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Policy 정책

대형주 상장 없던 11월 주식 발행액 전월보다 22%↓

URL복사

Wednesday, December 22, 2021, 11:12:42

금감원, ‘11월 중 기업의 직접금융 조달실적’ 발표
지난달 주식 발행액 1조 9287억 원..유상증자는 전월 대비 321.7%↑

 

인더뉴스 정석규 기자ㅣ대규모 기업공개(IPO)가 없었던 지난달 주식 발행 규모가 지난 10월에 비해 약 22% 축소됐습니다.

 

금융감독원은 22일 ‘11월 중 기업의 직접금융 조달실적’을 발표하고 지난달 주식 발행액은 1조 9287억 원이라고 밝혔습니다. 전월 대비 22.4%(5565억 원)가 감소한 수치입니다. 이 기간 유상증자는 늘었지만 대규모 IPO가 없어 발행 규모가 줄었다고 금감원은 설명했습니다.

 

 

지난달 IPO 규모는 2700억 원으로 전달보다 87.1%(1조 8219억 원) 감소했습니다.

 

IPO 건수는 10건으로 전달보다 1건 줄어드는 데 그쳤지만, 상장 기업이 모두 모집금액 1000억 원 미만의 코스닥 상장기업으로 구성된 까닭입니다.

 

지난달 유상증자 규모는 전월 대비 321.7%(1조 2654억 원) 증가한 1조 6587억 원이었습니다.

 

유상증자 건수는 10건으로 삼성중공업(1조 2825억 원) 등 유가증권시장(KOSPI) 상장기업을 중심으로 증자 규모가 확대됐습니다.

 

 

같은 기간 회사채 발행 규모는 17조 5223억 원으로 전월보다 5.1%(8568억 원) 증가했습니다.

 

회사별 발행액은 ▲신한은행 2조 4600억 원 ▲하나은행 1조 5632억 원 ▲국민은행 1조 4923억 원 ▲우리은행 1조 3100억 원 ▲KB국민카드 5700억 원 ▲KB캐피탈 5200억 원 등입니다.

 

회사채 중 일반회사채는 2조 600억 원으로 35.7% 줄었습니다.

 

금감원 관계자는 “회사채가 중·장기채 위주로 발행됐으며 지난 11월 들어 차환·운영자금이 줄고 시설자금 비중이 높아졌다”고 알렸습니다.

 

신용등급은 AA등급 이상 우량물 비중이 91.7%로 확대됐습니다. 이는 비우량물 발행이 전월보다 88% 감소한 영향입니다.

 

금융채 발행액은 13조 1011억 원(187건), 자산유동화증권(ABS) 발행액은 2조 3612억 원(132건)으로 전달보다 각각 8.5%, 70.5% 늘었습니다.

 

주식과 회사채의 발행액 합계는 19조 4510억 원으로 전월보다 1.6% 늘었습니다.

 

 

지난달 기업어음(CP)과 단기사채 발행액은 156조 4978억 원으로 전월 대비 12.6% 증가했습니다. CP 발행 규모는 38조 9600억 원으로 11.7% 줄었으나, 단기사채 발행액이 117조 9479억 원으로 23.8% 늘었습니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정석규 기자 itnno1@inthenews.co.kr

배너

“신세계백화점 본점 폭파” 협박 글에 4000명 긴급 대피

“신세계백화점 본점 폭파” 협박 글에 4000명 긴급 대피

2025.08.05 17:03:13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서울 중구 소공로에 위치한 신세계백화점 본점에 폭발물이 설치됐다는 신고가 접수돼 수천여명의 이용객과 손님이 긴급 대피하는 소동이 벌어졌으나 곧 허위로 밝혀졌습니다. 5일 업계에 따르면 이날 오후 12시 36분께 온라인 커뮤니티 디시인사이드 내 '합성 갤러리'에 '신세계백화점 폭파 안내'라는 제목으로 폭발물을 설치했다는 주장과 함께 테러를 암시하는 글이 올라왔습니다. 게시글의 작성자는 "오늘 신세계백화점 절대로 가지 마라"며 "내가 어제 여기에 진짜로 폭약 1층에 설치했다. 오늘 오후 3시에 폭파된다"고 적었습니다. 이에 남대문경찰서는 1시간여 뒤인 오후 1시43분께 신고를 접수하고 서장의 현장 지휘 아래 매장 직원과 고객 모두를 백화점 밖으로 내보내고 현장을 통제했습니다. 경찰특공대와 소방 당국이 함께 실제 폭발물 설치 여부를 수색한 결과 해당 주장은 사실이 아닌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신세계백화점 측은 "해당 게시글은 경찰조사 결과 허위로 확인됐다. 당사는 해당상황을 전파 받은 즉시 고객과 직원의 대피를 실시했으며 현재 영업 현장은 안전하게 정상 운영 중"이라며 "허위 사실로 사회적 불안을 조성하고 고객의 안전을 위협한 행위에 대해서는 법적 대응을 포함한 강력한 조치를 취할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