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김용운 기자ㅣSK그룹의 제약·바이오사업에 대한 재계의 관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식품의약안전처가 지난 29일 SK바이오사이언스의 '스카이코비원멀티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을 허가하며 명실상부한 국내 최대 제약·바이오기업으로 위상을 굳히고 있기 때문입니다.
SK그룹은 1999년 국내 첫 신약인 3세대 백금착제 항암제인 '선플라'를 개발, 한국 근대의약이 시작된 지 100여년 만에 한국이 신약 주권을 가진 국가로 발돋움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선플라’ 이후 21세기 첫 펜데믹을 불러온 코로나19의 백신 개발에도 성공하면서 SK그룹의 뚝심있는 제약·바이오투자와 개발의 배경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30일 SK에 따르면, SK가 제약·바이오산업 진출 35년 만에 국내 대표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바이오 주권을 확보해 사업보국을 하겠다"는 SK 최종현 선대회장의 선구안과 최태원 회장 및 최창원 부회장 등 SK그룹의 오너 일가의 집념이 밑바탕 되었다는 설명입니다.
SK는 1980년대 주력사업인 섬유산업을 대체할 미래 성장동력을 고민하던 중 통신 외에도 제약·바이오에 관심을 가졌지만, 사업화까지는 쉽지 않았습니다. 당시 제약·바이오업계는 다국적 기업의 신약을 수입해 단순 가공하거나 복제 판매하는 수준에 머물렀던 탓입니다.
그러나 서울대와 미국에서 화학을 전공했던 최 선대회장은 1987년 선경인더스트리 산하에 생명과학연구실을 설립해 합성신약, 천연물신약, 제제, 바이오 등 4개 분야로 나눠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생명연구실은 향후 바이오와 백신, 제제 분야로 특화된 SK케미칼(285130), SK바이오사이언스, SK플라즈마의 모태가 됐습니다.
생명연구실은 1989년 연구소로 확대된 뒤 위암 치료 신약을 1호 과제로 삼고 10년 연구 끝에 1999년 3세대 백금착제 항암제인 '선플라'를 개발에 성공했습니다. 선플라는 국내 최초이자 세계 최초의 위암 치료 신약입니다.
이후 최태원 SK 회장과 최 회장의 사촌 동생인 최창원 SK디스커버리(006120) 부회장이 최 선대회장의 유지를 이어받아 제약바이오 사업을 한 단계 끌어올리는 데 매진했습니다.

특히 최 부회장은 2006년 SK케미칼 대표이사를 맡은 이후 프리미엄 백신개발을 위한 스카이박스(SKYVAX) 프로젝트를 추진했고, 경북 안동에 백신공장을 설립하면서 백신 연구를 이끈 결과 2016년 세계 최초로 세포를 배양, 4개의 바이러스를 예방하는 독감백신 '스카이셀플루'을 개발했습니다.
'스카이셀플루'에 적용한 세포배양 기술은 유정란 백신에 비해 생산 기간이 짧고 효율이 우수해 독감 대유행 상황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는 장점 덕에 독감백신의 패러다임을 바꿨다는 호평을 받았습니다.
이 같은 성과를 기반으로 최 부회장은 2018년 SK바이오사이언스를 설립하고 K-백신 노하우를 고도화시켜 나갔습니다. 코로나19 펜데믹 초기, 빌&멜린다게이츠 재단이 코로나19 백신 개발에 360만 달러의 연구비를 지원한 것도 SK바이오사이언스의 기술력을 높이 산 덕입니다.
최 부회장이 백신에 집중하는 동안 최태원 회장은 신약 개발에 주력했습니다. 최 회장은 SK바이오팜을 설립, 2019년 수면장애 신약 '수노사'와 뇌전증신약 '엑스코프리' 등 신약 2개를 개발, 미 FDA 승인을 받았습니다. 국내 기업 중 신약후보 물질 발굴과 임상, 미 FDA 승인, 마케팅 등을 독자적으로 수행한 신약을 보유한 기업은 SK가 유일합니다.
최 회장은 "바이오 사업을 2030년 이후에는 그룹의 핵심 성장 동력으로 삼겠다"며 SK바이오팜, SK바이오사이언스, SK플라즈마, SK팜테코 등을 설립하며 SK그룹의 제약바이오 관련 사업을 확장했습니다.
최 회장은 2017년 글로벌 제약사 BMS의 아일랜드 생산시설(CMO)과 2018년 미국의 위탁개발·생산업체(CDMO) 앰팩(AMPAC)을 인수했고 글로벌 투자에도 적극적으로 뛰어들어 지난해 프랑스 기업 이포스케시를 인수하며 세포·유전자치료제 분야까지 외형을 확장했습니다.
SK 관계자는 "SK는 향후 5년간 바이오 관련 분야에 최소 6조원 이상을 투자할 계획이다"며 "SK의 바이오 역사는 최종현 선대회장과 최태원 회장, 바이오 연구진들이 리스크를 두려워하지 않고 도전을 거듭하며 이뤄낸 성과인만큼 과감한 투자와 연구를 지속해 K-BIO의 또 다른 신화를 만들어 내겠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식약처는 “이번 '스카이코비원멀티주' 허가를 계기로 앞으로 대한민국 기업이 글로벌 백신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습니다.
안재용 SK바이오사이언스 사장은 “대한민국 1호 코로나19 백신의 개발은 정부와 보건당국, 글로벌 기구와 기업, 연구기관, 그리고 불철주야 백신 개발에 힘써온 우리 구성원들의 노력이 바탕이 됐다”며 “앞으로도 자체적인 기술력과 생산 능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기관들과 협업해 새로운 팬데믹에 선제 대응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