고 10일 밝혔습니다. 물류 운영 효율 향상으로 영업이익이 늘었습니다. 당기순이익은 14.5% 증가한 554억원을 기록했습니다. 1분기 매출은 2조9214억원으로 전년 대비 4.0% 증가했습니다. 택배·계약물류(CL)·글로벌 등 전 사업부문의 매출이 늘어난 결과입니다. 사업별로 보면 택배·이커머스사업 매출은 937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9% 증가했습니다. 해외직구 및 패션·뷰티 등 물량 확대와 대형 이커머스 플랫폼 및 셀러 고객 유치 효과가 반영됐습니다. 영업이익은 신규 풀필먼트 센터 관련 초기비용 영향에도 고수익 고객 중심 물량 성장, 배송 네트워크 효율화로 전년 대비 8.5% 성장한 535억원을 기록했습니다. CL사업의 올 1분기 매출은 6968억원, 영업이익은 413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매출은 2.6%, 영업이익은 18% 각각 증가했습니다. 고객 맞춤형 물류 컨설팅 수주, 자동화 및 데이터 관리 기반 생산성 혁신 프로젝트가 주효했다는 설명입니다. 글로벌사업의 경우 포워딩 특화물류 확대로 매출은 전년 대비 3.9% 증가한 1조763억원을 기록했고 건설부문은 전년 동기 대비 16.4% 늘어난 2113억원의 매출을 올렸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휴메딕스(대표 김진환)는 1분기 개별 기준 매출이 412억원, 영업이익이 10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4%, 14% 증가했다고 10일 밝혔습니다. 당기순이익은 93억원으로 전년 대비 16% 감소했습니다. 휴메딕스는 엘라비에 필러 중심의 에스테틱, CMO, 해외 사업 등 고른 성장세를 호실적의 배경으로 꼽았습니다. 에스테틱 사업은 필러의 우수한 품질과 마케팅 강화를 통한 브랜드 가치 증대로 실적 순항을 견인했습니다. CMO 사업에서는 전문의약품의 품목군 다변화와 관절염 주사제의 수주 증가로 실적 성장을 이끌었습니다. 해외 사업은 기존 중국 필러 수출 증가와 브라질 남미 지역으로의 본격적인 수출 확대가 이어져 매출이 증가했습니다. 또 중동지역, 러시아/CIS, 동남아시아 등으로 신규 진출 국가를 늘려나갈 예정입니다. 여기에 주력 제품군 엘라비에 필러의 국내외 판매 및 수주 증가에 따른 매출 고성장으로 영업이익이 늘었습니다. 휴메딕스는 2분기에도 에스테틱 제품의 국내외 판매 호조, 신규 출시 제품인 더마아톰, 오토 MTS, 엘라비에 코스메틱 등 제품의 포트폴리오 확대로 외형성장을 유지해 나간다는 계획입니다. 아울러 지난 3월 식약처로부터 국내 최초로 허가를 받은 헤파린나트륨의 상업화 생산을 준비 중입니다. 김진환 휴메딕스 대표는 "필러의 해외시장 다변화에 나서고 이와 함께 화장품, 관절염주사제 등 기존 제품의 해외시장 판로를 개척해 매출을 늘려나갈 계획"이라며 "현재 진행하고 있는 외부 바이오벤처 기업들과 공동연구개발, 파이프라인 도입 등을 차질 없이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엔씨소프트[036570]의 1분기 실적이 전년 동기와 비교했을 때 전반적인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엔씨소프트는 연결 기준 1분기 매출 3979억1100만원, 영업이익 257억2300만원을 기록했다고 10일 공시했습니다. 각각 전년 동기 대비 16.9%, 68.5% 감소한 수치입니다. 당기순이익도 571억2200만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50% 줄었습니다. 이러한 하락세는 주력 상품인 모바일 게임 매출이 전년 동기 매출액인 3308억원 대비 24.6% 감소한 2494억원을 기록하며 나타난 것으로 업계는 분석합니다. 이번 1분기 엔씨소프트 매출은 모바일 게임 매출이 63%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게임별 매출은 ▲'리니지M' 1051억원 ▲'리니지W' 829억원 ▲'리니지2M' 559억원 등입니다. PC 온라인 게임의 경우 914억원에서 915억원으로 거의 변화가 없습니다. 매출 기여도는 23%로 ▲'길드워 2' 254억원 ▲'리니지' 243억원 ▲'리니지2' 234억원 ▲'아이온' 143억원 등으로 집계됐습니다. 지난해 12월 출시한 '쓰론 앤 리버티'는 PC 게임 매출 집계에서 제외됐습니다. 총 영업비용은 372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 감소했습니다. 이 중 인건비가 2027억원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매출변동비 및 기타비용 1347억원, 감가상각비 278억원, 마케팅비 69억원 등으로 나타났습니다.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넷마블[251270]이 1분기 영업이익 흑자를 기록했습니다. 넷마블은 연결 기준 올해 1분기 매출 5854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2.9% 감소했으나 순손실은 99억원으로 전기 손실액인 1856억원보다 폭이 축소됐다고 9일 공시했습니다. 전년 동기에 282억원 손실을 기록한 영업이익의 경우 1분기에 37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흑자 전환에 성공했습니다. 전 분기 영업이익인 188억원 대비 80.3% 감소한 수치이나 2분기 연속 흑자를 달성했습니다. 게임별 매출 기여도는 ▲'잭팟월드' 10% ▲'랏차슬롯'·'캐시프렌지' 각 9% ▲'마블 콘테스트 오브 챔피언스' 8% ▲'일곱 개의 대죄: 그랜드 크로스' 7% ▲'세븐나이츠 키우기' 5% 등으로 집계됐습니다. 영업비용은 581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8%, 직전 분기 대비 10.1% 감소했습니다.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지급수수료는 2274억원으로 매출 감소 영향을 받아 전년 동기 대비 8%, 직전 분기 대비 10.3% 감소했습니다. 인건비는 179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3% 줄었습니다. 마케팅비는 101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 상승했으나 직전 분기와 비교하면 20.5% 감소했습니다. 넷마블은 오는 29일 신작 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 '레이븐2'를 출시하고, 올해 하반기에는 ▲'일곱개의 대죄 키우기' ▲'킹 아서: 레전드 라이즈' ▲'RF 온라인 넥스트' ▲'데미스 리본' 등 신작 4종을 선보일 예정입니다. 권영식 넷마블 대표 지난 9일 정식 출시한 신작 '나 혼자 레벨업: 어라이즈'에 대해 언급했습니다. 권 대표는 "출시 후 24시간 기준 일간 활성 이용자수는 약 500만 명, 매출은 140억원 정도를 기록 중이다"이라며 "론칭 실적을 기준으로는 역대 최대 매출"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어서 "하반기엔 스팀 플랫폼 출시하고 내년쯤엔 콘솔 플랫폼 출시를 통해 게임의 수명을 장기화할 계획"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KT[030200]가 1분기 흑자 전환에 성공했습니다. KT는 2024년 1분기 매출이 연결 기준 6조6546억원, 별도 기준 4조6948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3%, 1.6% 성장했다고 10일 공시했습니다. 별도 서비스 매출은 4조406억원으로 2010년도 이후 약 14년 만에 1분기 기준 서비스 매출 4조원을 돌파했습니다. 영업이익은 506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2%, 직전 분기 대비 90.7% 증가한 것으로 기록됐습니다. 특히 당기순이익의 경우 전년 동기 대비 26.9% 증가한 3930억원을 기록하며 전기 대비 흑자 전환에 성공했습니다. 무선 사업에서는 5G 가입자가 전체 핸드셋 가입자 중 74%인 995만명을 돌파하고 로밍 사업의 성장과 MVNO 시장 확대로 무선서비스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9% 성장했습니다. KT는 지난 1월에 5G 중저가 요금제 10종과 다이렉트 요금제 '요고' 8종을 선보인 바 있습니다. 유선 사업은 전년 동기 대비 1% 매출 성장을 보였으며 초고속인터넷 매출은 기가인터넷 가입자 순증과 와이파이 신모델인 'KT 와이파이 6D' 출시 등 부가서비스 제공 등을 통해 전년 동기 대비 2.1% 증가했습니다. 미디어 사업은 IPTV 가입자 확대와 프리미엄 요금제 판매 확대에 힘입어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2.3% 성장했습니다. 기업서비스 사업 매출은 기존에 수주한 대형 사업에서 발생한 매출과 기업의 AX 서비스 수요 확대로 전년 동기 대비 5% 성장한 8950억원을 기록했습니다. ▲AICC ▲IoT ▲스마트모빌리티 ▲스마트공간 ▲에너지 등 5대 성장사업도 AICC, IoT를 중심으로 대형사업의 수주와 고객 확대를 통해 전년 동기 대비 4.9%의 매출 성장을 거뒀습니다. KT그룹은 핵심 사업 포트폴리오에서 매출과 영업이익의 개선세를 보였습니다. 케이뱅크는 2024년 1분기 말 수신 잔액 24조원, 여신 잔액 14조8000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각각 44.1%, 23.6% 증가했습니다. 고객 수도 올 1분기 중 1000만명을 돌파했습니다. 케이뱅크는 이를 토대로 올 상반기 내에 상장예비심사 청구를 할 계획이며 연내 상장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KT에스테이트는 분양 및 임대 사업 간 균형 성장으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20.3% 늘었습니다. 2022년 11월에 오픈한 르메르디앙&목시 호텔의 안정적인 영업과 소피텔 앰버서더 등 OCC(객실 점유율)이 꾸준한 증가한 점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kt cloud는 글로벌 고객 중심의 코로케이션 매출 증가와 DBO(Design·Build·Operate) 사업 수주를 바탕으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17.8% 성장했습니다. 한편, KT는 지난 3월 정기주주총회에서 정관 개정을 통해 24년도부터 분기배당을 도입했으며 최근 1분기 주당 500원의 현금배당을 발표했습니다. 또한, 이번 달 9일 공시를 통해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보유 중인 자기주식 4.41% 중 2%인 514만3300주를 소각한다고 알렸습니다. 장민 KT CFO 전무는 "KT그룹은 B2C, B2B 사업과 그룹사의 안정적인 성장으로 시장의 기대에 부합하는 실적을 낼 수 있었다"며 "AICT 기업으로의 도약을 통해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하고 이를 기반으로 기업가치와 주주가치 모두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롯데쇼핑이 마트, 슈퍼, 홈쇼핑 등 주요 사업부가 수익성을 개선하며 올해 1분기 선방했습니다. 백화점은 고마진 패션 상품 매츨 둔화로 영업이익이 줄었습니다. 롯데쇼핑은 연결 기준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114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1% 증가했다고 9일 공시했습니다. 지난해 4분기에 이어 수익성 개선세를 유지하며 2021년부터 4년째 1분기 영업이익 성장을 이어갔습니다. 당기순이익은 729억원으로 7년 만의 연간 흑자를 기록한 지난해 1분기보다 26.1% 증가했습니다. 1분기 매출은 3조5133억원으로 전년 대비 1.4% 소폭 감소했습니다. 백화점 매출은 8156억원으로 전년보다 1.4% 늘었습니다. 백화점은 거래액 기준 1분기 사상 최대의 실적(4조5000억원)을 기록했습니다. 국내 사업에서 식품, 리빙, 럭셔리 상품군 중심 기존점 매출이 늘었습니다. 해외사업에서는 베트남을 중심으로 매출액이 크게 증가했습니다. 영업이익은 903억원으로 전년 대비 31.7% 감소했습니다. 일회성 비용 발생과 함께 고마진 패션 상품군 매출이 부진했습니다. 백화점은 지난해 말 식품관을 새롭게 오픈한 인천점과 수원점 등 리뉴얼 점포들이 성과를 거뒀습니다. 본점은 외국인 매출이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회복하고 있으며 잠실점 등 대형점포가 매출 성장을 견인 중입니다. 해외는 롯데몰 웨스트레이크 하노이를 중심으로 실적을 개선해 나간다는 목표입니다. 마트는 1분기 매출이 1조4825억원으로 전년 대비 2.5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432억원으로 35.3% 늘었습니다. 슈퍼는 매출 3287억원, 영업이익 120억원으로 각각 0.9%, 42.2% 신장했습니다. 국내 마트와 슈퍼는 그로서리 중심의 매장 리뉴얼 효과로 기존점 매출이 마트 4.7%, 슈퍼 4.4% 각각 증가했습니다. 마트의 경우 베트남과 인도네시아 등에서 매출액, 영업이익이 성장하며 해외 사업 매출이 13.1% 증가한 4281억원, 영업이익이 34.4% 증가한 178억을 기록했습니다. 또 마트와 슈퍼의 통합 작업에 따른 매출총이익률 개선, 판관비율 감소 등의 효과가 이어지며 영업이익을 개선해 나가고 있습니다. 하이마트는 1분기 매출 525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1% 줄었고 영업손실은 160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지난해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사업구조 개선 전략이 효과를 내면서 영업적자를 98억 개선했습니다. 홈쇼핑은 1분기 매출이 2275억원으로 1.6% 감소했습니다. 산업 전반의 침체 장기화 및 온라인 상품 포트폴리오 조정에 따라 취급고가 감소했습니다. 반면 영업이익이 98억원으로 1년새 156.1% 늘었습니다. 패션/뷰티/여행 상품 등 고마진 상품의 판매가 늘었고 손익 구조 효율화 성과가 나타났습니다. 이커머스 매출은 298억원으로 전년보다 1.7% 증가했고 224억원의 영업손실을 내며 적자가 소폭 늘었습니다. 매출은 2022년 3분기부터 7개 분기 연속 증가세가 이어졌습니다. 이커머스는 1월부터 매월 진행하고 있는 '월간 롯데' 행사를 통해 롯데 계열사와의 시너지 확대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김원재 롯데쇼핑 재무본부장은 "전 사업부의 수익성 개선 노력에 힘입어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이 증가하는 흐름을 유지하고 있다"며 "매출 확대와 손익 개선을 중심으로 하는 롯데쇼핑의 '트랜스포메이션 2.0'을 추진해 고객의 첫 번째 쇼핑 목적지가 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현대백화점이 백화점 사업부 호조에도 면세점과 지누스 부진에 발목을 잡히며 1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이 동반 하락했습니다. 현대백화점은 연결 기준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68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6% 감소했다고 9일 밝혔습니다. 1분기 매출은 9517억원으로 전년 대비 13.3% 줄었습니다. 백화점 사업 매출은 593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6%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1031억원으로 8.3% 늘었습니다. 백화점은 명품, 영패션, 스포츠 상품군을 중심으로 판교점, 더현대 서울의 매출 호조세가 이어지면서 1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이 증가했다고 현대백화점 측은 분석했습니다. 면세점은 1분기 매출이 2405억원으로 전년보다 27.6% 감소했습니다. 영업손실 52억원을 기록하며 적자 폭을 105억원가량 줄였습니다. 지누스의 경우 매출이 152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3.5% 감소했고 영업손실 191억원과 함께 적자전환했습니다. 현대백화점은 매트리스 압축 포장 기술 고도화 및 주력 상품 교체가 이뤄지는 2분기부터 반등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현대백화점 관계자는 "면세점은 매출 증가와 인천공항면세점 신규 오픈, 개별여행 관광객 증가 등으로 적자폭이 개선됐다"며 "지누스는 고객사들의 기존 재고 소진에 따른 신제품 출고 지연으로 이익이 감소했다"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셀트리온[068270]은 연결 기준 올해 1분기 매출액 7370억원을 기록했다고 9일 밝혔습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23.3% 증가한 수치로 창사 이래 분기 매출 7000억원을 처음으로 돌파하며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154억원으로 전년 대비 91.5% 급감했습니다. 재고 합산에 따른 원가율 상승, 무형자산 상각 등 이미 예상된 합병 관련 일시적 요인이 반영됐다는 설명입니다. 셀트리온은 합병 법인으로서 맞이한 첫 분기에서 성장세를 유지했습니다. 주력사업 부문인 바이오시밀러 사업은 전년 동기 대비 57.8% 증가한 매출 6512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지난해 4분기 대비해서는 228.7% 늘었습니다. 바이오시밀러 주요 품목들이 고르게 성장하며 매출 상승을 견인했습니다. 주력 제품군인 램시마 라인은 두 제품 모두 유럽 시장에서 선전했습니다.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아이큐비아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기준 정맥주사(IV) 제형 ‘램시마’의 유럽 시장 점유율은 61%로 집계됐으며, 유럽 주요 5개국(EU5)에서 피하주사(SC) 제형 '램시마SC'의 점유율은 21%를 기록했습니다. 지난 3월 미국에서 출시한 ‘짐펜트라(램시마SC의 미국 제품명)’의 성장 기대감도 커지고 있습니다. 셀트리온은 짐펜트라를 출시 보름 만에 미국 3대 처방약급여관리업체(PBM) 중 하나로 꼽히는 ‘익스프레스 스크립츠’ 처방집에 선호의약품으로 이름을 올렸습니다. 또 최근 미국 특허청(USPTO)에 짐펜트라 제형 특허 등록을 완료, 오는 2038년까지 미국에서 SC제형 인플릭시맙으로의 독점적 권리를 확보했습니다. 이미 출원을 마친 투여법 특허까지 등록되면 최대 2040년까지 독점적 권리를 누릴 수 있습니다. 