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진은혜 기자ㅣ 주택시장에서 대형건설사 브랜드 선호 현상이 두드러진다. 8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정부 규제, 저금리 기조 등으로 주택시장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확대되면서 비교적 안정적으로 시세를 유지할 수 있는 대형건설사 브랜드 단지로 수요자들이 몰리는 추세다.
통상 대형건설사란 국토교통부가 매년 7월 발표하는 시공능력평가 상위 10개 건설사를 일컫는다. 지난해의 경우 ▲삼성물산 ▲현대건설 ▲대림산업 ▲대우건설 ▲GS건설 ▲현대엔지니어링 ▲포스코건설 ▲롯데건설 ▲SK건설 ▲HDC 현대산업개발이 10위 안에 들었다.
이 건설사들은 브랜드 평판에서도 상위권을 차지했다. 지난 4월 한국기업평판연구소가 국내 건설사 브랜드 평판을 빅데이터로 조사한 결과 ▲힐스테이트 ▲자이 ▲아이파크 ▲푸르지오 ▲더샵 ▲롯데캐슬 ▲꿈에 그린 ▲래미안 ▲e편한세상 ▲SK뷰 등 순으로 집계됐다.
업계 관계자는 “수요자들은 평면, 마감재, 시스템 등 내부 설계를 비롯해 조경, 커뮤니티 등 부대시설이 잘 갖춘 대형 건설사 브랜드 단지를 선호한다”며 “입주 후에도 입주민의 편의를 고려한 서비스가 제공돼 실거주 시 주거 만족도가 높다”고 설명했다,
대형건설사가 공급하는 브랜드 단지의 청약 경쟁률도 높은 편이다. 금융결제원 자료를 보면 2018년 전국에 분양한 대형건설사 브랜드 단지는 평균 20.13대 1의 1순위 청약 경쟁률을 기록했다. 이는 전국 평균 1순위 청약 경쟁률 14.65대 1을 훨씬 상회하는 수치다.
같은 기간 1순위 청약 경쟁률 상위 10개 단지 중 7 곳이 대형건설사 브랜드 단지다. 가장 높은 경쟁률을 기록한 단지는 346.51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한 대림산업의 ‘e편한세상 남산’이다.
동일한 입지에서도 대형건설사 브랜드 여부에 따라 프리미엄에서 차이가 발생한다. KB부동산시세 자료를 보면 삼선물산이 경기 수원시 이의동에 공급한 ‘래미안 광교’(전용 120㎡)는 현재 평균매매시세가 9억 6500만원으로 1년 동안(2018년 4월~2019년 4월) 1억 3000만원 올랐다.
반면 바로 옆 동광종합토건이 시공한 ‘오드카운티’ 전용 121㎡는 같은 기간 8000만원 상승하는데 그쳤다.
업계 관계자는 “대형건설사 브랜드 단지는 안정성과 신뢰성이 높은데다 지방 주택시장에서는 여전히 희소성이 높아 지역 내 랜드마크로 자리잡을 가능성이 크다”며 “실수요자로 재편된 주택시장에서 브랜드 가치는 경쟁 요소로 작용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런 흐름을 타고 대형건설사들이 전국 각지에서 브랜드 단지를 선보일 예정이다. HDC 현대산업개발은 5월 광주광역시 서구 화정동 일대에 ‘광주 화정 아이파크’를 분양한다.
이 단지는 2개 블록 내에 지하 4층~지상 39층(총 8개동), 전용면적 84~216㎡ 아파트 705세대와 전용면적 69~79㎡의 오피스텔 142실 등 총 847세대 규모로 조성된다.
대우건설은 서울특별히 동작구 사당동 일대에 ‘이수 푸르지오 더 프레티움’을 5월에 분양한다. 지하 3층~지상 15층, 전용면적 41~84㎡ 총 514세대 규모로 이 중 153세대를 일반분양한다.
GS건설은 5월 경기도 과천시 과천지식정보타운 S9블록에서 민간참여 공공분양 아파트 ‘과천제이드자이’를 분양한다. 이 단지는 지하 2층, 지상 최고 25층(총 7개 동), 전용면적 49~59㎡ 총 647세대 규모로 공급된다.
현대엔지니어링은 6월 대구광역시 수성구 황금동 일대에 ‘힐스테이트 황금 센트럴’을 분양한다. 힐스테이트 황금 센트를 단지는 지하 1층~지상 30층(총 9개 동) 전용면적 75~84㎡ 총 750세대 규모로 조성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