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권지영 기자ㅣ LIG손해보험이 KB금융그룹의 품안으로 들어갈 가능성이 커졌다. KB금융은 불과 며칠 전까지만 해도 내부문제와 금융당국의 징계 등으로 후보에서 배제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지만 결과는 반전이었다.
강력한 라이벌이었던 롯데그룹은 KB금융보다 인수가격을 높게 제시했지만, 우선협상대상자에 선정되지 못해 쓴 입맛을 다시게 됐다.
11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KB금융은 ‘금융당국의 자회사 승인 심사를 통과한다’는 조건이 달린 조건부 단독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 우선협상권은 일정기간 배타적으로 유지되며 협상 결과는 오는 28일 전후로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KB금융이 (우선)협상권을 따낸 가장 큰 이유로는 LIG노조의 영향력이 커 보인다. 노조는 유일한 인수대상자로 KB금융만을 꼽은 적이 있는 데다, 롯데그룹에 피인수되는 것을 강력하게 반대해 왔다.
여기에 지난 9일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전 마지막으로 진행됐던 프로그레시브 딜에서 KB금융은 LIG손보 경영권 지분 19.83% 인수가격으로 6400억원을 제시, 금액적인 부분도 어느 정도 충족이 됐다는 평가다.
롯데그룹은 KB금융그룹보다 100억이 많은 6500억원을 제시했지만 우선협상권을 차지하지 못했다. 동양생명·보고펀드는 6000억원 이상의 인수가격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결과는 좋지 않았다.
또한 KB금융은 당초 금융당국으로부터 기관경고 예정통보를 받은 상태로 유력한 후보군에서 제외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금융지주회사 특례조항으로 자격제한을 피할 수 있게 돼 LIG손보를 인수해 자회사로 편입할 수 있게 됐다.
KB금융 관계자는 “자회사로 편입하면 대주주 적격성 승인절차는 생략되고 사업계획과 재무건전성 등 지주회사법상 승인 요건에 대한 심사만 통과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이에 금융당국 관계자는 “승인 여부는 KB금융지주의 경영 상태와 지주사가 그동안 자회사를 어떻게 관리했는지에 대한 경영실태 등급을 평가한다”며 “인수하는 회사의 사업계획서 등이 평가대상”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기관 경고를 받으면 경영실태등급에 마이너스 요인은 되지만, 기관 경고가 인수무산으로 직결되지는 않는다”고 덧붙였다.
KB금융은 앞으로 LIG손보 인수를 위해 총력을 기울이겠다는 입장이다. KB금융 관계자는 “인수절차가 남아있어 신중을 기해 작업할 생각이다”며 “(LIG손보)인수 후에도 별도의 인위적 구조조정을 하지 않고, 좋은 파트너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다”고 말했다.
한편, LIG손보 노동조합지부는 “KB금융 우선협상대상자 선정결과에 일단 환영하는 입장이다”며 “하지만 내부문제가 남아있고 앞으로 고용이나 근로조건을 확인하는 절차를 진행할 것이다. 이번주 내로 이같은 내용을 담은 성명서를 발표할 계획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