램시마 제품군 외에 기존에 출시한 바이오시밀러 제품군도 견고한 점유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트룩시마’의 경우 지난해 4분기 기준 미국에서 29%, 유럽에서 24% 점유율을 나타냈습니다. '허쥬마'는 퍼스트무버로 강점을 살린 일본에서 65%, 유럽에서 19%의 점유율을 각각 기록했습니다. 올해 상업 생산 가동 예정인 제3공장도 셀트리온 성장세에 힘을 실을 예정입니다. 6만리터 규모의 3공장은 다양한 품목을 소량 생산하는 '다품종 소량생산'에 특화했습니다. 가동시 셀트리온은 기존 1공장(10만 리터), 2공장(9만 리터)과 함께 총 25만 리터의 생산규모를 갖추게 될 전망입니다. 합병 이전 셀트리온헬스케어(현재 소멸법인)가 보유한 재고자산을 지속 소진하고 매출원가율이 개선된 제품을 생산하면서 올해 1분기 기준 50%대 매출원가율이 연말까지 30%대로 감소할 것으로 회사 측은 추산하고 있습니다. 매출원가율이 낮아지면 수익성이 개선되고 적극적인 해외 입찰이 가능해집니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지난해 말 합병에 따른 영향으로 올해 상저하고 실적 전망이 나오는 와중에 주력 사업인 바이오시밀러 부문 성장으로 역대 최대 분기 매출을 달성했다"며 "짐펜트라의 미국 시장 안착과 기존 제품의 지속적인 성장세를 통해 제2의 도약을 이뤄내는 한 해가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메디컬 에스테틱 전문 기업 휴젤은 연결 기준 올해 1분기 매출이 74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4% 증가했다고 9일 공시했습니다. 보툴리눔 톡신과 HA필러가 국내외 시장에서 안정적으로 성장하면서 역대 1분기 사상 최대 실적을 이끌었습니다. 1분기 영업이익은 240억원으로 전년 대비 29.5% 증가했습니다. 당기순이익은 227억원으로 33.8% 늘었습니다. 보툴리눔 톡신 제제 '보툴렉스'는 국내에서 300단위 대용량 제품이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습니다. 호주·일본·태국·대만 등 아시아 태평양 지역 매출은 46% 증가하며 성장세를 이어갔습니다. HA필러(더채움·바이리즌 스킨부스터 HA) 매출은 전년 대비 12% 신장했습니다. 더채움 론칭 10주년을 맞아 국내에서 다양한 마케팅 및 학술 활동을 지속했고 아시아 태평양·북남미·유럽 등 전 지역에서 매출이 고르게 증가했습니다. 더마 코스메틱 브랜드 ‘웰라쥬’ 매출은 전년보다 50.8% 늘었습니다. 휴젤은 하반기에도 국내외 시장 확대에 주력합니다. '보툴렉스(수출명 레티보)'를 주제로 국내외 의료전문가 대상 학술 세미나 및 트레이닝 등을 전개하고 용량별 시술 가이드 및 병용 시술 가이드를 제공해 글로벌 톡신 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할 예정입니다. 최근 '더채움(수출명 리볼렉스, 더말렉스, 퍼스니카)'의 품목허가를 획득한 태국·레바논·사우디아라비아에서는 현지 KOL을 대상으로 론칭 세미나를 개최하는 등 신규 시장 안착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휴젤 관계자는 "톡신·필러·화장품 등 모든 품목이 국내외 시장에서 전방위적으로 성장하며 역대 1분기 사상 최대 매출을 경신했다"며 "휴젤 기업 가치를 제고할 수 있도록 각 브랜드별 공격적인 마케팅 전략 수립 및 글로벌 시장 확대에 전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KT&G(사장 방경만)는 연결 기준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236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5.3% 감소했다고 9일 공시했습니다. 1분기 매출은 1조2923억원으로 전년 대비 7.4% 감소했습니다. 1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이 동반 부진한 배경에 대해 KT&G 측은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제조원가 상승과 대규모 부동산 개발사업 종료, 국내 소비 위축에 따른 건강기능식품(건기식) 매출 감소 등이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습니다. 주요 사업에서는 성과를 이어갔습니다. NGP(전자담배) 사업의 핵심 성장 동력인 국내외 스틱은 수량과 매출액, 영업이익이 모두 증가했습니다. 특히 글로벌 스틱 수량은 21억1000만개비로 전년 동기 대비 14.7% 증가했습니다. 또 전체 해외 궐련 사업 매출은 인도네시아 등 주요 국가 내에서의 가격 인상 효과로 전년 동기 대비 10.1% 증가한 2918억원을 기록하며 3분기 연속 매출 성장을 이어갔습니다. KT&G는 지난 3월 방경만 사장 취임 이후 3대 핵심사업(NGP·해외 궐련·건기식) 성장을 위해 책임경영 체제를 강화했습니다. CEO 직속으로 전략∙마케팅∙생산 부문을 신설했습니다. 해외에는 권역별 CIC(사내 독립 기업)와 생산본부를 설립해 글로벌 사업 확장 가속화를 위한 사업관리 체계를 구축했습니다. 아울러 수익성 향상을 위한 ‘ROE(자기자본이익률) 제고 프로젝트’를 가동 중입니다. 3년(2024~2026년)간 2조8000억원 규모의 현금 주주환원과 함께 발행주식총수의 약 15%에 달하는 자사주를 소각하는 중장기 주주환원 정책의 이행을 통해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에도 동참할 예정입니다. KT&G 관계자는 "글로벌 톱 티어로의 도약을 위해 핵심사업의 본원적 경쟁력 강화와 구조 혁신에 주력하고 있다"며 "KT&G는 글로벌 시장 내 핵심사업 경쟁력을 확대하고 운영 효율화 활동을 지속 전개하는 등 하반기 실적 턴어라운드를 위해 만전을 기할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애경산업[018250]이 중국사업 호조와 일본 시장 성장세에 1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이 개선됐습니다. 애경산업은 연결 기준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16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8% 증가했다고 9일 공시했습니다. 1분기 매출은 1691억원으로 전년 대비 7.7% 늘었습니다. 당기순이익은 136억원으로 16.9% 감소했습니다. 화장품사업 1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7.6% 증가한 631억원, 영업이익은 13.7% 증가한 99억원을 기록했습니다. 화장품 글로벌사업은 전용 제품 출시, 국가별 브랜드 모델 발탁 등 현지화 전략을 통해 사업 경쟁력을 강화했습니다. 중국에서 동영상 플랫폼 중심으로 성장했고 AGE20’S(에이지투웨니스)의 럭셔리 라인을 현지에 선보이며 포트폴리오를 확대했습니다. 일본에서는 전년 동기 대비 2배 이상 성장했습니다. '루나'는 일본 현지 오프라인 채널 입점 확대와 운영 제품을 다각화했으며 지난 3월 큐텐 메가와리 행사에서 최고 실적을 달성했습니다. 베트남은 AGE20’S의 현지 모델을 활용해 여성의 날 오프라인 행사를 개최하는 등 소비자 접점을 확대했습니다. 국내의 경우 자사몰을 포함한 디지털 채널 성장을 시현하는 한편 채널 운영 효율화를 통해 수익성을 개선했습니다. AGE20’S는 벨벳 팩트, 글래스 팩트 등 신규 입점 및 리뉴얼 제품을 선보이며 H&B 채널에서 매출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루나는 블러 커버 쿠션 등을 출시하며 제품군을 다각화했습니다. 생활용품사업 1분기 매출은 106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7% 증가했으나 영업이익은 66억원으로 2.1% 줄었습니다. 헤어·덴탈·바디 카테고리가 두 자릿수 성장하는 등 퍼스널 케어 중심의 고객 수요가 확대됐습니다. 글로벌에서는 국가별 소비자 니즈와 트렌드 등을 고려해 현지 맞춤 전략을 수립했습니다. 국내외 채널 및 브랜드 투자 등의 영향으로 영업이익은 소폭 감소했습니다. 애경산업은 지난달 글로벌 K뷰티 유통 플랫폼 실리콘투와 업무협약을 통해 미국 화장품 시장 진출을 본격화했습니다. 일본, 베트남 등 국가에서도 채널 확장 및 마케팅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애경산업 관계자는 "K뷰티의 주요 수출국으로 떠오르고 있는 국가 등에서 브랜드 인지도를 제고하며 경쟁력을 확보해 나갈 계획"이라며 "미래성장동력 마련을 위한 투자를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SK바이오팜(대표 이동훈)이 세노바메이트(미국 제품명: 엑스코프리) 매출 성장에 힘입어 올해 1분기 영업이익 흑자와 함께 창사 이후 첫 2분기 연속 흑자를 달성했습니다. SK바이오팜은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매출이 114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7.5% 증가했다고 9일 공시했습니다. 1분기 영업이익은 103억원으로 흑자 전환했고 당기순이익도 97억원으로 흑자로 돌아섰습니다. 세노바메이트의 1분기 미국 매출은 90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8.5%, 전분기 대비 17% 늘었습니다. 매출 규모와 90% 중반에 달하는 매출총이익률 등을 고려할 때 향후 안정적인 흑자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SK바이오팜은 예상하고 있습니다. 그 외 기타 매출로는 1분기 반제품 DP/API 매출, 세노바메이트 유럽 및 솔리암페톨의 로열티 수입, 아시아 임상 진행 매출, 기타 용역 매출 등 다양한 수익원에서의 매출이 호조를 보이고 있습니다. 연초 기타 매출 가이던스(700억원 이상)를 초과 달성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SK바이오팜에 따르면 세노바메이트의 출시 47개월 차인 지난 3월 월간 총 처방 수는 약 2만7000건이며 이는 경쟁 신약의 출시 47개월 차 처방 수의 약 2.3배 수준입니다. SK바이오팜은 올해 월간 처방 수(TRx)를 끌어올려 TA(Therapeutic Area) 내 의약품 처방 1위를 달성한다는 목표입니다. 아울러 2025~2026년에 걸쳐 세노바메이트의 전신 발작으로의 적응증 확장, 소아, 청소년까지 연령 확대 등으로 매출 퀀텀 점프를 노리고 있습니다. 미국에서 신약을 직접 판매할 때만 가능한 90% 중반의 높은 매출총이익율과 고정비 레버리지를 통한 빠른 이익 성장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SK바이오팜은 세노바메이트의 성장과 함께 기 구축한 마케팅 인프라를 활용하는 상업화 제품 등을 외부에서 도입하여 가속 성장하고, 여기에서 오는 막대한 잉여 현금을 기반으로 신규 모달리티 기술 플랫폼과 항암으로 영역을 확장해 ‘빅 바이오텍’을 향한 약진을 본격화한다는 계획입니다. SK바이오팜 관계자는 "창사 후 처음으로 2분기 연속 흑자를 달성했고 지난 1분기에는 온전히 세노바메이트 미국 매출 성장으로 흑자를 달성했다는 의미가 크다"며 "연간 및 매 분기 흑자 달성이라는 목표 달성을 향해 순항 중"이라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LG유플러스[032640]의 1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LG유플러스는 연결기준 2024년 1분기 ▲매출 3조5770억원 ▲서비스 매출 2조8939억원 ▲영업이익 2209억원을 기록했다고 9일 공시했습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 늘었습니다. 서비스 매출은 영업 매출에서 단말 매출을 제외한 매출로 연결기준 2.5%, 별도기준 2.7% 성장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연초 회사가 제시했던 경영 목표 '별도기준 서비스수익 2% 성장'을 넘어선 수치입니다. LG유플러스는 매출 확대의 배경으로 B2B 기업인프라 부문의 성장을 꼽았습니다. AICC(인공지능컨택센터), 스마트모빌리티 등 신사업을 포함한 '솔루션 사업'의 성장과 'IDC 사업'이 두 자릿수 매출 증가율을 달성하며 실적을 견인했습니다. 반면, 영업이익은 신규 통합 전산망 구축으로 인한 비용 반영과 휴대폰 판매량 증가에 따른 마케팅비용 상승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1% 감소한 2209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마케팅비용은 5467억원으로 지난해 1분기 5343억원과 비교해 2.3% 증가했습니다. 1분기 CAPEX(설비투자)는 20MHz 추가 주파수 할당에 따른 기지국 구축이 마무리되면서 전년 동기 대비 25.9% 감소한 3849억원을 집행했습니다. 기업을 대상으로 한 솔루션, IDC, 기업회선 등 사업이 포함된 기업 인프라 부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9.9% 증가한 4050억원을 기록했습니다. 가장 크게 성장한 부문은 AICC, SOHO, 스마트모빌리티 등 분야를 포함하고 있는 솔루션 사업으로 1분기 솔루션 사업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9.8% 증가한 1220억원입니다. 향후 LG유플러스는 AICC에 차체 개발한 AI 기술인 '익시(ixi)' 기반 챗 에이전트를 탑재하고 대형언어모델(LLM) 익시젠(ixi-GEN)을 탑재,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해 나간다는 방침입니다. IDC 사업은 5개 분기 연속 두 자릿수 매출 성장을 달성했습니다. 1분기 IDC 사업의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1.7% 성장한 855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기업 인터넷과 전용회선 등을 포함한 기업회선 사업 매출도 전년 대비 3.8% 증가한 1974억원을 기록했습니다. 모바일 부문은 총 가입 회선이 5G 도입 이후 역대 최대 증가율을 달성하며 성장을 견인했습니다. 모바일 사업 매출은 1조581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3% 상승했습니다. 접속매출을 제외한 무선서비스매출은 1.9% 성장한 1조5071억원입니다. MNO와 MVNO를 합한 전체 무선 가입회선 수는 2626만8000개로 전년 대비 27.8% 늘어나며 3개 분기 연속 20%대 성장을 달성했습니다. IPTV와 초고속인터넷을 포함한 스마트홈 사업 매출은 고가치 가입회선 증가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2.9% 증가한 6117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초고속 인터넷 사업 매출은 전년 대비 6.5% 상승한 2775억원이며 초고속 인터넷 가입회선은 전년 대비 4.4% 증가한 521만8000개입니다. IPTV 사업 매출은 334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0.1% 늘었습니다. 올해 1분기 IPTV 가입회선은 전년 동기 대비 2.1% 늘어난 547만9000개며 순증 가입회선은 119.2% 증가한 3만4000개로 집계됐습니다. 한편, LG유플러스는 업계 최초로 IPTV MSA(마이크로서비스아키텍처) 전환 작업을 성공함에 따라 요금제, 맞춤형 콘텐츠 기능, UI·UX 등 업데이트를 서비스 끊김 없이 신속하게 적용할 수 있게 했습니다. 여명희 LG유플러스 최고재무책임자(CFO) 겸 최고리스크책임자(CRO) 전무는 "올해 어려운 대내외 환경이 예상되는 가운데, 통신 및 신사업 등 전 사업 영역에서 AI 기반 디지털 트렌스포메이션(AX)을 통해 더 큰 성장의 기회를 만들 것"이라며 "고객 경험 혁신과 수익 성장을 기본으로 시장 환경에 유연하게 대응해 경영 목표를 달성하고 주주 이익을 제고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GS리테일이 올해 1분기 편의점과 수퍼, 호텔 사업 성장으로 호실적을 냈습니다. GS리테일은 올 1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73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6% 증가했다고 9일 공시했습니다. 1분기 매출은 2조8104억원으로 전년 대비 5.1% 증가했습니다. 당기순이익은 118.4% 늘어난 388억원을 기록했습니다. 편의점(GS25) 사업 매출은 1조968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4%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263억원으로 3.6% 늘었습니다. 신규 점포 출점에 따라 운영점이 증가했고 매출 신장 효과로 영업이익이 확대됐습니다. 지난해 기준 전국 GS25 점포 수는 1만7390개점입니다. 수퍼(GS더프레시)는 매출 3809억원, 영업이익 9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1.6%, 5.6% 신장했습니다. 1분기 기존점 신장률은 2.6%로 지난해 2분기부터 4개 분기 연속 플러스 성장을 유지했습니다. 1분기 기준 전국 GS더프레시 점포 수는 463개점(가맹점 347개, 직영점 116개)입니다. 홈쇼핑(GS샵)은 지속적인 TV시청 인구 감소로 1분기 매출이 전년보다 4.8% 감소한 2763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영업이익은 328억원으로 판촉비 등 판관비 효율화로 전년 대비 1.2% 늘었습니다. 호텔(파르나스)은 나인트리(용산·명동 등) 및 제주 호텔 투숙율 증가에 따라 매출과 영업이익이 증가했습니다. 매출은 1097억원으로 12.7% 늘었고 영업이익은 243억원으로 2.9% 증가했습니다. 올 1분기 제주 호텔 투숙률은 75.6%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2.2%p 늘었습니다.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카카오[035720]가 자사의 역대 1분기 중 가장 높은 매출액을 기록했습니다. 9일 카카오에 따르면, 연결 기준 2024년 1분기 연결 매출이 1조9884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22.5% 증가했습니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92% 증가한 1203억원으로 영업이익률은 6%입니다. 당기순이익은 67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11.6%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플랫폼 사업 부문에서는 9548억원의 매출을 거둬 전년 동기 대비 13% 증가했습니다. 플랫폼 부문 중 톡비즈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8% 증가한 5221억원을 기록했습니다. 다음 등 포털비즈 매출의 경우 전년 동기 대비 1% 증가한 847억원으로 나타났습니다. 