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서울 영등포구 신길동, 마포구 노고산동, 성북구 길음동, 강북구 미아동 등 4곳에 총 4170가구 규모의 아파트가 들어섭니다. 업무시설이 밀집해 있는 중구 무교동 및 명동 2곳에는 새 업무시설이 지어집니다.
5일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 4일 열린 제5차 건축위원회에서 6건의 건축심의를 통과시켰습니다.
통과된 건축심의는 ▲신길제2구역 주택정비형 재개발사업 ▲신촌지역 마포4-10지구 도시정비형 재개발사업 ▲무교다동구역 제31지구 도시정비형 재개발사업 ▲명동구역 제1지구 도시정비형 재개발사업 ▲신길음1 재정비촉진구역 도시정비형 재개발사업 ▲강북3 재정비촉진구역 도시정비형 재개발사업입니다.
재개발 심의 통과 지역 중 신길제2구역(2550가구), 마포4-10지구(295가구), 신길음1구역(405가구), 강북3구역(920가구)은 공동주택 4170가구(공공주택 1045가구, 분양주택 3125가구)가 들어섭니다.
공급가구 규모가 가장 큰 신길제2구역은 영등포구 신길동 일대에 13개동, 지하 4층~지상 49층 규모의 아파트 단지 및 부대복리시설을 짓는 것이 재개발 계획의 골자입니다. 2550가구 중 공공주택은 652가구, 분양주택은 1898가구가 공급됩니다.
마포4-10지구 재개발의 경우 지하철 경의중앙선 서강대역 및 신촌 인근에 자리한 사업지에 4개동, 지하 7층~지하 29층 규모의 아파트가 들어서는 정비사업입니다. 295가구 중 공공주택은 49가구, 분양주택은 246가구로 이뤄집니다. 이와 함께 오피스텔 18실도 들어섭니다.
신길음1구역은 성북구 길음동 지하철 4호선 미아사거리역 일대에 있는 사업지입니다. 사업지는 재개발을 통해 2개동, 지하 8층~지상 46층, 405가구(공공주택 111가구, 분양주택 294가구)규모의 아파트와 판매시설이 공급됩니다.
아울러, 강북구 미아동 지하철 4호선 미아사거리역 일원에 자리한 강북3구역에는 7개동, 지하 5층~지상 37층, 920가구(공공주택 233가구, 분양주택 687가구)의 아파트 단지와 부대복리시설이 지어집니다.
업무시설 및 근린생활시설 재개발 구역으로 계획된 무교다동구역 제31지구는 지하 7층~지상 27층 규모로, 명동구역 제1지구는 지하 8층~지상 24층 규모로 공급될 예정입니다.
서울시는 각 재개발구역과 주변 환경이 어우러질 수 있는 건축안을 제시했습니다. 공공 및 주변시설과의 연결성 및 개방공간, 녹지공간 확보 등을 통한 접근성과 쾌적성도 사업구역별 계획안에 반영했습니다.
한병용 서울시 주택정책실장은 "앞으로 시 건축위원회 심의를 통해 시민들이 요구하는 양질의 공동주택을 공급함과 동시에 건축물의 미관과 안전을 고려한 건축디자인을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