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경기도가 오는 2026년까지 사회주택 8550가구를 공급하고 도내 주거 안정화에 나섭니다.
경기도는 14일 ‘2026 경기도 사회주택 기본계획’을 확정하고 기존 임대주택의 문제점 보완 및 도민들의 안정적 주거환경 조성 등을 목적으로 사회주택 8550호를 공급한다고 밝혔습니다.
사회주택은 공공이 보유한 부지를 활용해 민간 사업자가 시세보다 낮은 임대료로 제공하는 공공주택 가운데 하나입니다.
경기도에 따르면, 경기도형 사회주택은 사회적 경제주체가 건축물을 소유해 소득에 상관없이 무주택자 누구에게나 공급하는 장기 임대주택으로 조성될 계획입니다.
기본계획 핵심 비전은 ‘경기도형 사회주택 공급으로 함께 살아가는 공동체 주거문화 확산 선도’로 정해졌습니다. 또, ▲주거복지 정책에 부합하는 사회주택 공급 ▲사회주택 허브 구축과 지역 공동체 활용 ▲공급 확대를 위한 창의적 접근 ▲사회주택 공급 생태계 구축을 추진전략으로 설정했습니다.
또한, 사회주택 8550가구의 경우 ▲신도시 마을형 ▲지역 공동체형 ▲공공주도형 ▲창의 혁신형 등을 공급모델로 설정하고 맞춤형으로 5년 간 공급한다는 계획입니다.
경기도는 사회주택 공급 과정에서 품질과 주거환경이 좋은 주택을 공급하고, 취약계층 해소 및 입주자 지원을 강화한다는 방침입니다. 아울러, 사회주택 지역 허브를 통해 지역 공동체의 사회주택 사업 참여를 높이고, 공급 확대를 위한 창의적 아이디어를 발굴할 예정입니다.
홍지선 경기도 도시주택실장은 “지속적인 사회주택 활성화를 위해 기본계획을 바탕으로 매년 경기도 사회주택 시행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라며 “도민을 위한 보편적 주거복지 실현 및 사회적 가치 실현을 목표로 사회주택 사업을 적극 추진할 것”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