모빌리티·페이 등이 포함된 플랫폼 기타 매출은 카카오모빌리티 전 사업 부문의 고른 성장과 카카오페이의 해외 및 오프라인 결제액 증가 등의 영향으로 전분기 대비 5%, 전년 동기 대비 24% 증가한 3480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콘텐츠 부문의 경우 매출은 1조33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3% 증가했습니다. 콘텐츠 부문 내 뮤직 매출은 4682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102% 성장했습니다. SM엔터테인먼트 인수, 아이유의 신보 발매와 글로벌 투어 등이 성장에 기여했다는 것이 카카오의 설명입니다. 스토리의 매출은 전분기 대비 6% 증가, 전년 동기 대비 1% 감소한 2270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미디어 매출은 전분기 대비 4% 감소, 전년 동기 대비 41% 증가한 952억원입니다. 1분기 연결 영업비용은 1조8681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2%, 전년 동기 대비 20% 증가했습니다. 카카오는 1분기 실적 공시와 함께 AI 서비스 개발에 속도를 내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카카오는 초거대 AI 언어모델 'Ko-GPT'를 비롯해 텍스트 기반 이미지 생성모델 '칼로(Karlo)', 다양한 경량화 언어모델 등을 보유한 카카오브레인의 기술 역량과 카카오가 보유한 서비스 강점을 결합해 속도감 있게 AI 서비스를 내놓는 것이 목표라 밝혔습니다. 지난 2일 인공지능 연구/개발 자회사 카카오브레인의 초거대 AI 기반 언어 모델과 이미지 생성 모델 등을 영업 양수하기로 결정한 바 있습니다. 카카오는 이를 통해 AI 기술의 일상화·대중화를 추진해 갈 계획입니다.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SK텔레콤[017670]이 2024년 1분기 영업이익이 지난해 동기 0.8% 증가했다고 8일 공시했습니다. SKT는 연결 기준 2024년 1분기 ▲매출 4조4746억원 ▲영업이익 4985억원 ▲당기순이익 3619억원을 기록했습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34% 늘어났지만 직전 분기보다는 1.16% 감소한 수치로 나타났습니다. 영업이익의 경우 전년 동기 대비 0.8% 증가해 전년 동기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습니다. 직전 분기 영업이익인 2971억원보다는 67.81% 증가했습니다. 당기순이익은 투자자산 관련 영업외수익 증가로 인해 전년 동기 대비 19.65% 증가했습니다. SKT는 1분기 실적에 대해 최근 SKT의 주력 사업 포인트인 AI 사업의 성과가 주효했다고 평가했습니다. 1분기 실적에서 엔터프라이즈 사업이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가며 비통신 영역의 확고한 성장동력으로 자리매김한 가운데, 엔터프라이즈 AI 매출도 전년 동기 대비 10% 이상 증가라는 의미 있는 성장을 이뤘다는 설명입니다. 향후, SKT는 'AI 피라미드 전략' 실행의 속도를 높여 올해 AI 인프라, AIX, AI서비스 3대 핵심 영역의 구체적인 성과 창출에 주력한다는 전략입니다. AI 사업의 기반인 AI 인프라 영역에서는 데이터센터 사업이 지속적인 가동률 증가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26%의 매출 성장을 기록했습니다. SKT는 데이터센터 사업을 수요가 증가 중인 AI 데이터센터 사업으로 발전시킬 계획입니다. 이를 위해 SKT는 ▲SK하이닉스[000660] ▲SK브로드밴드[033630] ▲SK엔무브 ▲사피온 등 그룹사의 역량을 결집한 AI 데이터센터 솔루션 패키지를 준비 중이며 미국 서버 제조 기업인 슈퍼마이크로와 GPU 클라우드 기업 람다 등 글로벌 사업 협력도 추진 중입니다. 통신사업 특화 텔코 LLM은 이르면 오는 6월 한국어 버전 개발을 완료, 상용화를 추진합니다. 또한, 글로벌 회원사들과 함께 글로벌 텔코 LLM도 개발 중입니다. AIX 영역 중 모바일 사업에서는 1분기 말 기준 ▲5G 가입자 1593만명 ▲유료방송 가입자 959만명 ▲초고속 인터넷 699만명을 확보하며 가입자 순증을 끌어냈다는 평가입니다. 엔터프라이즈 사업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약 10% 성장했습니다. 특히 클라우드 사업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약 40% 증가해 엔터프라이즈 전체 성장을 견인했습니다. AI 서비스 영역에서는 에이닷이 아이폰 사용자들에게 호응을 얻은 통화녹음 및 요약, 실시간 통화통역 서비스를 지난 4월부터 안드로이드 단말로도 확대 제공 중입니다. 구독서비스 T우주는 1분기 말 기준, 월간 실사용자가 260만명을 넘어섰습니다. 한편, SKT는 올해부터 2026년까지 3년간의 주주환원정책으로 연결 기준 조정 당기순이익 50% 이상을 주주환원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주주환원재원 범위를 정하는 가이드라인의 상한선을 폐지하고 별도 실적이 아닌 연결 실적을 기준으로 해 자회사 성과도 주주와 공유하도록 개선했습니다. 1분기 주당 배당금은 작년 1분기와 동일한 830원으로 확정됐습니다. 김양섭 SKT CFO는 "실적 개선 추이에 따라 더 큰 주주환원을 할 수 있도록 회사의 의지를 새로운 주주환원정책에 반영했다"며 "견고한 유무선 기반을 더욱 공고히 하고 수익성·효율성 등 기업체질 개선과 구체적인 AI 성과 창출에 주력해 기업가치 제고를 이뤄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신세계가 올해 1분기 성장세를 이어간 가운데 백화점이 분기 최대 매출 기록을 달성했습니다. 신세계는 1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163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0% 증가했다고 8일 공시했습니다. 1분기 매출은 2조8187억원으로 전년 대비 5.4% 증가했습니다. 백화점 사업의 경우 1분기 총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7.9% 신장한 1조8014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역대 최대였던 지난해 1분기 총매출(1조6695억원)을 1년 만에 넘어서며 1분기 사상 최대 매출을 새로 썼습니다. 1분기 영업이익은 1137억원으로 전년 대비 3.1% 늘었습니다. 신세계백화점은 지난 1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리뉴얼한 데 이어 2월 국내외 디저트를 모은 강남점 스위트파크를 오픈하는 등 다양한 콘텐츠를 앞세웠습니다. 올 상반기 강남점 식품관 및 타임스퀘어 패션관 등 리뉴얼, 모바일 앱 활성화를 통해 온·오프라인 시너지에 역량을 집중할 계획입니다. 연결 자회사 중 신세계까사는 1분기 매출이 685억원으로 전년 대비 30.0%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10억원을 기록하며 흑자 전환했습니다. 수면 전문 브랜드 ‘마테라소’와 베스트셀러 소파 ‘캄포’ 등 메가히트 상품에 힘입어 매출액이 전년보다 큰 폭으로 늘었습니다. 신세계라이브쇼핑 역시 블루핏, 에디티드, 엘라코닉 등 패션PB의 호조로 매출액 782억원(+16.7%)과 영업이익 56억원(+62억원)이 모두 성장했습니다. 신세계디에프(면세점)의 매출액은 4867억원으로 전년보다 4.8% 줄었습니다. 신세계센트럴시티는 영랑호 리조트 영업 양수 효과와 임대 수익 증가로 매출액이 5.5% 증가한 889억원, 영업이익은 44억원 늘어난 262억원을 달성했습니다. 신세계인터내셔날은 매출액이 3094억원으로 0.9%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112억원으로 9억원 증가했습니다. 코스메틱부문은 올 1분기 매출 1043억원, 영업이익 65억원을 기록하며 분기 최대 매출을 이뤘습니다. 자체 화장품과 수입 화장품이 모두 호실적을 보였습니다. 신세계 관계자는 "녹록지 않은 업황과 치열한 커머스 경쟁 속에서도 백화점 역대 1분기 최대 매출과 연결 회사들의 고른 성장을 바탕으로 경쟁력을 입증했다"며 "백화점의 콘텐츠 혁신과 자회사들의 견고한 실적을 바탕으로 내실 있는 성장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문승현 기자ㅣ인터넷전문은행 카카오뱅크(대표이사 윤호영)는 올해 1분기 당기순이익이 1112억원으로 집계됐다고 8일 밝혔습니다. 이는 분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으로 지난해 1분기(1019억원) 대비 9.1%, 직전인 지난해 4분기(757억원) 대비로는 무려 46.9%(355억원) 큰폭 증가한 것입니다. 이번 실적은 대환 중심의 여신성장에 힘입었습니다. 1분기말 여신잔액은 41조3000억원으로 지난해말보다 2조6000억원(6.7%) 늘었습니다. 1년전(29조3000억원)과 비교하면 12조원(41%) 불어났습니다. 특히 직전 분기 대비 주택담보대출 잔액이 9조1000억원에서 11조8000억원으로 29.7%(2조7000억원) 크게 늘고 전월세대출 잔액도 12조2000억원에서 12조4000억원으로 증가세를 이어갔습니다. 대출자산 증가에 따라 이자수익(5823억원)도 늘었습니다. 전년 동기(4515억원) 대비 29.0%(1308억원), 직전 분기(5661억원) 대비 2.9%(162억원) 커졌습니다. 카카오뱅크는 "지난해 주택담보대출 신규취급액의 50%가 대환 목적이었는데 해당 비중은 올 1분기 기준 62%까지 높아지고 전월세보증금대출도 대환비중이 45%에 달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1분기에도 이자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카카오뱅크를 대환 목적으로 찾는 고객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분석됐다"며 "지난 1월 개시한 주택담보대출·전월세보증금대출 갈아타기 서비스에서도 높은 시장 점유율을 달성해 대환대출 시장에서 플랫폼 경쟁력을 증명했다"고 스스로 평가했습니다. 중·저신용자 신용대출 평균잔액은 4조6000억원, 비중은 31.6%를 기록했습니다. 지난해 인터넷전문은행 중 유일하게 중·저신용자 대출 확대 목표를 달성한 카카오뱅크는 올 1분기에도 잔액 비중 30% 이상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다만 금융회사의 수익성을 가늠해 볼 수 있는 지표 순이자마진(NIM)은 2.18%로 1년전 2.62% 대비 44bp(1bp=0.01%p), 직전 분기 2.36% 대비 18bp 떨어졌습니다. 카카오뱅크는 예대율 하락 등 여파로 설명합니다. 연체율은 0.47%로 여신 포트폴리오 다각화와 안정적인 리스크 관리로 전분기 대비 0.02%포인트(p) 낮아졌습니다. 카카오뱅크 관계자는 "지난해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수익원 다각화의 초석을 구축했다"며 "올해는 다양한 서비스 확장으로 고객에 첫번째로 선택받는 금융생활 필수앱으로 자리매김하는 동시에 상생·포용금융을 바탕으로 고객과 함께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어가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쿠팡이 올해 1분기 매출이 처음 9조원대에 진입하며 분기 최대 매출 기록을 썼습니다. 다만 영업이익이 크게 감소하며 당기순이익이 적자로 돌아섰습니다. 쿠팡inc가 8일(한국시간)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1분기 실적 보고서에 따르면 쿠팡은 1분기 영업이익이 531억원(4000만달러·분기 평균 환율 1328.45원 기준)로 전년 동기 1362억원(1억677만달러)대비 61% 감소했습니다. 당기순손실은 319억원(2400만달러)을 기록했습니다. 분기 기준 당기순손실 발생은 2022년 3분기 이후 7개 분기 만입니다. 쿠팡은 지난해 1분기 1160억원(9085만달러)의 순이익을 냈습니다. 매출은 9조4505억원(71억1400만달러)로 지난해 1분기 7조3990억원(58억53만달러)와 비교해 28% 늘었습니다. 쿠팡의 분기 매출이 9조원을 넘은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쿠팡은 지난해 3분기 첫 분기 매출 8조원을 돌파한 이후 2개 분기 만에 매출 9조원을 넘어섰습니다. 이번에 처음으로 반영된 파페치 1분기 매출 2억8800만달러(3825억원)을 제외한 쿠팡 매출은 9조680억원입니다. 전년 대비 23% 증가했습니다. 쿠팡은 올해 1월 파페치 인수를 완료했으며 이번 1분기부터 실적에 편입됐습니다. 프로덕트 커머스(로켓배송·로켓프레시·로켓그로스·마켓플레이스) 매출은 8조6269억원(64억9400만달러)으로 전년 동기(7조2176억원) 대비 20% 늘었습니다. 로켓배송·로켓프레시 등 프로덕트 커머스 활성 고객 수는 2150만명으로 전년(1860만명) 대비 16% 증가했습니다. 쿠팡이츠·파페치·대만 사업 등 성장 사업 매출은 파페치 편입에 힘입어 8236억원(6억2000만달러)을 기록했습니다. 전년 동기 1813억원(1억4200만달러) 대비 4배 이상 늘어난 수치입니다. 성장사업의 조정 에비타(상각 전 영업이익) 손실은 2470억원(1억8600만달러)으로, 전년 동기(4745만달러) 대비 4배 증가했습니다. 파페치의 조정 에비타 손실분인 411억원(3100만달러)이 포함됐습니다. 거랍 아난드 쿠팡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이번 실적은 고객 경험과 운영 탁월성을 위한 쿠팡의 노력이 반영됐다"며 "5600억달러 규모의 커머스 시장에서 쿠팡의 점유율은 아직 한자릿수에 불과하며 앞으로 계속해서 '고객 와우'에 집중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네이버[035420]의 2024년 1분기 영업이익이 지난해 1분기보다 32.9% 증가했습니다. 네이버는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4393억원으로 집계됐다고 3일 공시했습니다. 이는 전년 동기 영업이익인 3305억원보다 32.9% 증가한 수치이며 전기 영업이익인 4055억원보다는 8.3% 증가한 수치입니다. 1분기 매출은 2조526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8% 증가했으나 직전 분기에 비해서는 0.4% 감소한 수치입니다. 네이버는 매출 증가에 대해 "서치플랫폼, 커머스(상거래) 등 주요 사업 부문의 고른 성장 덕분"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사업 부문별 매출의 경우 ▲서치 플랫폼 9054억원 ▲커머스 7034억원 ▲핀테크 3539억원 ▲콘텐츠 4463억원 ▲클라우드 1170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서치플랫폼은 검색광고 개선, 성과형 광고 호조세, 신규 광고주 발굴 등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6.3% 증가했습니다. 커머스는 '도착보장' 및 브랜드 설루션의 신규 매출 발생과 네이버의 손자회사인 국내 한정판 거래 플랫폼 '크림(KREAM)' 성장 등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1% 늘었습니다. 핀테크는 전년 동기 대비 11.2% 증가했으며 콘텐츠는 전년 동기 대비 8.5% 성장했습니다. 1분기 네이버페이 결제액은 삼성페이와의 제휴를 비롯한 외부 생태계의 지속 확장으로 전년 동기 대비 24.8%, 전 분기 대비 2.2% 증가했습니다. 특히, 오프라인 결제액은 QR 코드, MST(마그네틱보안전송) 결제 확대 등으로 전년 동기에 비해 174% 늘었습니다. 글로벌 웹툰 통합 거래액은 년 동기 대비 9.1% 증가했으며 일본 지역의 매출은 엔화 기준 24% 증가했습니다. 클라우드는 하이퍼클로바X 등 생성형 인공지능(AI) 설루션의 본격적인 매출 실현 등 덕분에 전년 동기 대비 25.5% 성장했습니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4월 초 개편을 통해 더욱 세분되고 전문화된 사업 조직을 기반으로 시장 동향에 기민하게 대응하며 새로운 사업 기회를 발굴하는데 집중하고 있다"라며 "AI와 데이터, 검색 등 네이버의 핵심 기술을 활용하여 차별화된 경험을 제공하는 한편, 장기적인 기술 성장을 창출해 네이버의 본연의 경쟁력을 보다 빠르게 강화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롯데칠성음료는 연결 기준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42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8.5% 감소했다고 지난 2일 공시했습니다. 1분기 매출은 9369억원으로 전년 대비 37.8% 증가했습니다. 음료 부문은 별도 기준 매출액 4313억원으로 전년 대비 2.0%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239억원으로 38.6% 줄었습니다. 1분기 음료 사업 부진은 높은 원재료 가격과 고환율로 인한 대외환경 악화, 지속되는 사업경비 상승 등이 요인으로 지목됐습니다. 다만 제로칼로리 탄산음료는 1분기 매출이 전년보다 9.4% 증가한 700억원으로 전체 탄산 카테고리 내 비중 30%를 차지하며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에너지음료는 집중력 강화, 운동 및 야외 활동시 에너지 보충 등을 위한 수요 증가에 따라 매출이 31.3% 신장했습니다. 과일 가격 상승으로 인한 대체 수요로 주스 카테고리 매출이 2.9% 증가했습니다. '밀키스', '알로에주스' 등을 앞세워 미국, 일본, 동남아 등 50여개국의 다양한 음료 브랜드가 판매되며 수출 실적도 전년 대비 14.4% 증가했습니다. 주류 부문은 별도 기준 1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3.4% 증가한 2148억원, 영업이익은 4.7% 증가한 183억원을 기록했습니다. 해당 기간의 매출은 전년 대비 6.6%(57억원) 늘어난 소주 카테고리와 25.7%(48억원) 증가한 맥주가 성장세를 이끌었습니다. 소주의 경우, '새로' 매출이 377억원으로 전년 대비 34.2%(96억원) 증가하며 성장세를 이끌었습니다. 맥주는 지난 11월에 출시한 신제품 '크러시' 판매 증가로 인해 매출이 늘어났습니다. 롯데칠성음료는 제로 탄산시장 경쟁력 강화를 위해 올 1분기에 ‘밀키스 제로 딸기&바나나’, ‘칠성사이다 그린플럼’, ‘펩시 제로슈거 제로카페인’ 등 신제품을 출시했습니다. 본격적인 여름 성수기에 맞춰 마케팅, 영업 활동 강화에 나설 계획입니다. 지속되는 건강 트렌드에 발맞춰 식물성 음료 ‘오트몬드’를 선보였으며 3분기에는 귀리를 함유한 라떼 타입의 커피 신제품 출시를 예고했습니다. 북미, 유럽 등을 중심으로 현지 로컬 시장의 채널 확장 전략을 펼치며 올해 해외 연결법인 및 수출 실적을 더해 해외사업 비중을 30% 후반까지 확대할 계획입니다. 