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권지영 기자ㅣ 금융감독원이 금융소비자의 권익을 침해하거나 불합리한 금융관행 20개를 선정해 개혁에 나선다.
가령, 1조원 이상의 휴면 금융재산을 찾아주고, 보험사가 고객에게 보험금을 잘 지급하고 있는 지에 대한 실태를 점검한다는 내용이 개혁안에 포함돼 있다.
서태종 금융감독원 수석 부원장은 29일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국민체감 20大 금융관행 개혁' 추진과제를 발표했다.
서 수석부원장은 이번 금융개혁 추진 배경에 대해 "우리나라 금융시장에는 금융소비자의 권익을 침해하거나 불합리한 금융관행이 많아 금융경쟁력이 떨어지고 있다"고 며 "소비자 신뢰 회복을 위해 추진한다"고 설명했다.
금감원은 우선 은행과 보험사 등에 1조원 이상에 이르는 휴면 금융재산의 주인을 찾아준다는 계획이다. 예컨대, 보험사의 계약자가 자동차 사고 때 차 보험금만 수령하고 생명보험금은 받지 않는 사례가 많은데, 사고정보와 생명보험사의 건강,상해보험 계약정보를 비교해 보험금을 청구하도록 안내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보험금이 제대로 지급됐는지 여부도 점검한다. 금감원은 보험사들의 지급실태를 살펴본 뒤 내달 중으로 종합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실제로, 지난해 보험금 지급 민원은 1만9000여건으로 전년보다 25.5% 늘었다.
고령자와 유병자, 장애인 등 특수한 금융소비자를 위한 금융상품 개발과 판매를 적극 지원하며, 투자성 금융상품 등에 대한 고령자 전용 판매창구 도입도 검토된다.
이밖에 금감원은 ▲온라인·홈쇼핑·TM영업 등 비대면 채널에서 판매실태 점검 ▲실손보험 가입자의 편의제고를 위해 보험금 청구절차를 간소화 추진 ▲금융상품 통합 비교공시 시스템을 구축 등도 추진해 소비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서태종 수석부원장은 "금융관행 20大 개혁과제는 금감원 민원처리 과정과 금융회사와 소비자와의 간담회를 거쳐 결정된 사항이다"며 "금감원은 과제별 세부 추진계획을 6~7월에 순차적으로 발표하고 업계와 공동으로 태스크포스를 구성해 향후 1~2년 내에 성과를 낼 방침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