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제해영 기자ㅣ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이 본격화하는 가운데, 대학, 지자체, 산업체, 연구기관들이 해양 수도 부산의 미래를 전망하고 성장을 모색하는 행사가 열린다고 18일 밝혔습니다.
국립부경대학교(총장 배상훈)는 오는 7월 21일(월) 오전 10시 부경컨벤션홀에서 ‘해양 수도 부산의 미래 전망 포럼’을 개최합니다.
이날 포럼은 ‘글로벌 해양수도 부산의 미래 전략과 비전’을 주제로 열리며, 배상훈 국립부경대 총장을 비롯해 최용석 국립수산과학원장, 김종덕 한국수산자원공단 이사장, 서종군 부산기술창업투자원장, 김민종 한국해양수산연수원장 등 해양수산 분야 주요 기관장들이 한자리에 모입니다.
이 자리에서 김영춘 전 해양수산부 장관이 ‘해양수도 부산, 조건과 전략’을 주제로 기조 강연을 진행하며, 북극항로, 항만물류, 블루푸드 등 9개의 초청 강연도 이어질 예정입니다.
초청 강연은 동원장보고관 1층에서 진행되며 ▲북극항로에 대응한 부산항의 준비(김은우 한국해양수산개발원) ▲AI기반 항만물류 서비스 전략(양현석 한국항만물류전략연구원) ▲해양에너지 기반 섹터커플링 기술(정남조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형 스마트 크루즈(유다종 팬스타그룹) ▲부산의 글로벌 물류 허브 전략(안태건 국립부경대 교수) 등이 발표됩니다.
이외에도 ▲글로벌 블루푸드 미래리더 양성(김영목 국립부경대 교수) ▲선박 탈탄소화를 위한 친환경 엔진기술(차상배 Everllence Korea Ltd.) ▲심해저 광물자원 개발(김종욱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수산부 PNT 추진현황(전기준 인천지방해양수산청) 등 주제별 강연이 예정돼 있습니다.
배상훈 총장은 “이번 포럼을 통해 대학, 산업체, 연구기관, 지자체 등 다양한 주체가 협력하여 지속 가능한 부산형 혁신 생태계 조성 전략을 논의하고, 부산의 글로벌 해양 허브 도시 도약을 위한 성장 동력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