롯데칠성음료 관계자는 "처음처럼 리뉴얼, 신제품 '새로 살구' 출시를 통해 소주 경쟁력을 강화하고 맥주 신제품 크러시 저변 확대를 위한 전사적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며 "제품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통해 연간 매출 8500억원, 영업이익 400억원 달성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DL[000210]이 올해 1분기 주요 계열사의 수익성 개선 등에 힘입어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크게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2일 DL이 공시한 올해 1분기 연결기준 잠정집계 실적에 따르면, 매출 1조4041억원, 영업이익 1723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9.1%, 영업이익은 149.7% 증가한 수치입니다. 분기 영업이익의 경우 지난 2021년 기업 분할 및 지주사 출범 이후 최대 규모입니다. DL은 "DL케미칼을 비롯한 화학 계열사는 석유화학 산업의 구조적인 위기 속에서도 고부가제품 확대를 통해 수익성 개선을 이뤄냈다"며 "에너지 발전 사업을 담당하는 DL에너지도 계절적 성수기 효과와 더불어 친환경 발전 사업 확대를 통해 실적 개선에 기여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자회사별로 1분기 실적을 살펴볼 경우 DL케미칼은 새롭게 개발한 태양광 봉지재용 POE(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생산 및 판매 호조와 지난해말 증설한 PB(폴리부텐)의 견조한 업황 속에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540% 증가했습니다. DL케미칼의 자회사인 크레이튼과 카리플렉스도 수익성 개선에 기여했습니다. 크레이튼의 경우 원재료 가격 안정화와 판매 물량 증가에 힘입어 1년만에 분기 흑자 전환에 성공했으며, 카리플렉스는 고부가가치 친환경 합성고무 제품 사업을 통해 높은 영업이익률을 유지했습니다. DL에너지는 겨울철 전력 사용이 증가하는 계절적 성수기 효과와 함께 작년말 가동을 시작한 여수 수소연료전지 발전소 에코원 에너지가 실적에 본격 반영되며 매출과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대비 각각 17%, 3% 성장했습니다. 글래드는 외국인과 기업체의 호텔 수요가 꾸준히 이어지며 전년 동기 대비 매출과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대비 각각 13%, 27% 증가했습니다.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DL이앤씨[375500]가 올해 1분기 원자재 가격 상승 영향으로 인해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감소했습니다. 2일 DL이앤씨가 공시한 올해 1분기 연결기준 잠정집계 실적에 따르면, 매출 1조8905억원, 영업이익 609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2.2%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32.5% 줄었습니다. DL이앤씨는 "원자재 가격 상승의 여파로 주택사업 수익성이 지난해 1분기 및 연간 평균 수준을 하회하며 전년 동기 실적에 미치지 못했다"며 "기존 사업의 도급 증액을 통해 지속적으로 원가 개선 작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하반기 이후 주택사업의 수익성 개선이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플랜트와 토목사업의 수익성은 여전히 업계 최고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며 "올해부터 매출이 본격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른 이익 증대도 기대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1분기 신규 수주는 1조9109억원을 올리며 전년 동기 3조2762억원 대비 감소했습니다. 지난해 1분기 수주 실적에 1조4000억원 규모의 샤힌 프로젝트 등 대형 신규수주가 포함됐던 점을 감안할 경우 예년 수준의 실적을 기록한 것이라고 DL이앤씨는 전했습니다. 올해 1분기 말 연결기준 순현금은 지난해 말 대비 1896억원 증가한 1조2506억원을 기록하며 지난해 말 대비 현금 및 현금성자산이 2233억원 증가했습니다. 차입금 증가액의 경우 337억원으로 소폭 늘은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DL이앤씨 관계자는 "올해 1분기도 여전히 업계 최고 수준의 재무 안정성을 흔들림 없이 유지했다"며 "어려운 업황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나 그간 일관되게 유지해 온 수익성 위주의 선별 수주 전략을 통해 위기를 극복함은 물론 지속적인 원가 관리를 통해 차별화된 이익 개선을 이뤄 나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문승현 기자ㅣBNK금융그룹(회장 빈대인)은 올해 1분기 연결 당기순이익(지배기업지분)이 2495억원으로 집계됐다고 1일 밝혔습니다. 이는 1년 전인 지난해 1분기(2568억원)보다 2.8%(73억원) 감소한 것입니다. BNK금융은 "전년동기대비 조정영업이익은 증가하고 판매관리비는 감소했지만 충당금 전입액 증가로 당기순이익이 줄었다"고 설명합니다. 이자부문이익(7400억원)과 수수료부문이익(683억원), 기타부문이익을 합산하는 조정영업이익은 8574억원으로 1년전(8391억원)에 비해 2.2% 늘었습니다. 대출채권 매각이익 중심으로 비이자이익도 92억원 증가했습니다. 판매관리비는 부산은행·경남은행 인건비 및 투자증권 성과급 감소로 3929억원에서 3801억원으로 128억원(3.3%) 줄어 충당금적립전 이익이 311억원 늘었습니다. 손실흡수능력 확대를 위해 충당금을 442억원 추가적립하면서 충당금전입액은 1249억원에서 1658억원으로 32.7%(409억원) 커졌습니다. BNK금융은 "대손비용이 전년대비 409억원 증가해 당기순이익이 소폭 감소했다"고 설명했습니다. 금융회사의 수익성을 가늠해 볼 수 있는 지표 순이자마진(NIM)은 부산은행·경남은행의 예대금리차 개선으로 상승세가 또렷합니다. NIM은 지난해 1분기 그룹 2.22%, 부산은행 2.10%, 경남은행 1.92%에서 3분기까지 동반추락하다 4분기 상승전환했습니다. 올 1분기는 그룹 2.11%, 부산은행 1.93%, 경남은행 1.92%로 직전 분기 대비 각각 4bp(1bp=0.01%p), 5bp, 6bp 올랐습니다. 다만 건전성 지표는 악화했습니다. 고정이하여신(NPL) 비율(연체 3개월 이상 기준)은 0.85%로 직전 분기(0.73%) 대비 12bp, 전년 동기(0.52%) 대비로는 33bp나 상승했습니다. 경기둔화와 금리인상에 따른 부실증가 여파로 NPL비율이 부산은행(0.44%)은 2bp, 경남은행(0.46%)은 7bp 각각 올라갔습니다. 연체율 상승폭은 더 가파릅니다. 그룹 연체율은 1년전(0.56%)부터 직전분기(0.60%)까지 횡보하다 올 1분기 0.90%로 각각 34bp, 30bp 뛰었습니다. 연체율은 부산은행(0.62%)이 14bp, 경남은행(0.45%)이 11bp 올랐는데 1분기 연체금액 순증가 금액의 61%는캐피탈 및 투자증권 등 비은행부문 영향이라고 BNK금융은 밝혔습니다. 자본적정성 지표인 보통주자본비율(CET1)은 적정 이익 실현과 경기하방 리스크에 대비한 적극적인 위험가중자산(RWA) 관리로 전분기 대비 31bp 상승한 12.0%로 개선됐습니다. BNK금융그룹 주요 자회사 실적을 보면 1분기 부산은행 당기순이익은 1252억원으로 1년전(1453억원)보다 13.8%(201억원) 빠졌습니다. 경남은행은 850억원에서 1012억원으로 19.1%(162억원) 늘었습니다. 비은행부문에선 투자증권(-45억원), 자산운용(-4억원)은 당기순이익이 감소하고 캐피탈(326억원→345억원·5.8%), 저축은행(+1억원)은 증가했습니다. 비은행부문은 유가증권 관련이익 증가에도 충당금 전입액 증가로 6.3%(37억원) 감소한 547억원의 당기순이익을 냈습니다. 권재중 BNK금융그룹 CFO(최고재무책임자·부사장)는 "개선된 보통주자본비율을 바탕으로 주당배당금을 점진적으로 확대하고 적극적인 자사주 매입·소각을 추진해 주주환원정책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이하 한국타이어)[161390]가 올해 1분기 고부가가치 제품 판매 비중 확대 등에 힘입어 영업이익이 지난해 동기 대비 크게 증가했습니다. 30일 한국타이어가 공시한 올해 1분기 연결기준 잠정집계 실적에 따르면, 매출 2조1272억원, 영업이익 3987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1%, 영업이익은 108.8% 증가한 수치입니다. 한국타이어는 "글로벌 경기 부진이 지속되는 상황이지만 선제적 연구개발(R&D) 투자 성과와 전기차 전용 타이어 시장 선도, 고성능 차량 및 글로벌 프리미엄 브랜드 전략에 기반한 고부가가치 제품 판매 비중 확대로 성장세를 지속했다"고 설명했습니다. 특히, 글로벌 전기차 전용 타이어 시장을 선도해 온 것이 좋은 실적에 주된 요인이라고 전했습니다. 한국타이어는 풀라인업 전기차 전용 타이어 브랜드 '아이온(iON)'은 출시 이후 꾸준히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하며 16인치부터 22인치까지 202개 규격으로 판매군을 늘린 바 있습니다. 지난 3월에는 글로벌 시험인증기관 티유브이슈드(TÜV SÜD)의 비교 테스트에서 글로벌 톱티어 브랜드 동급 제품 대비 우수한 성능을 입증받기도 했습니다. 이와 함께, 승용차 및 경트럭 타이어 매출 중 18인치 이상 고인치 승용차용 타이어 비중은 46.8%로, 전년 동기 대비 3.3% 증가했습니다. 주요 지역별 고인치 승용차용 타이어 판매 비중은 중국이 62.5%로 가장 높았으며, 한국 56.5%, 북미 56.4%, 유럽 37.4% 순으로 기록됐습니다. 이 외에도, 합성고무·카본블랙 등 원자재 가격과 해상운임비도 양호한 수준을 유지하며 안정적인 실적흐름을 뒷받침했습니다. 한국타이어 관계자는 "올해 1분기 한국 공장(대전 및 금산공장)의 영업이익은 노사 관계가 안정화 됨에 따라 소폭 개선됐다"며 "다만 대전 공장은 여전히 수익성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삼성전자[005930]가 스마트폰 판매 호조와 메모리 시장 개선에 힘입어 1분기 기준 역대 두 번째 매출 기록을 세웠습니다. 삼성전자는 30일 컨퍼런스콜을 열고 1분기 매출이 전분기 대비 6% 증가한 71조9156억원이라 밝혔습니다. 2022년 4분기 매출 70조4646억원을 기록한 이후 처음으로 70조원대 매출을 회복한 것입니다. 1분기 기준으로는 2022년 1분기에 77조7800억원을 기록한 이후 역대 두 번째로 높은 매출입니다. 영업이익의 경우 6조6060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전분기 영업이익보다 931.87% 높은 수치이며 작년 한 해 동안의 영업이익 총합인 6조5700억원보다도 많은 수치입니다. 반도체를 담당하는 DS(Device Solutions)부문은 매출 23조1400억원, 영업이익 1조9100억원을 기록했습니다. 메모리의 지속적 가격 상승에 대한 시장 기대감으로 구매 수요가 강세를 보였으며 DDR5 및 고용량 SSD 수요 강세가 이어짐에 따라 흑자 전환이 이루어진 것으로 분석됩니다. 삼성전자의 DS부문이 흑자를 기록한 것은 2022년 4분기 이후 5분기 만입니다. 파운드리의 경우 재고 조정으로 인해 매출 개선이 지연되었으나 효율적 팹 운영을 통해 적자폭은 소폭 축소됐습니다. DX(Device eXperience)부문은 매출 47조2900억원, 영업이익 4조700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삼성전자의 첫 AI폰인 갤럭시 S24 시리즈의 판매 호조로 인한 수치라 삼성전자는 설명했습니다. TV 시장은 비수기 진입으로 인해 전분기 대비 실적이 감소했으나 Neo QLED 및 OLED, 75형 이상 대형 수요는 견조했습니다. 생활가전은 비스포크 AI 등 프리미엄 AI 가전의 매출 비중이 증가함에 따라 수익성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하만은 매출 3조2000억원, 영업이익 2400억원을 기록했으며 계절적 비수기 진입으로 소비자 오디오 판매 둔화 속 실적이 소폭 하락했습니다. 디스플레이(SDC)는 매출 5조3900억원, 영업이익은 3400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중소형 패널의 경우 판매 경쟁 심화로 전분기 대비 실적이 하락했습니다. 한편, 삼성전자의 1분기 시설투자는 11조3000억원으로 이중 DS는 9조7000억원, 디스플레이 1조1000억원 수준이며 전년 동기 대비 6000억원 증가했습니다. AI 탑재한 갤럭시Z, 새로운 폼팩터 갤럭시링…하반기 출격 삼성전자는 이날 컨퍼런스콜에서 향후 부문별 사업 방향성에 대해서도 밝혔습니다. 삼성전자는 생성형 AI 관련 수요 견조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수요 대응을 위해 HBM3E 8단 양산을 4월에 시작했으며 12단 제품도 2분기 내 양산할 계획입니다. D램은 1b나노 32기가비트 DDR5 기반 128기가바이트 제품의 2분기 양산 및 고객 출하를 통해 서버 시장 내 경쟁력을 강화할 방침입니다. 낸드는 2분기 중 초고용량 64TB SSD 개발 및 샘플 제공을 통해 AI용 수요에 적기 대응하고 업계 최초로 V9 양산을 개시한다는 예정입니다. DX부문에서는 2분기 비수기에 진입하며 스마트폰 출하량이 감소하고 평균판매가격이 인하되지만 태블릿 출하량은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업계에서는 삼성전자가 하반기에 매출 증대 폭이 클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폴더블 대세화'의 핵심으로 AI 기능을 탑재한 신제품 '갤럭시Z폴드6', '갤럭시Z플립6' 등의 출시가 예정돼있으며 새로운 폼팩터 '갤럭시링'이 출시됨에 따라 시장에 큰 변화가 일어날 것으로 확률이 높기 때문입니다. 이날 컨퍼런스콜에서 다니엘 아라우조 삼성전자 MX사업부 상무는 "태블릿은 탭S9 시리즈에 갤럭시AI 기능을 제공하고 웨어러블의 경우 하반기 신모델을 중심으로 갤럭시 에코시스템 경험을 강화해나갈 계획"이라며 "갤럭시링을 통해서는 수면을 비롯한 고객들이 체험할 수 있는 전반적인 헬스케어 경험을 높일 것"이라 말했습니다. 한편, 삼성전자가 글로벌 홍보 효과를 위해 오는 7월 2024 하계 올림픽이 개최되는 프랑스 파리에서 갤럭시 언팩 행사를 개최할 가능성이 제기됩니다. 구체적인 행사 일정은 6월 중에 공개할 예정입니다.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가 올해 1분기 폴란드 수출 일정 영향으로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큰 폭으로 줄은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30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공시한 올해 1분기 연결기준 잠정집계 실적에 따르면, 매출 1조8483억원, 영업이익 374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9%, 영업이익은 83% 감소한 수치입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관계자는 "폴란드 수출 일정에 따른 영향 등으로 1분기 실적이 전년 동기 대비 감소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주요사업별 1분기 실적을 볼 경우 방산 부문은 폴란드 수출 계획에 따른 1분기 출하 감소로 매출 6566억원, 영업이익 142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2%와 92%가 감소했습니다. 항공우주 부문은 매출 4434억원, 영업이익 29억원을 기록했습니다. 매출의 경우 여객 수요 증가에 따른 민항기 엔진 물량 증가로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4%가 증가했으나, 영업이익은 상대적으로 수익성이 낮은 사업 매출의 증가로 82%가 줄었습니다. 자회사인 한화비전은 매출 3100억원, 영업이익 520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3%, 40%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북미와 영국을 중심으로 한 유럽 CCTV 사업 호조가 실적 증가를 이끌었습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관계자는 "2분기부터는 폴란드 수출이 본격화되고 루마니아 자주포 사업의 최종 결과 발표도 기다리고 있다"며 "이에 올해 방산 부문의 연간 매출과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현대제철[004020]이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보다 큰 폭으로 줄었으나 직전 분기인 지난해 4분기 대비로는 흑자전환 했습니다. 30일 현대제철이 공시한 올해 1분기 연결기준 잠정실적에 따르면, 매출 5조9478억원, 영업이익 558억원, 당기순이익 322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6.9%, 영업이익은 83.3%, 당기순이익은 85.2% 감소했습니다. 직전 분기 대비로는 매출은 2.6%가 감소했으며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흑자전환 했습니다. 현대제철 관계자는 "원가상승분에 대한 판매가격 반영 및 비용절감을 통해 직전 분기 대비 수익성이 개선됐다"고 설명했습니다. 현대제철은 오는 3분기 완공 목표로 미국 조지아에 전기차 전용 SSC를 건설해 글로벌 전기차 판매확대에 따른 강판 수요에 대응하고 현지 판매기반을 확보할 예정입니다. 이와 함께, 에너지 시장 성장에 따른 고부가 후판 수요에 대응하고자 당진 1후판공장 열처리로 증설투자를 올해 말까지 완료하고, 제품 판매를 확대할 계획입니다. 자동차 산업 패러다임 변화와 해상풍력시장 성장에 따라 고부가강재 개발도 지속할 예정입니다. 현대제철은 자동차 경량화에 대응하고자 기존 자동차강판 대비 가볍고 강도가 높은 3세대 강판 생산체제를 구축 중에 있으며, 자동차 전동화 전환에 발맞춰 전기차 감속기용 부품 소재 개발을 추진 중입니다. 아울러, 해상풍력 발전설비 대형화 및 수요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대형후판 및 특화 소재 개발 및 국내 영광낙월 해상풍력 발전단지와 프랑스 해상풍력사업 프로젝트 물량을 수주하는 등 국내외 해상풍력 프로젝트에 강재공급을 추진하며 시장 확대에 나선다는 계획입니다. 