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정재혁 기자] 올해 상반기 손보업계 경영실적 집계 결과, 당기순이익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7% 감소했다. 일반보험과 자동차보험의 손해액 증가, 장기보험의 사업비 지출 증가로 보험영업손실이 확대된 데 따른 것이다.
대형 4개사(삼성‧현대‧DB‧KB)의 시장점유율은 작년에 비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형 보험사들의 실적이 향상됐기 때문인데, 자동차보험 부문에서는 대형 4개사의 점유율이 오히려 증가한 모습을 보였다.
금융감독원(원장 윤석헌)이 26일 발표한 ‘2018년 상반기 손해보험회사 경영‧영업실적’에 따르면, 올 상반기 손보사들의 당기순이익은 2조 107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317억원(17.0%) 감소했다.

특히, 보험영업손실이 1조 1132억원에 달하면서 작년 동기 대비 7441억원 확대됐다. 일반보험과 자동차보험의 손해액 증가, 장기보험의 사업비 지출 증가 등이 주요인으로 지목된다.
일반보험의 경우 5030억원 이익을 내긴 했지만, 지난 6월 해외 수력발전소 붕괴 등 고액 사고로 손해액이 증가해 이익규모가 1688억원(25.3%) 감소했다. 장기보험은 1조 6131억원 손실로, 판매 사업비 지출이 증가해 손실 규모가 3560억원 확대됐다.
자동차보험은 31억원 손실을 기록하며 적자 전환했다. 2월 강설‧한파 등 계절적 요인으로 인해 보험금이 증가해 이익규모가 2193억원 감소했다. 다만, 2분기에는 영업이익(361억원)을 시현하는 등 영업손익이 1분기 대비 일부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투자영업이익은 4조 355억원으로 3084억원 늘었다. 영업외손실은 581억원으로 전년 동기와 유사한 수준을 나타냈다.
상반기 시장규모(원수보험료)는 42조 927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조 3805억원(3.3%) 증가했다. 일반보험의 경우 중금리 대출 증가로 개인금융 신용보험 가입자가 늘고, 외국인 단체보험과 휴대폰보험 등의 판매 증가로 2436억원 성장했다.
장기보험도 보장성보험 판매가 증가해 5909억원 증가했고, 퇴직연금도 6419억원 상승했다. 하지만, 자동차보험은 보험료 인하 경쟁 및 온라인 가입자 증가로 959억원 감소했다.

한편, 삼성화재, 현대해상, DB손해보험, KB손해보험 등 대형 4개사의 시장점유율은 66.9%로 전년 동기 대비 1.1%p 하락했다.
일반보험 점유율은 46.3%로 작년 상반기 47.2%에 비해 0.9%p 감소했고, 장기보험(64.4%)과 퇴직연금(78.3%)도 작년에 비해 각각 0.7%p, 5.7%p 감소했다. 다만, 자동차보험의 경우 지난해 상반기 79.9%에서 올 상반기 80.1%로 0.2%p 증가했다.
이와 관련, 금감원 관계자는 “장기‧일반보험 및 퇴직연금 등은 중소형 보험사의 실적 향상으로 대형사 점유율이 하락하고 있다”며 “하지만, 자동차보험은 대형 4개사가 가격경쟁력 등을 통해 높은 시장점유율을 유지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판매채널별 실적은 대리점(GA 등)이 45.7%로 가장 높았다. 그 다음으로 전속설계사(25.9%), 직급(19.2%), 방카슈랑스(7.6%) 순이었다. 일반보험은 주로 단체‧법인계약으로 대리점과 직급의 비중이 높으며, 자동차보험도 온라인채널 성장으로 직급 비중이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