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CJ제일제당(대표 손경식·최은석)이 헬스케어 전문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해 건강사업부를 분사합니다.
CJ제일제당은 건강사업 CIC를 100% 현물출자 방식으로 분할한다고 23일 공시를 통해 밝혔습니다. 신규 법인명은 ‘CJ Wellcare’이며 분할 기일은 내년 1월 1일입니다.
CJ Wellcare는 소비자의 세분화된 건강 문제를 케어하는 스페셜티 제품을 확대하면서, 중장기적으로는 개인맞춤형 건기식 선두주자로 진화해나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CJ의 4대 성장 엔진 중 하나인 ‘웰니스’ 사업을 강화하고, 2025년까지 업계 선두권 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습니다.
CJ제일제당은 2002년 ‘CJ 뉴트라’라는 브랜드로 건기식 시장에 첫 발을 내디뎠습니다. 이후 ‘히비스커스’, ‘히알루론산’ 등 기능성 소재들을 시장에 내놓았습니다. 다이어트(팻다운), 눈건강(아이시안), 피부보습(이너비), 남성 시니어건강(전립소) 등의 기능성 시장은 CJ제일제당이 강점을 갖고 있다는 평가입니다.
특히 유산균의 경우 7년여의 연구 끝에 2013년 업계 최초로 국내 개발 균주(CJLP133)를 식약처로부터 개별인정 받았습니다.
CJ제일제당 측은 “지난 20여년 동안 시장의 변화 속도가 더욱 빨라지고 있다”며 “이에 과감한 의사결정과 추진력이 중요해지면서 식품사업에서 건강사업을 완전히 분리하고 R&D, 마케팅, 영업 전 밸류체인에서 전문성을 높이는 등 구조적 경쟁력을 확보하기로 했다”고 설명했습니다.
CJ Wellcare는 유산균과 스페셜티 제품의 선택과 집중 전략을 통해 시장을 주도하겠다는 방침입니다. 유산균의 경우 독자 개발한 식물성 균주 기반의 100억 CFU(보장균수) 이상 고함량 제품 라인업으로 ‘BYO유산균’ 브랜드 대형화에 나섭니다. 다이어트·면역력 등 차세대 유산균 개발에도 주력합니다.
또 신규 기능성 원료를 발굴하고 이를 활용한 스페셜티 제품의 포트폴리오를 확대합니다. 전립소·팻다운·이너비 등 기존 브랜드에 집중하면서 새로운 기능성 카테고리 제품을 개발할 계획입니다. 이를 위해 건강 R&D(연구개발) 센터를 별도로 두고 빅데이터 분석 및 연구 리서치 기능 등을 강화합니다.
특히 ‘개인맞춤형 건기식 시장’을 겨냥한 사업도 준비합니다. 이미 유전자 분석 데이터를 갖고 있는 EDGC, 케어위드와 협업을 강화해 생애 주기별 개인 맞춤형 건기식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지난 7월 인수한 생명과학 전문기업 천랩을 통해 마이크로바이옴을 활용한 맞춤형 유산균 솔루션도 만들 계획입니다.
장승훈 CJ Wellcare 상무는 “앞으로의 20년은 시장의 혁신과 성장을 주도해 나갈 것”이라며 “CJ의 건강사업 노하우와 R&D 기술력을 바탕으로 미래형 제품을 지속 선보이고 소비자의 건강한 삶을 위한 ‘웰니스 솔루션’을 제공하는 헬스케어 전문 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