현대제철 관계자는 "철강시황 둔화가 지속되는 가운데 안정적 수익성을 확보하고자 신규 수요시장 대응에 적극 나서고 고부가강재 개발에도 집중하겠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자동차, 에너지 등 전방 산업의 환경변화에 따른 신규 수요에 적극 대응하고, 고부가제품 개발 및 판매확대를 통해 수익성을 개선해 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LG화학[051910]의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크게 감소했으나 직전 분기보다는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30일 LG화학이 공시한 올해 1분기 연결기준 잠정실적에 따르면, 매출 11조6094억원, 영업이익 2646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8.7%, 영업이익은 67.1% 감소했으며, 직전 분기 대비로는 매출이 11.6% 감소했으나 영업이익은 7.0% 증가했습니다. 주요사업별 1분기 실적을 살펴볼 경우 석유화학부문은 매출 4조4552억원, 영업손실 312억원을 올렸습니다. 지정학적 리스크에 따른 원료가 상승에도 불구, 긍정적인 나프타 래깅(원재료 투입 시차) 효과와 비용 절감 활동 등을 지속해 직전 분기 대비 적자폭을 줄였다고 LG화학은 전했습니다. 첨단소재부문은 매출 1조5834억원, 영업이익 1421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전지 재료는 직전 분기 기저효과 등에 따라 출하량이 큰 폭으로 증가했으며, 전자소재는 고부가 제품의 비중 확대 등으로 매출 및 수익성 개선을 이끈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생명과학부문은 매출 2849억원, 영업이익 33억원을 올렸습니다. 주력 제품군의 안정적인 판매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소폭 상승했으나 글로벌 임상 과제 수행에 따른 R&D 비용이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에너지솔루션은 매출 6조1287억원, 영업이익 1573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전략고객향 수요에 적극 대응해 원통형 매출이 증가했으나 전방시장의 일부 수요 둔화 및 메탈가 하락에 따라 전 분기 대비 매출과 수익성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팜한농은 매출 2457억원, 영업이익 349억원을 기록했습니다. 비료 판가 하락으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감소했으나 작물보호제 해외 판매 확대 및 판가인상 요인으로 수익성이 개선됐습니다. LG화학 CFO인 차동석 사장은 "어려운 경영환경 속에서도 회사의 위기관리 능력을 토대로 전 분기 대비 개선된 수익성을 달성했다"며 "3대 신성장동력 중심의 근본적인 사업 경쟁력 제고와 운영 최적화 활동 등을 통해 점진적인 실적 개선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대우건설[047040]의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고금리 여파 등으로 인해 전년 동기 대비 감소했습니다. 30일 대우건설이 공시한 올해 1분기 연결기준 잠정집계 실적에 따르면, 매출 2조4873억원, 영업이익 1148억원, 당기순이익 915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4.6%, 영업이익은 35.0%, 당기순이익 6.9% 감소한 수치입니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고금리 및 원가율 상승 영향이 지속 반영되고 있어 전년 대비 1분기 영업이익이 줄어들었다"며 "힘든 건설 경영 환경 속에서도 영업이익률 4.6%를 기록하며 내실경영에 주력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비주택 부문에서의 꾸준한 성장과 수익성 확대가 기대되고 있어 올해 말까지 사업계획 달성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습니다. 사업부문별 1분기 매출규모를 살펴볼 경우 주택건축사업부문 1조5977억원, 토목사업부문 5478억원, 플랜트사업부문 2720억원, 기타연결종속부문 698억원입니다. 신규 수주는 2조4894억원을 기록했습니다. 대우건설은 올해 인천 초저온 물류센터(4482억원), 공주 천연가스발전소 주기기/부속설비 공급(2091억원), 고리원전 항만구조물 보강공사(270억원) 등 분양 리스크 없는 프로젝트 중심으로 수주 물량을 확보했습니다. 이와 함께, 성남 수진1구역 재개발(7793억원) 및 서울 대방동군부지 민간참여 공공주택사업(1530억원) 등 리스크 저감형 주택사업을 수주하기도 했습니다. 대우건설은 현재 45조6572억원의 수주잔고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연간 매출액 대비 3.9년치 일감에 해당하는 규모입니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다수의 도시정비사업 수주를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동시에 대형 체코 원전 사업 등 수익성 높은 해외사업 수주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며 "1분기 경영실적은 다소 부진했으나 균형 잡힌 사업포트폴리오 구성과 면밀한 리스크 관리를 통해 수익성을 지속 확대해 어려운 상황에서도 올해 사업계획을 달성하도록 최선을 다 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대웅제약(대표 이창재·박성수)은 올해 1분기 별도기준 매출액 2966억원, 영업이익 312억원으로 1분기 역대 최대 실적을 갱신했다고 30일 밝혔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5%, 0.6% 증가한 수치입니다. 연결기준으로는 매출액 3358억원, 영업이익 248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이번 1분기 국산 34호 신약 펙수클루 처방액은 17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7% 늘었습니다. 이는 국내 처방액 상위 10대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중 가장 높은 성장률입니다. 또한 2분기부터 종근당과 펙수클루 공동판매를 시작해 올해 더 빠르게 성장할 거란 전망입니다. 글로벌 진출도 진행되고 있습니다. 펙수클루는 지난 2022년 국내 출시 후 1년 6개월 만에 전 세계 24개국에 진출했습니다. 최근에는 중국에서 헬리코박터균 제균 치료 임상을 신청했습니다. 헬리코박터균은 세계보건기구가 1급 발암물질로 지정한 균으로 중국인 50%가 감염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대웅제약에 따르면 국산 36호 신약 엔블로는 글로벌 제약사의 '다파글리플로진' 대비 우수한 혈당강하를 입증하는 연구 결과를 확보했습니다. 엔블로는 최근 중미 최대 시장 멕시코에 품목허가신청서를 제출하는 등 글로벌 진출에도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현재 12개 국가에 품목허가신청서를 제출했습니다. 올해 출시 10주년을 맞은 보툴리눔 톡신 '나보타'는 최근 2030년까지 단일품목 매출 5000억원을 달성하겠다는 비전을 내놓았습니다. 미국에서 진행중인 만성 편두통 임상 2상은 오는 2분기 톱라인 결과를 앞두고 있으며 내년 삽화성 및 만성 편두통 3상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위마비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적응증 역시 임상을 준비 중입니다. 이를 통해 2028년에는 미국 치료시장에 진입한다는 계획입니다. 이창재 대웅제약 대표는 "3대 혁신 신약 펙수클루, 엔블로, 나보타의 고른 성장 속에 1분기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며 "더 적극적으로 차세대 신약 개발과 글로벌 진출을 확대해 단일 품목으로 매출 1조원을 달성하는 ‘1품 1조’ 비전을 실현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문승현 기자ㅣIBK기업은행(은행장 김성태)은 올해 1분기 당기순이익(연결기준)이 7845억원으로 1년전(7233억원)보다 8.5% 증가했다고 29일 밝혔습니다. 직전인 지난해 4분기(5532억원)과 비교하면 41.8%(2313억원) 큰폭으로 늘었습니다. 은행 별도기준 당기순이익은 7111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주요 건전성 지표인 고정이하여신(NPL)비율은 3월말 현재 1.12%로 지난해말 대비 0.07%포인트(p) 높아졌습니다. 다만 대손충당금 규모가 축소됨에 따라 대손비용률은 전년 동기 대비 0.42%p 감소한 0.39%를 기록했다고 기업은행은 설명합니다. 1분기말 기준 중소기업대출 잔액은 237조3000억원으로 작년말보다 3조5000억원(1.5%) 불었습니다. 시장점유율도 23.31%로 소폭 상승하며 중소기업금융 리딩뱅크 지위를 공고히 했습니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올해도 안정적인 경영실적을 바탕으로 주주환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며 "고객·은행·사회의 가치를 함께 높여가는 가치금융을 실천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아모레퍼시픽그룹은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83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7% 증가했다고 29일 공시했습니다. 1분기 매출은 1조68억원으로 전년 대비 0.2% 감소했습니다. 주력 계열사 아모레퍼시픽은 국내 이익 개선과 서구권 시장 성장세에 힘입어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12.9% 증가했습니다. 아모레퍼시픽의 국내 사업은 화장품 부문의 성장으로 인해 전년 대비 2.1% 증가한 5636억원의 매출을 거뒀습니다. 화장품 부문 영업이익이 개선되고 면세 채널 매출이 두 자릿수 성장하며 영업이익이 27.8% 증가했습니다. 국내 생활용품은 마케팅 비용 증가로 전체 매출과 영업이익이 줄었습니다. 브랜드 중 설화수는 ‘진설’ 라인업의 확대 및 ‘윤조 립밤’ 등 신제품 출시로 제품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했습니다. 헤라는 신제품 ‘루즈 클래시’를 출시하며 글로벌 앰버서더 제니와 글로벌 캠페인을 전개했습니다. 라네즈는 ‘워터뱅크 크림’ 리뉴얼 등 새로운 제품 출시와 함께 리브랜딩 캠페인을 선보였습니다. 해외 사업은 아시아 매출 감소로 전년 대비 2.4% 감소한 3368억원의 매출을 기록했습니다. 서구권 시장에서 수익성을 확보하며 전년 수준의 영업이익을 유지했습니다. 특히 서구권에서는 설화수, 라네즈, 이니스프리 등의 성장세가 지속되며 미주에서 40%, EMEA에서 52%의 매출이 신장했습니다. 해외 시장 중 미주에서는 '바운시 앤 펌 슬리핑 마스크' 글로벌 캠페인을 전개한 라네즈를 비롯해 MBS 및 온라인에서 선전한 이니스프리와 설화수 등 주요 브랜드의 고른 활약이 돋보였습니다. EMEA에서는 립 카테고리와 핵심 스킨케어 매출이 2배 증가한 라네즈가 전체 매출 성장에 기여했습니다. 자회사들은 전반적으로 매출이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니스프리는 국내 오프라인 로드숍 축소 등으로 인해 전체 매출과 영업이익이 감소했으나 MBS 채널 확대로 젊은 고객층 유입이 늘었습니다. 에뛰드는 MBS를 비롯해 에이블리, 무신사 등 신성장 온라인 플랫폼에서 선전하며 전체 매출이 증가했습니다. 아모스프로페셔널은 입점 살롱이 지속해서 확대 중인 아윤채의 고성장에 힘입어 전체 매출이 증가했습니다. 오설록은 매장 방문 고객의 증가와 함께 아마존 등 글로벌 플랫폼 수요 확대로 전체 매출이 성장했습니다. '바닐라 허니 블랙티' 등 고객 트렌드에 대응해 신제품을 출시했습니다. 아모레퍼시픽그룹 관계자는 "각 브랜드의 핵심 가치를 분명하게 하는 브랜드 코어 강화 작업에 매진하고 있다"며 "고객 공감 콘텐츠 개발 및 엔진 상품 강화를 통해 더 높은 브랜드 가치를 만들 것이며 새롭게 설정된 집중 성장 지역을 중심으로 글로벌 사업 지형 재편도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현대모비스[012330]가 올해 1분기 우호적 환율 등의 요인으로 전년 동기 대비 영업이익이 증가했습니다. 28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현대모비스의 올해 1분기 연결기준 잠정실적 집계에 따르면, 매출 13조8692억원, 영업이익 5427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5.4% 줄었으며 영업이익은 29.8% 증가한 수치입니다. 현대모비스 측은 "전기차 등 완성차 시장의 정체되며 매출 규모는 소폭 줄었으나 우호적인 환율과 A/S부품사업의 글로벌 수요가 증가하면서 영업이익은 증가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사업부문별로 살펴볼 경우 모듈 및 핵심부품 사업은 10조9374억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9.1% 줄었습니다. 완성차 물랑 및 전기차 생산량의 감소와 함께 지난해 말부터 배터리셀 조달 방식을 직접 매입에서 완성차 사급으로 전환하면서 회계처리 방식이 변경하며 매출이 감소했다고 현대모비스는 전했습니다. A/S 부품사업은 미주와 유럽 지역에서 수요가 증가하며 1분기 매출 2조9318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아울러. 올해 1분기 글로벌 협력사를 대상으로 거둔 수주실적은 18억1000만달러(약 2조4900억원)를 올렸습니다. 현대모비스는 차세대 주력 제품인 전기차용 통합충전제어장치(ICCU)와 IVI제품을 아시아와 북미 시장에서 수주하는 성과를 거둔 바 있습니다. 이를 토대로 글로벌 고객사를 대상으로 올해 93억3000만달러의 수주목표치를 달성한다는 계획입니다. 현대모비스 관계자는 "미래 모빌리티 시장 대응을 위한 적극적 투자와 함께 자사주 매입 및 소각 등 다양한 주주환원 정책으로 주주가치를 극대화하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한화솔루션[009830]이 올해 1분기 태양광 모듈 사업 부진 등의 요인으로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적자전환 했습니다. 28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한화솔루션의 올해 1분기 연결기준 잠정실적 집계에 따르면, 매출 2조3929억원, 영업손실 2166억원을 각각 기록했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22.8% 줄었으며 영업이익은 적자전환 했습니다. 당기순손실의 경우 4484억원을 올리며 영업이익과 마찬가지로 적자에 진입했습니다. 한화솔루션 측은 "신재생에너지 주요 시장에서 공급 과잉 여파에 따라 태양광 모듈 판매가 감소하고 판매 가격이 하락했다"며 "이로 인해 매출이 감소했고 수익성이 둔화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사업부문별로 실적을 살펴볼 경우 신재생에너지 부문은 매출 7785억원, 영업손실 1871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신재생에너지 영업익이 적자를 기록한 것은 지난 2022년 1분기(-1142억원) 이후 2년 만입니다. 케미칼 부문은 매출 1조2223억원, 영업손실 189억원을 기록했습니다.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에 수요는 부진했지만, 폴리에틸렌(PE)을 비롯한 일부 제품의 마진이 개선되면서 분기 적자폭이 직전 분기 793억원 대비 감소했습니다. 첨단소재 부문은 매출 2496억원, 영업이익 106억원을 기록했습니다. 태양광 모듈 업체들의 가동률 조정에 따라 EVA 시트와 백시트 매출이 감소했으며 주요 원자재의 국제 가격이 상승한 것이 영업이익액 감소에 영향을 줬습니다. 한화솔루션 최고재무책임자인 윤안식 부사장은 "계절적 비수기 영향이 덜한 2분기에는 모듈 판매량이 회복되면서 신재생에너지 부문 적자폭이 의미 있게 축소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개발 자산 매각과 EPC 사업에서는 4500억원 규모의 매출 실현이 예상된다"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삼성E&A[028250]의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소폭 감소했습니다. 28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삼성E&A의 올해 1분기 연결기준 잠정실적 집계에 따르면, 매출 2조3847억원, 영업이익 2094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5.9%, 영업이익은 7.1% 감소한 수치입니다. 영업이익의 경우 당초 시장 예측치로 예상한 1960억원보다는 높은 수치를 나타냈습니다. 매출이익률은 14.1%, 영업이익률은 8.8%를 나타냈습니다. 삼성E&A 측은 "불확실한 대외환경에도 철저한 프로젝트 손익관리와 모듈화, 자동화 등 혁신 적용을 통한 원가개선 노력으로 시장전망치를 상회하는 실적흐름을 이어갔다"며 "매출과 영업이익이 소폭 감소했으나 신규 수주 프로젝트 매출이 본격적으로 실적에 반영되며 점차 회복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습니다. 1분기 수주는 1조4000억원, 수주잔고는 16조원을 기록했습니다. 이달 사우디에서 8조원 규모의 대규모 가스 플랜트를 수주하면서 연간 수주목표로 잡은 12조6000억원의 약 70%를 달성했습니다. 삼성E&A 관계자는 "프로젝트 관리와 내실 경영에 집중해 안정적인 성장을 이어갈 계획"이라며 "혁신을 통해 차별화된 EPC 수행 경쟁력을 확보하고, 수소·탄소중립 등 에너지 전환 기반의 미래 신사업에도 적극 참여해 중장기 지속 성장의 기반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S-OIL(에쓰오일)[010950]의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직전 분기 대비 흑자전환 했습니다. 28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S-OIL의 올해 1분기 연결기준 잠정실적 집계에 따르면, 매출 9조3085억원, 영업이익 4541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2.5%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11.9% 감소했습니다. 