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Global 글로벌

[방정환의 손 안의 아세안] 인도네시아는 세계 4위 커피 생산대국

URL복사

Wednesday, May 08, 2019, 09:05:11

방정환의 손 안의 아세안4. 자바-만델링-토라자 등 지구촌 커피애호가 사랑

 

[인더뉴스 편집국]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등과 더불어 동남아시아 해양부를 구성하는 인도네시아는 산림, 광물, 천연가스 등 자연 자원이 풍부한 나라로 이름이 높습니다. 하지만 인도네시아가 브라질, 베트남, 콜롬비아에 이은 세계 4위 커피 생산대국이라는 사실을 아는 경우는 많지 않습니다.

 

그 동안 한국에 아프리카 및 남아메리카산 커피가 주로 소개돼 온 까닭이 아닐까 짐작됩니다. 인도네시아어로 ‘kopi(꼬삐)’로 불리는 커피는 인도네시아를 대표하는 천연자원으로 손꼽히기에 부족함이 없습니다. 실제 자바와 만델링, 토라자, 가요 마운틴 등 인도네시아 커피는 오랜 동안 지구촌 커피 애호가들의 사랑을 받아 왔습니다.

 

인도네시아 커피의 유래는 네덜란드에서 처음 커피 나무가 이식된 17세기 말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당시 유럽인들은 예멘의 모카항을 거쳐 베니스 상인들을 중심으로 유통되던 커피의 맛에 빠져들고 있었습니다. 커피의 경제적 가치에 주목한 유럽 국가들은 발아 능력을 갖춘 볶지 않은 상태의 커피 나무를 확보하는데 혈안이 됐습니다.

 

16세기 초 이래 예멘을 점령하고 있던 오스만 투르크의 삼엄한 감시를 뚫고 마침내 네덜란드 상인들이 몇 그루의 커피 묘목을 빼돌렸습니다. 이후 네덜란드는 상업용 목적으로 식민지였던 자바 섬의 바타비아(네덜란드 통치 시절 자카르타 명칭)에 처음 커피 나무를 심었고, 커피 재배는 자바 섬 이곳 저곳으로 빠르게 확산됐습니다.

 

적도에 얹힌 1만7000여개 섬으로 이뤄진 인도네시아는 화산재 지형, 풍부한 강수량 등 커피를 키우는데 적합한 자연환경과 기후를 자랑합니다. 그래서 맛과 향이 뛰어나면서도 개성 있는 커피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조건을 갖췄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하지만 1870년대 발생한 커피 녹병(커피 나무 잎에 곰팡이가 생기는 전염병)으로 인해 자바 섬과 수마트라 섬의 커피 농장들이 대거 황폐화됐습니다. 이후 아라비카 품종보다 병충해에 강한 로부스타 품종 재배에 주력하면서 인도네시아는 세계 최대 로부스타 커피 생산국으로 도약합니다.

 

실제 로부스타 품종은 인도네시아 전체 커피 생산량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세계커피기구에 따르면, 2018년 기준 인도네시아의 커피 생산량은 대략 1150만bag(1bag=60kg) 규모로 집계됩니다. 이 중 60% 가량이 수출되고 나머지는 내수용으로 소비됩니다. 수마트라 섬과 술라웨시 섬을 위주로 자바 섬, 발리 섬, 파푸아 섬 등 사실상 국토 전역에서 커피 나무가 재배되고 있습니다.

 

글로벌화 물결 속에 최근 인도네시아에는 다국적 커피 체인들과 현지 커피업계가 치열한 경쟁을 펼치는 중입니다. 특히 벤처 캐피털의 초기 투자를 등에 업고 대박 신화를 꿈꾸는 커피 스타트업들이 하나 둘씩 등장해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물론 자바 섬 중부의 족자카르타 등에는 달군 숯을 연유 커피에 넣어 마시는 고유의 커피 문화도 남아 있습니다. 또 제3의 도시 반둥 중심부에는 3대에 걸쳐 90년 동안 시장통 한 켠에서 묵묵히 자리를 지켜 온 로스팅숍이 여행객들의 발길을 사로 잡습니다.

 

인도네시아행 항공권을 구입한다면 전통과 현대가 함께 호흡하는 인도네시아 커피의 매력에 빠져보는 건 어떨까요?

 

글쓴이 = 방정환 아세안비즈니스센터 이사 junghwanoppa@gmail.com

 

☞ 방정환은?

 

매일경제신문 기자 출신으로 아세안비즈니스센터 이사로 재직 중이다. 

 

2013년 한국계 투자기업에서 근무를 시작한 이래로 인도네시아와 인연을 이어오고 있다.

 

인도네시아 입문 교양서 ‘왜 세계는 인도네시아에 주목하는가’를 출간했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More 더 읽을거리

정리=박명기 기자 pnet21@inthenews.co.kr

배너

SPC그룹, 허진수 부회장·허희수 사장 각각 승진

SPC그룹, 허진수 부회장·허희수 사장 각각 승진

2025.11.04 10:03:00

인더뉴스 문정태 기자ㅣSPC그룹이 4일 대표이사급을 포함한 고위직 인사를 단행했습니다. 그룹은 글로벌 사업 성장과 미래 전략 추진력을 강화하고, 안전 경영과 이해관계자 신뢰 회복을 가속화하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습니다. 이번 인사에서 허진수 사장은 부회장으로, 허희수 부사장은 사장으로 각각 승진했습니다. 허진수 부회장은 파리크라상 글로벌BU장을 역임하며 파리바게뜨 해외사업을 총괄했고, ‘SPC 변화와 혁신 추진단’ 의장을 맡아 그룹 쇄신체계를 이끌고 있습니다. 허희수 사장은 비알코리아 최고비전책임자(CVO)로 배스킨라빈스와 던킨의 혁신과 글로벌 브랜드 도입, 디지털 전환을 추진했습니다. 도세호 부사장은 사장으로 승진해 파리크라상 대표이사에 선임됐습니다. 도 사장은 비알코리아와 SPC 대표이사를 겸직하며 ‘SPC커미티’ 의장을 맡아 안전·상생 중심의 경영을 주도해왔습니다. 파리크라상 대표였던 경재형 부사장은 수석부사장으로 승진해 SPC삼립 대표이사에 내정됐으며, 김범수 대표와 각자대표 체제로 회사를 운영합니다. 샤니 대표에는 지상호 상무가 내정됐습니다. 그룹은 SPC삼립과 샤니의 경영진 교체가 산업 안전 시스템 강화 목적이라고 설명했습니다. SPC그룹 관계자는 “CEO 중심의 책임경영 체계를 강화해 주요 현안과 안전 분야에서 실행력을 높이고,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겠다”고 말했습니다. ☞ 다음은 인사 내용. ◇ 부회장 승진 ▲ ㈜파리크라상 허진수 ◇ 사장 승진 ▲ 비알코리아㈜ 도세호 ▲ 비알코리아㈜ 허희수 ◇ 수석부사장 승진 ▲ ㈜파리크라상 경재형 ◇ 대표이사 위촉 ■ ㈜SPC삼립 (각자 대표이사) ▲ 경재형 수석부사장 ■ ㈜파리크라상 ▲ 도세호 사장 (겸직) ■ ㈜샤니 ▲ 지상호 상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