직전 분기 대비로 봤을 경우 매출은 5.3%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흑자전환 했습니다. S-OIL 측은 "정제 마진과 유가 상승에 따른 정유 부문 흑자전환과 석유화학 부문의 이익 개선 영향으로 영업이익이 전분기 대비 흑자전환을 기록했다"고 설명했습니다. S-OIL에 의하면, 정유 부문은 아시아 정제마진은 견조한 수요와 더불어 글로벌 정유사들의 정기보수, 설비 이상 및 지정학적 불안으로 인한 공급 차질로 반등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석유화학 부문 중 아로마틱의 경우 PX시장은 춘절 연휴 이후 높은 Polyester 수요에 의해 건전한 수준을 유지한 가운데 BZ 시장은 미국 수입 수요 증가로 개선됐습니다. 올레핀 다운스트림은 PP와 PO 시장의 다운스트림 수요가 정체된 가운데 PP/PO 생산 설비의 가동 차질에 따른 공급 제한으로 반등을 나타냈습니다. 윤활 부문에서 윤활기유 스프레드는 원재료 가격 상승으로 인한 래깅 효과로 전분기 대비 하락했으나 견고한 흐름을 유지했습니다. 2분기의 경우 정유 부문은 아시아 정제마진은 역내 정기 보수로 지지돼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다가 여름철 성수기 진입에 따른 수요 증가와 맞물려 상승 추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석유화학 부문 아로마틱 PX와 BZ 시장은 생산 설비의 정기보수에 따른 공급 감소와 신규 PTA 가동, 다운스트림 수요 및 휘발유 혼합 유분에 대한 계절적 수요 증가 등으로 인해 상승 추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올레핀 다운스트림 PP와 PO 시장은 설비 증설에 따른 하방 압력이 지속되는 가운데 중국 경기 부양책의 영향에 따라 점진적으로 회복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윤활 부문은 윤활기유 펀더멘탈은 계절적 수요 증가 및 글로벌 주요 공급사 정기보수로 강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한화시스템[272210]이 올해 1분기 방산 수출 효과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영업이익이 크게 증가했습니다. 28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한화시스템의 올해 1분기 연결기준 잠정실적 집계에 따르면, 매출 5444억원, 영업이익 393억원, 당기순이익 503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23.9%, 영업이익은 218.1% 증가했으며 당기순이익은 72.8% 줄었습니다. 주요사업 별로 1분기 실적을 살펴볼 경우 방산 부문은 폴란드 K2 사격통제시스템·UAE 천궁-II 다기능레이다(MFR)·전술정보통신체계(TICN) 4차 양산 등 굵직한 수출 및 양산 사업이 실적을 이끌었습니다. ICT 부문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시스템 통합 및 차세대 ERP(경영관리시스템) 구축·신한EZ손해보험 차세대 시스템·AI 디지털교과서 공동플랫폼 구축 등 대내외 사업이 실적을 뒷받침 했습니다. 당기순이익의 경우 지난해 1분기에 반영된 바 있는 한화오션 인수완료 전 1회성 파생상품 평가이익이 소거돼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화시스템은 올해 전년 대비 두 자릿수 규모의 매출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한화시스템 관계자는 "방산 부문에서 사우디아라비아 천궁-II 다기능레이다(MFR) 수출과 한국형 전투기(KF-21) 핵심 장비인 AESA레이다 초도 양산·K2 사격통제시스템 4차 양산과 함께, ICT 부문에서 금융 솔루션 기반의 대외 사업 확장이 올해 실적을 이끌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포스코퓨처엠[003670]이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87.0% 증가했습니다. 28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포스코퓨처엠의 올해 1분기 연결기준 잠정실적 집계에 따르면, 매출 1조1384억원, 영업이익 379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0.3%, 영업이익은 87.0% 증가한 수치입니다. 포스코퓨처엠은 전방시장의 수요 정체로 전반적인 제품가격이 하락했으나 생산 안정화와 공급량 증대, 재고평가손실 환입으로 흑자로 돌아섰다고 설명했습니다. 주요사업 별로 1분기 실적을 구분할 경우 배터리소재 사업은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7817억원과 251억원을 기록했습니다. 배터리소재의 경우 리튬, 니켈 등 주요 메탈가격의 약세로 양극재 판매가가 전분기 대비 하락했으나 고성능 전기차용 단결정 양극재의 수율 개선 및 판매량이 증가했고, 음극재도 생산 및 판매가 증가해 수익성이 개선됐다고 포스코퓨처엠은 전했습니다. 기초소재 사업은 지난해 4분기 유가 약세 영향으로 화성제품의 판매가가 하락했지만 내화물 판매량 증가 요인 등으로 매출과 영업이익 각각 3567억원과 128억원을 기록했습니다. 포스코퓨처엠 관계자는 "지난해 3월 국내 최초로 NCMA 하이니켈 단결정 양극재 양산·공급에 나선 뒤로 수율개선에 집중하고 있다"며 "단결정 양극재 전용으로 설계된 포항 공장의 생산도 본격화되면서 수익성이 개선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달 말에는 포항 영일만 산단에 연 50톤 규모의 실리콘탄소복합체(Si-C) 음극재 데모플랜트를 가동하는 등 신제품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며 "양산기술이 확보되면 2026년에는 1000톤, 2030년에는 1만톤 규모의 생산체제를 갖출 수 있게 된다"고 덧붙였습니다.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삼성중공업[010140]이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4배 가량 성장했습니다. 28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삼성중공업의 올해 1분기 연결기준 잠정실적 집계에 따르면, 매출 2조3478억원, 영업이익 779억원을 달성했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46.3%, 영업이익은 297.4% 증가한 수치입니다. 삼성중공업은 영업이익 개선 추세에 대해 "지속적인 선가 상승, 고수익 선종의 매출 반영에 따른 이익률 상승, 원자재 가격 안정 등에 힘입은 결과이며 세전 이익은 이자 비용, 환평가 손실을 반영해 흑자 152억원을 기록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올해 현재까지 수주 규모는 38억불로 연간 수주 목표로 잡은 97억불의 39%를 달성했습니다. 삼성중공업은 현재 다수의 상선 프로젝트 안건을 협의 중이며 연내에 FLNG 1기 수주도 기대하고 있어 충분한 수주 잔량에 기반한 수익성 위주의 선별 수주로 수익을 극대화할 방침이라고 전했습니다. 삼성중공업 관계자는 "고수익 선종인 LNG운반선의 매출 반영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FLNG 1기가 최근 생산에 착수되면서 하반기로 갈수록 매출과 영업이익의 증가가 예상된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연간 매출 목표 9조7000억원, 영업이익 4000억원 달성은 무난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습니다.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LG에너지솔루션[373220]이 올해 1분기 전기차 시장 수요 둔화로 영업이익이 줄어들었습니다. 미국 IRA 보조금을 제외할 경우 영업이익은 적자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8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LG에너지솔루션의 올해 1분기 연결기준 잠정실적 집계에 따르면, 매출 6조1287억원, 영업이익 1573억원을 달성했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29.9%, 영업이익은 75.2% 감소한 수치입니다. 1분기 영업이익에 반영된 미국 IRA 세액 공제(Tax Credit) 금액은 1889억원입니다. 고객사 수요 감소와 미시간 법인의 신규라인 전환에 따른 일부 생산라인 중단 요인으로 전분기 2501억원 대비 감소했으며 IRA Tax Credit을 제외한 1분기 영업이익은 -316억원입니다. LG에너지솔루션 CFO인 이창실 부사장은 "전략 고객 수요에 적극 대응하며 전기차용 원통형 배터리가 두 자릿수 매출 성장을 달성했다"며 "그러나 전방 시장 수요 둔화, 메탈 가격 하락분 판가 반영 등의 요인으로 전체 매출은 전분기 대비 23% 감소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손익 또한 시장 수요 위축에 따른 가동률 조정 등 고정비 부담 증가, 메탈가 하락으로 인한 원재료 투입 시차 효과에 따라 전분기 대비 하락했다"고 덧붙였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은 1분기 실적과 함께 향후 근본적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올 한 해의 주요 실행 전략을 발표했습니다. 발표에 따르면, 전방 수요와 고객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해 투자 및 비용 효율성을 높일 예정입니다. 현재 진행 중인 여러 프로젝트의 수요 변화를 면밀히 검토해 우선순위를 정하고 투자 규모와 집행 속도를 합리적으로 조정해 나간다는 구상입니다. 이와 함께, 생산시설별 가동률을 최대로 높일 수 방안을 모색해 고정비 부담을 완화하고, 물류비·유틸리티 비용 등도 최적화할 계획입니다. 원재료비 혁신을 통한 비용 경쟁력 확보 추진도 나섭니다. 리튬과 같은 주요 광물을 비롯해 전구체 등 원재료의 직접 소싱 영역을 확대해 재료비를 절감하고, 글로벌 공급망 직접 투자도 확대해 수익성을 개선한다는 방침입니다. 핵심 고객들과 견고한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고객 수요에도 적극 대응한다는 계획입니다. 2분기 현재 인도네시아 현대차 합작공장이 본격 가동을 시작했으며 하반기에는 캐나다 온타리오 주에서 45GWh 규모의 스텔란티스 합작공장도 가동할 예정입니다. 압도적인 기술 리더십을 기반으로 미래 시장을 선도할 신제품 라인업 확대도 나섭니다. 오창 에너지플랜트에서 차세대 원통형 배터리 46-시리즈 생산을 시작해 올해 3분기부터 안정적인 제품 양산에 돌입할 예정입니다. 지난해 말부터 중국 남경에서 양산을 시작한 ESS LFP 배터리도 북미 및 유럽 시장에 공급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LG에너지솔루션 CEO 김동명 사장은 "올 한 해 녹록치 않은 시장 환경이 예상되지만 근본적 경쟁력을 강화하고 차별화된 고객가치를 꾸준히 실현해 압도적 기술리더십을 갖출 수 있는 기반을 단단히 준비해 나가겠다"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문승현 기자ㅣ주요 시중은행이 기업여신을 중심으로 대출자산을 불려가고 있습니다. 창출된 큰폭의 이자이익은 각 금융그룹 전체 실적 방어에 기여했습니다. 27일 5대 금융지주의 '2024년 1분기 경영실적'을 보면 올 3월말 현재 5대은행 기업대출금은 총 788조원에 육박합니다. 1년전 719조원 수준에서 9.6%(69조원) 늘었습니다. 5대은행 공히 기업대출이 불어났지만 증가폭은 하나은행이 가장 큽니다. 3월말 기준으로 지난해와 올해를 비교하면 하나은행 기업대출금은 146조6510억원에서 167조7540억원으로 14.4%(21조원) 커졌습니다. 우리은행도 158조8520억원에서 175조4330억원으로 두자릿수(10.4%) 증가율을 보였습니다. 이어 신한은행(147조5230억원→162조9억원) 9.8%, 국민은행(164조3000억원→176조5000억원) 7.4%, 농협은행(101조5506억원→106조1518억원) 4.5%로 집계됩니다. 기업에 대한 신용공급 증가는 이자이익을 수반합니다. 1분기 5대 금융지주 이자이익은 총 12조5911억원으로 1년전(11조8213억원)보다 6.5% 많습니다. KB금융이 은행의 대출평잔 증가와 순이자마진(NIM) 개선에 힘입어 11.6%(3276억원) 늘어난 3조1515억원의 순이자이익을 거뒀습니다. NIM은 금융사의 수익성을 가늠하는 지표로 1분기 KB금융그룹 2.11%, KB국민은행 1.87% 입니다. 직전 분기 대비 각각 3bp(1bp=0.01%p), 4bp 상승하며 견조한 실적 흐름을 견인했습니다. 신한금융그룹 이자이익(2조8159억원)도 작년 1분기보다 9.4%(2420억원) 증가했습니다. NIM은 그룹 2.00%, 은행 1.64%로 전분기 대비 각각 3bp, 2bp 올랐습니다. NH농협금융은 2조298억원에서 2조2049억원으로 8.6%(1751억원), 하나금융은 2조1750억원에서 2조2206억원으로 2.1% 이자이익이 증가했습니다. 다만 하나금융의 NIM은 작년 1분기 그룹 1.88%, 은행 1.68%에서 매분기 동반하락하다 올 1분기 각각 1.77%(전분기 대비 1bp↑), 1.55%(전분기 대비 3bp↑)로 상승전환했습니다. 하나금융은 "그룹 이자이익은 NIM 하락효과가 대출자산 증대로 상쇄된 가운데 비은행부문 이자이익 개선으로 전년동기대비 증가했다"고 밝혔습니다. 우리금융그룹 이자이익은 조달비용 증가 여파에 2조2188억원에서 2조1982억원으로 0.9% 줄었습니다. 우리은행 NIM은 핵심예금 증대에 힘입어 전분기 대비 3bp 오른 1.50%로 상승전환했습니다. 이와 함께 5대 금융그룹의 올 1분기 실적에서는 비은행부문 성장세가 도드라집니다. 특히 하나금융그룹 비은행 관계사 하나카드는 당기순이익이 202억원에서 535억원으로 2배 넘게(164.9%) 뛰었습니다. 하나금융의 비이자이익 구성항목 중 신용카드수수료, 여신 및 외환 관련수수료, 자산관리 관련수수료 등을 합산하는 수수료이익은 5128억원으로 15.2%(676억원) 늘었습니다. KB금융그룹 비은행 주요 계열사의 1분기 순이익은 고루 성장했습니다. KB증권은 1406억원에서 1980억원(40.8%↑), KB손해보험은 2538억원에서 2922억원(15.1%↑), KB국민카드는 820억원에서 1391억원(69.6%↑)으로 각각 증가했습니다. 순수수료이익은 증권업 수입수수료 확대 및 신용카드 수수료이익 증가 등으로 9140억원에서 9901억원으로 8.3%(761억원) 커졌습니다. 신한금융그룹은 주요 그룹사(카드·증권·보험) 수수료이익과 보험이익 증가를 통해 비이자이익을 방어했습니다. 신용카드수수료는 735억원에서 943억원(28.4%↑), 증권수탁수수료는 709억원에서 892억원(25.8%↑), 보험이익은 2368억원에서 2874억원(21.4%↑) 늘었습니다. 이에 힘입어 전체 비이자이익은 1조25억원으로 0.3% 증가했습니다. 우리금융그룹 비이자이익은 3317억원에서 3506억원으로 5.7% 늘었습니다. 환율상승과 시장금리 하락 영향으로 일부 평가손실이 발생했지만 자산관리·IB·외환 등 20.3% 늘어난 수수료이익(5030억원)이 비이자이익 성장을 이끌었습니다. 우리금융은 "환율상승 등 시장변동성 확대에도 핵심수수료 이익 기반의 견조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자산관리·외환 등 영업력 강화를 통해 수수료이익이 증가했다"고 설명합니다. 농협금융 비이자이익은 수수료이익(3928억원→4472억원) 증가에도 유가증권운용이익(5869억원→3390억원) 대폭 감소로 7216억원에서 5046억원으로 30.1%(2170억원) 줄었습니다. 1분기 농협금융 당기순이익(6512억원)에서 비은행부문의 기여도는 40.3%로 1년전(32.3%)보다 눈에 띄게 커졌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LG생활건강이 뷰티와 음료 부문 성장세에 힘입어 1분기 영업이익이 10분기 만에 반등했습니다. 27일 LG생활건강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151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5% 늘었습니다. 영업이익 증가는 지난 2021년 3분기 이후 10분기 만입니다. 1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7% 늘어난 1조7287억원으로 지난해 1분기 이후 4분기 만에 증가했습니다.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에프앤가이드 실적 추정치인 매출 1조7055억원, 영업이익 1295억원을 각각 1.4%, 16.6% 상회했습니다. 앞서 이정애 LG생활건강 사장은 올해 신년사에서 "2024년은 지난 2년간의 부진을 털어내고 새롭게 성장하는 변곡점의 한해가 돼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습니다. Beauty 사업 1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5.6% 증가한 7409억원, 영업이익은 3.1% 증가한 631억원을 기록했습니다. ‘더후 비첩 자생 에센스 4.0’ 등 더후 리뉴얼 제품군의 판매가 호조를 보였습니다. 면세는 소폭 감소했으나 중국에서는 온라인 매출 확대로 한 자릿수 성장을 이뤘으며 ‘더후’는 두 자리 수 성장을 실현했습니다. 영업이익도 중국 및 북미 사업 수익성 개선에 힘입어 증가했습니다. HDB 사업 1분기 매출은 553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7%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354억원으로 8.3% 증가했습니다. 해외사업 효율화의 영향으로 매출이 소폭 감소한 반면 프리미엄 브랜드 성장과 북미 구조조정 효과로 영업이익은 증가했습니다. 데일리뷰티에서는 히말라야 핑크솔트, 유시몰 등 브랜드에서 신개념 치아 화이트닝 치약인 ‘보라 미백치약’을 출시했습니다. Refreshment 사업 1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6% 신장한 4344억원, 영업이익은 1.0% 늘어난 525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코카콜라 등 주요 브랜드 판매 호조와 제로 시장 대응 강화로 매출이 늘었습니다. 특히 ‘코카콜라 제로’와 ‘몬스터 에너지’의 성장세가 지속됐습니다. 영업이익은 원부자재 등 원가 부담 지속으로 소폭 개선에 그쳤습니다. 1분기 코카콜라에서는 ‘코카콜라 제로 한류’를 출시했습니다.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GS건설[006360]의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크게 줄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26일 GS건설이 공시한 올해 1분기 연결기준 잠정집계 실적에 따르면, 매출 3조710억원, 영업이익 710억원, 세전이익 1770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2.6%, 영업이익은 55.3% 감소한 수치입니다. 사업본부별 매출을 구분할 경우 건축주택사업본부 2조3870억원, 신사업본부 2870억원, 인프라사업본부 2630억원을 올렸습니다. 지역별 매출의 경우 국내사업 2조5660억원, 해외사업 5050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신규 수주는 3조3020억원으로 전년 동기 2조990억원 대비 57.3% 증가했습니다. 사업본부별로 살펴볼 경우 건축주택사업본부에서는 송도국제화복합단지2단계 개발사업(4960억원), 송파가락프라자 재건축사업(4730억원) 등을 수주했습니다. 플랜트사업본부에서는 지난 3월 사우디아라비아 국영 석유회사인 아람코에서 발주한 '파딜리 가스증설 프로그램 패키지 2번' 황회수처리시설 공사를 수주했습니다. 계약금액은 12억2000만달러로 한화 약 1조6000억원 수준입니다. GS건설 관계자는 "불확실한 대외 환경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국내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적극적으로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해 나가고 있다"며 "기초와 내실을 강화해 재도약의 기반을 견고히 다지고,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사업의 기틀을 정립하는데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HD현대[267250]가 올해 1분기 주요 사업에서 실적 호조로 전년 동기 대비 영업이익이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26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HD현대의 올해 1분기 연결기준 잠정실적 집계에 따르면, 매출 16조5144억원, 영업이익 7936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8.1%, 영업이익은 48.8% 증가한 수치입니다. HD현대 관계자는 "정유·전력기기 등 주요 사업 전반에서 견조한 실적을 거둔 가운데 조선 부문이 흑자 기조를 이어가며 양호한 실적 흐름을 이어갔다"며 "불확실한 글로벌 경영환경 속에서 선별 수주 전략과 맞춤형 영업전략을 통해 성장을 이어갈 수 있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주요 사업별로 살펴볼 경우 조선·해양 부문의 HD한국조선해양[009540]은 친환경 이중연료 선박 등 고부가가치 선박의 매출이 본격적으로 실적에 반영되며 전년 동기보다 13.9% 증가한 5조5156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습니다. 영업이익은 선별 수주에 따른 선가 상승분이 반영되고 생산 안정화로 비용을 절감하며 1602억원을 기록함과 동시에 4분기 연속 흑자를 달성했습니다. HD한국조선해양의 자회사인 HD현대중공업[329180]은 전년 동기 대비 13.5% 늘어난 2조9877억원, HD현대미포[010620]는 10% 증가한 1조5억원, HD현대삼호는 22.7% 증가한 1조7056억원의 매출을 올렸습니다. HD현대삼호의 경우 전년 동기 대비 223.6% 증가한 1864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습니다. 에너지 부문의 HD현대오일뱅크는 유가 및 정제마진 상승으로 매출 7조8788억원과 영업이익 3052억원을 올리며 전년 동기 대비 각각 6.5%, 17.8%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건설기계 부문의 HD현대사이트솔루션은 고금리 기조 속 글로벌 건설기계 시장의 긴축 흐름으로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전년 동기 대비 7.2%, 29.7% 줄어든 2조2029억원과 1629억원을 기록했습니다. HD현대일렉트릭[267260]은 전력인프라 확대 추세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40.9% 늘어난 매출 8010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영업이익은 178.2% 증가한 1288억원을 달성하며 영업이익률 16.1%를 기록했습니다. HD현대마린솔루션은 친환경 규제 강화에 따른 선박 부품서비스 사업 호조와 스마트 선박 운영 관리·자동화 솔루션 등 디지털 제어 사업의 확대로 전년 동기 대비 19.3% 늘어난 3830억원의 매출을 기록했습니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3.2% 증가한 515억원을 기록했으며 영업이익률은 13.4%를 달성했습니다. HD현대 관계자는 "조선 부문에서 친환경 고부가가치 선박 수주가 지속되고 있고, 정유·전력기기 시황이 안정적인 흐름세를 보이고 있는 만큼 향후 수익성 확대를 위한 노력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기아[000270]가 올해 1분기 고수익 RV 차종 판매가격의 상승 등으로 분기 기준 최대 영업이익을 달성했습니다. 26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기아의 올해 1분기 연결기준 잠정실적 집계에 따르면, 매출 26조2129억원, 영업이익 3조4257억원, 경상이익 3조7845억원, 당기순이익 2조8091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지난해 1분기 실적과 비교할 경우 대비 매출은 10.6%, 영업이익은 19.2%, 경상이익은 20.4%, 당기순이익은 32.5% 증가했습니다. 기아 측은 "고수익 RV 차종 중심의 판매 믹스 개선 및 가격 상승 효과와 원자재 가격 하향 안정화, 원화 약세에 따른 우호적 환율 효과 등에 힘입어 분기 기준 최대 영업이익을 달성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영업이익률도 13.1%를 기록하며 지난해 2분기 달성했던 최대 영업이익률 13%를 경신했습니다. 1분기 글로벌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1.0% 줄은 76만515대를 기록했습니다. 국내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2.9% 감소한 13만7871대, 해외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0.6% 줄은 62만2644대의 판매량을 올렸습니다. 기아에 따르면, 국내 판매량은 지난해 개별소비세 인하 종료에 따른 기저 영향으로 산업 수요가 급감한 가운데 전기차 판매 감소 영향 등으로 소폭 감소했습니다. 해외 판매량은 인도, 아중동 등 일부 신흥시장서 모델 노후화 및 지정학적 요인 등이 영향으로 작용했습니다. 1분기 친환경차 판매는 하이브리드 판매 확대에 힘입어 전년 대비 18.1% 증가한 15만7000대를 기록했습니다. 하이브리드는 전년 대비 30.7% 증가한 9만3000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는 5.0% 줄은 2만대, 전기차는 7.9% 증가한 4만4000대를 판매했습니다. 기아 측은 "국내 시장에서 쏘렌토, 카니발, 스포티지 등 하이브리드를 활용한 판매 확대를 지속 추진할 것"이라며 "하반기 EV3 신차, EV6 상품성 개선 모델의 성공적 런칭을 통해 판매 모멘텀을 이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미국에서는 수요 기반 생산 운영 방식을 통한 효율적 인센티브 수준을 유지하고 카니발 하이브리드와 K4 등 신차 및 고수익 모델을 활용해 수익성을 지속 제고할 방침"이라며 "유럽에서는 EV3의 성공적인 런칭을 통해 전기차 라인업을 추가하고, 전기차 중심의 판매 확대에 주력해 판매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EV 시장에서 전동화 선도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할 계획"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LG전자[066570]가 역대 1분기 최고 매출액을 기록했습니다. 지난 25일 LG전자에 따르면, 올해 1분기에 LG전자는 매출 21조959억원, 영업이익 1조3354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이번 매출액은 전기 대비 8.7% 감소한 수치이나 LG전자 역대 1분기 매출 중 최대 매출액입니다. 영업이익은 1분기 기준 2020년 이후 5년 연속 1조원을 넘겼습니다. H&A(Home Appliance & Air Solution) 사업본부를 필두로 한 주력사업인 생활가전이 전년 동기 대비 7.2% 오른 8조6075억원을 기록하며 전 분기를 통틀어 역대 최대를 갱신한 것이 주요했다고 업계는 분석합니다. H&A사업본부의 1분기 영업이익은 9403억원입니다. VS(Vehicle component Solutions)사업본부는 1분기 매출액 2조6619억원, 영업이익 520억원을 기록했으며 해당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1.5% 오른 수치입니다. 전기차 수요 성장세가 둔화될 것이라는 전망과 달리, 고부가가치 전장부품 수요는 늘어나는 시장 추세에 따라 LG전자는 시장 변화에 대응하며 지속적인 매출 성장과 안정적 수익 기반을 확보해 나간다는 계획입니다. HE(Home Entertainment)사업본부는 1분기 매출액 3조 4920억원, 영업이익 1322억원을 기록했습니다. 매출액은 2024년형 TV 신제품 출시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4.2% 증가했습니다. 반면, 영업이익은 LCD 패널 가격 등 원가 상승 요인으로 인해 소폭 감소했습니다. 마지막으로 BS(Business Solutions)사업본부는 1분기 매출액 1조5755억원, 영업이익 128억원을 기록했습니다.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6.5% 늘었으나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소폭 감소했습니다.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SK하이닉스[000660]가 역대 1분기 최고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지난 25일 SK하이닉스에 따르면 올해 K-IFRS 기준으로 1분기 ▲매출 12조4296억원 ▲영업이익 2조8860억원(영업이익률 23%) ▲순이익 1조9170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이번 매출은 그간 SK하이닉스 1분기 실적 중 최대치이며 영업이익은 1분기 기준으로 2018년 이후 두 번째 높은 수치입니다. HBM 제품의 판매량이 증가하고 프리미엄 제품인 eSSD 판매 비중이 확대됨에 따라 SK하이닉스가 장시간 지속된 다운턴에서 벗어난 것이 주요했다고 업계는 분석합니다. SK하이닉스는 AI 메모리 수요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하반기부터는 일반 D램 수요도 회복돼 올해 메모리 시장은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이에 맞춰, SK하이닉스는 지난 3월 세계 최초로 양산을 시작한 HBM3E 공급을 늘리고 10나노 5세대(1b) 기반 32Gb DDR5 제품을 연내 출시해 고용량 서버 D램 시장 주도권도 강화하겠다는 계획입니다. 낸드의 경우 실적 개선 추세를 지속하기 위해 제품 최적화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한편, SK하이닉스는 지난 24일 발표한 대로 신규 팹(Fab)인 청주 M15X를 D램 생산기지로 결정하고 건설을 가속화하는 등 적기 투자를 해나가기로 했습니다. 중장기적으로는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미국 인디애나 어드밴스드 패키징 공장 등 미래 투자도 예정대로 진행할 계획입니다. 이로 인해 올해 투자 규모는 연초 계획 대비 다소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에 대해 회사는 고객 수요 증가 추세에 따라 투자를 확대하기로 한 것이며 이를 통해 HBM뿐 아니라 일반 D램 공급도 시장 수요에 맞춰 늘려갈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김우현 SK하이닉스 부사장(CFO)은 "HBM을 중심으로 한 글로벌 1위 AI 메모리 기술력을 바탕으로 당사는 반등세를 본격화하게 되었다"며 "앞으로도 최고 성능 제품 적기 공급, 수익성 중심 경영 기조로 실적을 계속 개선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현대자동차[005380]가 올해 1분기 국내 판매대수 감소 영향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영업이익이 소폭 줄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26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현대차의 올해 1분기 연결기준 잠정실적 집계에 따르면, 매출 40조6585억원, 영업이익 3조5574억원, 경상이익 4조7272억원, 당기순이익 3조3760억원입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7.6%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2.3% 줄었습니다. 경상이익은 1.7% 증가했고 당기순이익은 1.3% 감소했습니다. 영업이익률은 8.7%를 기록했습니다. 현대차 측은 "판매대수 감소 영향으로 영업이익이 전년 1분기보다 소폭 감소했으나 선진 시장 중심 지역 믹스 개선 등에 힘입어 매출액은 확대됐다"고 설명했습니다. 올해 1분기 글로벌 시장 판매량은 100만6767대를 판매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전년 동기와 비교해 1.5% 감소한 수치입니다. 국내 시장에서는 전년 동기 대비 16.3% 감소한 15만9967대가 판매됐습니다. 신차 양산 대응을 위한 아산공장 셧다운 등이 감소 요인으로 작용했으나 신형 싼타페 하이브리드를 비롯한 하이브리드 모델의 판매 비중은 크게 증가했다고 현대차 측은 전했습니다. 해외에서는 신형 모델 투입 및 주요 라인업 상품성 개선과 함께 북미, 유럽, 인도 등 주요 시장 판매 호조 요인으로 전년 동기 대비 1.9% 늘어난 84만6800대의 판매량을 올렸습니다. 1분기 글로벌 친환경차 판매대수(상용 포함)는 전기차(EV) 수요 둔화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4.8% 감소한 15만3519대가 판매됐습니다. EV는 4만5649대, 하이브리드는 9만7734대로 집계됐습니다. 현대차 관계자는 "향후에는 전기차 전용 브랜드 ‘아이오닉’의 라인업 확대, 신규 하이브리드 모델 보강 등을 통한 친환경차 판매 제고, 생산 및 판매 최적화를 통한 판매 극대화, SUV, 고부가가치 차종 중심의 믹스 개선을 통한 점유율 확대 및 수익성 방어에 집중할 방침"이라고 말했습니다. 아울러, 현대차는 주주 환원을 위한 2024년 1분기 배당금을 주당 2000원으로 결정했습니다. 전년 분기 배당 1500원보다 33.3% 증가한 수치입니다. 현대차 관계자는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등을 고려해 주주환원 정책을 확대해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지속 노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삼성물산[028260]이 올해 1분기 건설부문서 대형 프로젝트 공정 호조 등에 힘입어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24일 삼성물산이 공시한 올해 1분기 연결기준 잠정집계 실적에 따르면, 매출 10조7960억원, 영업이익 7120억원을 올렸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5.4%, 영업이익은 11.1% 증가한 수치입니다. 삼성물산 관계자는 "글로벌경제의 불확실성 확대 속에서도 사업부문별 차별화된 경쟁력을 바탕으로 견조한 수익성을 유지하며 전체 실적이 개선됐다"고 설명했습니다. 1분기 실적을 사업별로 구분할 경우 건설부문은 매출 5조5840억원, 영업이익 3370억원을 올리며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1.4%, 15.4% 증가했습니다. 건설부문의 경우 균형 잡힌 포트폴리오 및 경쟁력 개선 노력을 지속한 점과 함께 안정된 공사 수행 역량을 바탕으로 최근 수주한 양질의 대형 프로젝트 공정이 본격화된 것 등이 전년동기, 전분기 대비 매출과 영업이익 증가로 이어진 것으로 본다고 삼성물산은 전했습니다. 상사부문은 매출 2조9060억원, 영업이익 850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9.4%, 14.1%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원자재 가격 하락, 저수익 거래선 효율화 등으로 물량이 축소되며 전년 동기대비 다소 감소한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패션부문은 매출 5170억원, 영업이익 540억원을 올리며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7%, 5.3%의 감소율을 기록했습니다. 국내 패션 소비심리 위축과 비수기 등의 영향이 일부 있었으나 브랜드 및 상품 경쟁력 통해 전년 수준의 실적을 유지한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리조트부문은 매출 8420억원, 영업이익 210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각각 6.9%, 200%가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파크 콘텐츠 기반 실적 개선 흐름, 식자재 유통 확대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과 영업이익 증가세를 기록했습니다. 삼성물산 관계자는 "2분기에는 대외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개선된 사업체질을 바탕으로 수익기반을 확고히 해 안정적인 실적이 유지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한화오션[042660]이 올해 1분기 고부가가치 선박 생산 및 선별 수주 효과 등에 힘입어 영업이익 흑자전환에 성공했습니다. 24일 한화오션이 공시한 올해 1분기 연결기준 잠정집계 실적에 따르면, 매출 2조2836억원, 영업이익 529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58.6%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흑자를 달성했습니다. 당기순이익도 510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흑자전환했습니다. 한화오션은 "LNG운반선 등 고부가가치 선박의 생산량 증가가 매출 증가로 이어졌고 여기에 환율효과가 더해지면서 경영 실적이 개선됐다"고 설명했습니다. 주요 사업별로 1분기 실적을 살펴볼 경우 상선은 매출 1조9441억원, 영업이익 182억원을 올렸습니다. 특수선은 매출 1422억원, 영업이익 57억원, 해양은 매출 2774억원, 영업이익 184억원을 기록했습니다. 한화오션은 올해 경영 실적에 높은 선가로 수주한 LNG운반선 건조 실적이 본격 반영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습니다. 올해 한화오션은 역대 최다인 22척의 LNG운반선을 건조할 계획이며, 내년에는 24척의 LNG운반선 건조가 예정돼 있습니다. 한화오션 관계자는 "한화오션 출범 이후 지속적인 선별 수주 전략과 전 사업 분야에 걸친 비용 효율화 등의 혁신 활동을 통해 수익성 개선에 집중해왔다"며 "올해 1분기와 같은 견조한 실적 흐름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각 사업분야 별로 매출 확대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습니다. 한화오션은 올해 현재까지 LNG 운반선 12척, 초대형 원유 운반선 2척, 암모니아 운반선 2척, 초대형 액화석유가스(LPG) 운반선 1척 등 총 33억9000만달러 상당의 선박을 수주했습니다.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KG모빌리티[003620]가 지난 1분기 수출 판매 호조 등에 힘입어 영업이익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22일 KG모빌리티가 공시한 올해 1분기 연결기준 잠정집계 실적에 따르면, 매출 1조18억원, 영업이익 151억원, 당기순이익 539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7.67% 감소했으나 영업이익은 61.09%, 당기순이익은 226.11% 증가했습니다. KG모빌리티 측은 " 수출 물량 증가와 함께 내부 경영체질개선을 통한 생산성 향상과 원가 절감, 토레스 EVX 판매에 따른 CO₂ 페널티 환입 및 신주인수권 평가이익 등으로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이 모두 증가했다"고 설명했습니다. KG모빌리티의 1분기 흑자는 지난해 2016년 1분기 이후 7년 만에 흑자를 기록한 이후 2년 연속입니다. 1분기 판매량은 2만9326대를 올렸습니다. 판매량의 경우 내수 시장 토레스 신차 효과 소진 등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3만5113대) 대비 감소했으나, 수출 물량 증가에 힘입어 3월에 1만대 판매를 넘어서는 등 지난 1월 이후 3개월 연속 증가세를 나타내며 회복세를 보였습니다. 특히 수출(1만7114대)은 3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이며 전년 동기 대비 39.2% 큰 폭으로 증가하는 등 상승세를 이끌었습니다. 이와 동시에 지난 2014년 1분기(1만9874대) 이후 10년 만에 1분기 수출량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KG모빌리티 관계자는 "수출 물량 증가에 힘입어 매출 1조원 돌파와 함께 신주인수권 평가이익 등으로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을 기록하며 지난해에 이어 흑자 기조를 이어가고 있다"며 "글로벌 시장 공략 강화와 함께 코란도 EV와 쿠페스타일 제품 등 다양한 신모델 출시를 통해 판매 확대는 물론 재무구조를 개선시켜 나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KG모빌리티는 수출 물량 증가를 목표로 튀르키예, 뉴질랜드에서 토레스와 토레스 EVX 시승 행사를 갖는 등 글로벌 판매 확대에 나서고 있으며 고객 만족도 제고 등 내수 시장 대응에도 총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현대건설[000720]이 해외 현장의 사업 가속화 등에 힘입어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44.6%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20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현대건설의 올해 1분기 연결기준 잠정집계 실적에 따르면, 매출 8조5453억원, 영업이익 2509억원, 당기순이익 2084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41.7%, 영업이익은 44.6% 증가한 수치입니다. 현대건설 측은 "주택 부문의 견조한 실적과 샤힌 프로젝트 등 주요 사업이 본격화되고 파나마 메트로 3호선, 이라크 바스라 정유공장, 사우디 자푸라 가스처리시설 등 해외 대형현장의 공정도 가속화됨에 따라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증가세를 기록했다"고 설명했습니다. 현대건설은 올해 초 연간 매출 목표치로 29조7000억원을 제시한 바 있는데 1분기 8조5453억원을 올리며 목표치의 28.8%를 달성하게 됐습니다. 수주는 9조5177억원을 올리며 전년 동기 대비 60.3%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또, 연간 목표 수주치로 잡은 29조원의 32.8%를 달성했습니다. 해외 수주액만 놓고 볼 경우 사우디 자푸라 가스처리시설 2단계 등 메가 프로젝트 수주 등으로 5조4539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수주잔고는 91조2515억원으로 전년 말 대비 1.7% 상승했습니다. 현금 및 현금성 자산(단기금융상품 포함)은 3조5159억원이며 지불능력인 유동비율은 179.8%, 부채비율은 129.1%입니다. 신용등급은 업계 최상위 수준인 AA-등급으로 안정적인 재무구조를 유지했습니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현대건설은 경쟁우위 분야에서 초격차 기술을 확보하는 것은 물론, 대형원전․SMR 등 핵심 사업과 수소·CCUS·건강주택 등 미래 동력을 강화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해외 사업 및 에너지 밸류체인 확대를 통한 사업영역의 다각화와 핵심기술의 내재화․고도화를 통해 지속 성장해 건설산업이 직면한 대내외적 위기를 돌파해나갈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삼성전자[005930]가 2024년 1분기 잠정실적 발표를 통해 영업이익이 약 10배 증가했다고 5일 밝혔습니다. 잠정실적에서 삼성전자의 매출은 71조원을 기록하며 63조7000억원이었던 작년 동기 대비 11.37% 증가했습니다. 영업이익 역시 6조6000억원을 기록하며 6402억원이었던 작년 동기 대비 931.25% 증가했습니다. 전기와 비교했을 때는 매출의 경우 전기 대비 4.75%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의 경우 전기 대비 134.04%로 크게 증가했습니다. 잠정 실적은 한국채택 국제회계기준(IFRS)에 의거해 추정한 결과이며 아직 결산이 종료되지 않은 가운데 투자자들의 편의를 돕는 차원에서 제공되는 자료입니다. 삼성전자의 분기 매출이 70조원 이상을 기록한 것은 2022년 4분기 이후 처음입니다. 시장에서는 올해 초 삼성전자 DS(Device Solution)부문의 흑자 전환, 메모리 감산 효과에 따른 가격 상승 등의 이유로 삼성전자의 영업이익 상승을 예측한 바 있습니다. 한편, 삼성전자는 오는 30일 오전 10시에 '2024년 1분기 경영실적 발표 컨퍼런스콜'을 개최하고 보다 자세한 사업별 세부 내용을 공개할 예정입니다.
장승윤 기자 weightman@inthenews.co.kr
인더뉴스 문정태 기자ㅣCJ제일제당이 생분해성 바이오소재 ‘PHA(Polyhydroxyalkanoates)’의 글로벌 상용화를 본격 확대합니다. CJ제일제당은 스웨덴 바이오소재 컴파운딩 기업 ‘BIQ머티리얼즈’와 PHA 적용 인조잔디 충전재 사업 협력을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31일 밝혔습니다. BIQ머티리얼즈는 유럽 최초로 PHA 기반 충전재를 개발해 특허를 보유한 기업입니다. 이번 협약에 따라 CJ제일제당은 인조잔디 충전재에 적합한 PHA 소재를 공급하고, BIQ머티리얼즈는 제품 생산을 담당합니다. 양사는 유럽 시장에서 PHA 상용화를 적극 추진할 계획입니다. PHA는 미생물이 식물 유래 성분을 섭취해 세포 내에 축적하는 고분자 물질로 토양·해양·퇴비 환경에서 모두 분해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CJ제일제당은 지난 2022년 PHA 상업 생산을 시작해 브랜드 ‘PHACT’를 론칭했습니다. 유럽연합(EU)은 인조잔디 충전재를 미세플라스틱 발생 주요 품목으로 지정하고, 오는 2031년부터 석유계 충전재 사용을 금지할 예정입니다. 회사는 이에 따른 친환경 충전재 수요 증가에 대응해 현지 시장 공략에 나선다는 계획입니다. 지난 30일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열린 협약식에는 정혁성 CJ제일제당 BMS본부장과 프레드릭 베리에고르 BIQ머티리얼즈 회장 등이 참석했습니다. 이날 정혁성 본부장은 “유럽에서 PHA 적용 분야를 넓히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지속가능 소재 솔루션을 지속 발굴하겠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CJ제일제당의 미국 자회사 CJ바이오머티리얼즈는 ‘2025 바이오플라스틱 어워드 혁신상’을 수상했습니다. 비결정형 PHA(aPHA) 기술이 지속가능성과 확장성을 인정받았습니다. CJ제일제당은 ▲코스맥스(화장품 용기) ▲이토추플라스틱스(일본 유통 협력) 등과도 협업하며 PHA 응용 시장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인더뉴스 문정태 기자ㅣ31일 동원그룹은 2026년도 대표이사급 인사를 단행했습니다. 동원시스템즈는 패키징사업부문 대표에 윤성노 패키징영업본부장을 선임했습니다. 윤 신임 대표는 지난 1997년 입사 후 동원건설산업, 동원F&B 경영지원실장, 동원산업 인재전략실장 등을 거쳤습니다. 윤 신임 대표는 캔·페트·유리병 등 패키징 사업과 무균충전음료 등 신사업 경쟁력 강화를 추진할 계획입니다. 동원기술투자 대표이사에는 이진욱 동원산업 전략기획실장이 발탁됐습니다. 동원기술투자는 2022년 설립된 기업형 벤처캐피탈(CVC)로, 전략 투자와 신사업 발굴을 담당합니다. 1975년생인 이 신임 대표는 미쓰이스미토모은행, BNP파리바, 한국수출입은행 등을 거쳐 DL케미칼 CFO를 역임한 금융·재무 전문가입니다. 동원홈푸드는 중국 법인장으로 정해철 동원F&B 해외사업부 상무를 내정했습니다. 정해철 신임 법인장은 글로벌 식품 사업 경험을 바탕으로 현지 조미식품 사업 강화 역할을 맡습니다. 중국 법인은 소스·드레싱·시즈닝 등을 생산해 국내 식품기업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동원그룹 관계자는 “각 사업 부문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잠재력과 전문성을 갖춘 인물을 발탁했다”며 “수산·식품·소재·물류 등 핵심 사업을 확장하고 신성장동력 발굴에 적극 나설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문정태 기자ㅣ롯데하이마트가 2025년 3분기 실적에서 총매출과 영업이익이 3분기 연속 개선되며 수익성 회복세를 이어갔습니다. 3분기 누계 기준 영업이익과 순이익 모두 흑자를 기록했습니다. 롯데하이마트는 3분기 총매출액이 7982억원, 누적 2조1923억원을 기록해 전년 대비 각각 0.5%, 2% 증가했다고 31일 밝혔습니다. 회사에 따르면 순매출액은 6525억원, 누적 1조7757억원으로 감소했지만, 지난해 부가가치세 환급 등 일회성 요인을 제외하면 각각 0.9% 감소, 0.1% 증가 수준입니다. 영업이익은 3분기 190억원, 누적 184억원으로 전년 대비 감소했지만, 일회성 요인 제외 시 3분기 101억원, 누적 244억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회사는 “내수 가전 시장 역성장 환경에서도 실질적인 이익 개선이 이뤄졌다”고 설명했습니다. 롯데하이마트는 지난해 ‘기업가치 제고(밸류업)’ 계획을 발표하며 ▲고객 평생 케어 서비스 ‘하이마트 안심 Care’ ▲PB 브랜드 ‘PLUX(플럭스)’ ▲경험형 매장 혁신 ▲온라인·오프라인 옴니채널 강화를 4대 핵심 전략으로 제시했습니다. ‘하이마트 안심 Care’ 매출은 9월 누적 기준 전년 대비 44% 증가했습니다. PB ‘PLUX’는 론칭 이후 주요 카테고리에서 판매 1위를 기록하며 누적 매출이 6.4% 성장했습니다. 올해 리뉴얼한 18개 매장의 매출은 전년 대비 44% 늘었고, 이커머스 역시 9% 증가했습니다. 회사는 고객 불편 사전 해결을 위한 ‘가전설치 사전점검’ 및 ‘애플 성능 사전 진단 서비스’를 운영 중이며, 3D 도면 기반 ‘빌트인 플래너 솔루션’을 통해 상담 및 설치 편의성을 강화했습니다. 또 ‘하이마트 구독’과 ‘Total House Care’ 매장을 통해 제품·서비스 확장도 추진합니다. 롯데하이마트 관계자는 “핵심 전략 실행을 바탕으로 2025년 영업이익 100억원, 2029년 1000억원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온·오프라인 통합 경험 강화와 PB 확대 등으로 수익 체질을 강화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문승현 기자ㅣKB금융그룹(회장 양종희)이 올해 3개 분기만에 5조원을 훌쩍 넘는 순이익을 냈습니다. 지난해 연간 순이익(5조782억원)을 가뿐히 넘긴 역대 최대 실적입니다. 올들어 분기마다 1조7000억원 안팎의 순이익을 꾸준히 거둬들였다는 점을 토대로 남은 4분기까지 뒷심을 발휘한다면 7조원대 근접한 확정적인 '6조원 순이익 시대'에 최초 진입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KB금융은 균형잡힌 이익 포트폴리오를 토대로 비은행 이익기여도가 40%에 육박한다는 점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KB금융이 30일 발표한 3분기 경영실적을 보면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지배기업지분순이익)은 5조1217억원으로 작년동기(4조3941억원) 대비 16.6%(7276억원) 큰폭 증가했습니다. 같은 기간 3분기 개별 순이익(1조6860억원)도 4.1%(663억원) 늘었습니다. KB금융은 이자이익·수수료이익 등 핵심이익의 균형성장과 안정적인 비용관리 노력의 결실이라고 설명합니다. 세부적으로 3분기 누적 순이자이익은 9조7049억원으로 1.3% 증가했습니다. 금리하락 사이클 지속, 가계대출 규제강화 등 불확실성이 높아진 시장환경에서도 핵심예금 증대를 통한 조달비용 감축과 적정 여신성장 등 전략적으로 대응한데 힘입었습니다. 그룹 순이자마진(NIM)은 1.96%로 전분기와 동일한 수준을 유지했고 은행 NIM은 조달비용 관리노력으로 대출자산 수익률 하락폭을 안정적으로 방어하며 1.74%를 기록했습니다. NIM은 금융회사 수익성을 가늠해 볼 수 있는 지표입니다. 3분기 누적 비이자이익은 3조7390억원입니다. 기타영업손익 감소(15.4%↓)에도 순수수료이익(2조9524억원)이 3.5% 늘면서 견실한 이익체력을 유지했습니다. 9월말 현재 보통주자본(CET1)비율과 BIS자기자본비율은 각각 13.83%, 16.28% 입니다. 자산성장과 환율상승에 따른 위험가중자산(RWA) 증가에도 질적 성장에 기반한 효율적인 자본관리로 업계 최고 수준의 자본적정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주요 계열사 경영실적을 보면 KB국민은행은 3분기 누적으로 3조3645억원의 순이익을 냈습니다. 작년동기(2조6179억원) 대비 무려 28.5%(7466억원) 증가한 것입니다. 증권·손해보험·카드·라이프생명 등 비은행부문의 이익기여도는 37%에 이릅니다. 기여도는 각 계열사 그룹연결 대상 재무제표상 당기순이익을 단순합산한 것입니다. KB금융은 은행-비은행 상호보완의 실적을 기반으로 그룹 순이익을 확대하며 다변화된 포트폴리오를 입증했습니다. KB증권의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은 4967억원입니다. 국내외 증시활황으로 브로커리지 수익이 크게 확대됐지만 부동산PF 사업장에 대한 선제적 충당금 적립 등 영향으로 작년동기대비 9.2%(501억원) 줄었습니다. KB손해보험 누적 당기순이익(7669억원)은 1년전보다 3.6% 증가했습니다. 수익성 높은 대체자산 투자확대로 이자수익이 늘었고 이는 투자손익(1442억→3942억원) 확대로 이어졌습니다. 계약서비스마진(CSM)은 9조4000억원입니다. 지급여력비율(K-ICS·잠정치)은 191.8%로 금융감독원 권고기준(130%)과 비교해 안정적인 수준입니다. KB국민카드는 가맹점수수료 인하로 인한 수수료이익 감소, 건전성 관리강화에 따른 대손비용 증가로 누적 당기순이익(2806억원)이 24.2%(898억원) 감소했습니다. KB라이프생명은 3분기 누적 순이익(개별기준)은 2548억원, CSM은 3조1950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이와 함께 KB금융 이사회는 작년 3분기 대비 135원 많은 주당 930원, 총 3357억원의 현금배당을 결의했습니다. KB금융은 올해초 연간 배당총액 상향과 연중 자사주 매입효과가 반영되며 주당 현금배당금 점진적 상향이라는 주주환원 프레임워크 기조를 이어갔습니다. KB금융 재무담당 나상록 상무는 "국내경제 중심축이 부동산에서 자본시장으로 이동하는 전환기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며 그룹 수익 구조의 질적 향상을 추구하겠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정부정책에 발맞춰 유망분야 성장지원과 실물경제 투자를 주도하는 생산적금융의 인프라 역할도 지속적으로 강화하겠다"고 부연했습니다.
인더뉴스(주)/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서울 아 02788/ 등록일 2013년 8월 26일/ 제호: 인더뉴스(iN THE NEWS)/ 발행인 문정태·편집인 박호식, 주소: 서울시 종로구 새문안로92, 광화문오피시아빌딩 1803호
발행일자: 2013년 9월 2일/ 전화번호: 02) 6406-2552/ 청소년보호 책임자: 박호식
Copyright © 2013~2025 인더뉴스(iN THE NEWS) All rights reserved. / 인더뉴스(주)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므로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합니다.
(단, 기사내용을 일부 발췌한 뒤 출처표기를 해서 ‘링크’를 걸어 두는 것은 허용합니다.)
UPDATE: 2025년 10월 31일 21시 20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