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주동일 기자ㅣ 티몬이 작년 실적을 공시했다. 2017과 비교했을 때 매출과 영업손실이 모두 증가했다. 큐레이션 딜 등을 통해 고객 방문 시간·충성도·구매 빈도를 높였지만, IT·방송 플랫폼·물류 인프라 투자 등으로 영업손실도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모바일 커머스 티몬(대표 이재후)은 2018년 매출이 4972억원을 기록했다고 12일 밝혔다. 2017년보다 40% 성장한 액수다. 반대로 1255억원 가량 영업손실을 기록해 전년보다 손실폭이 7% 가량 늘었다.
지난해 산업 통상 자원부가 발표한 온라인 유통업체 평균 매출성장률은 15.9%였다. 티몬의 성장률은 이보다 두 배 이상 높다. 티몬은 이 같은 성과의 원인이 큐레이션 쇼핑의 일종인 타임커머스의 성공·그로서리를 포함한 직매입 사업 안착·충성도 높은 고객 등이라고 분석했다.
◇ 큐레이션 딜, 고객 방문 빈도·시간·충성도 넓혀

큐레이션딜 사업은 2018년 매출 2460억을 달성했다. 2017년보다 36% 성장한 수치다. 티몬은 관련 사업으로 2018년 상반기 몬스터딜·단하루·페어 등 ‘콘셉트가 있는 매장 개념의 큐레이션’을 도입했다.
하반기엔 매시간 정해진 상품을 할인가에 제공하는 타임커머스 매장을 개발했다. 관련 행사로 티몬데이·타임어택·1212타임·티몬 균일가 등을 열었다. 쇼핑 콘텐츠도 단순 이미지·텍스트를 넘어 동영상·라이브쇼 형태로 제공해 재미를 더했다. 이를 위해 TVON Live 등을 활용했다.
티몬은 이 같은 변화로 고객들의 방문 시간대를 넓히고 충성도 높은 고객층을 확대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티몬의 고객 방문 빈도는 2018년 평균 3.5일로 2017년 5.5일보다 40%정도 짧아졌다.
또 티몬에서 물건을 구매하는 고객들은 지난 12개월간 매달 한번씩 티몬의 상품을 산 것으로 나타났다. 월 10만원 이상 지출하는 고객은 2017년 12월 말 30만명에서 2018년 12월 말 40만명으로 33% 성장했다.
이에 이재후 티몬 대표는 “고객분들이 매시간 새로운 상품·조건·큐레이션에 대한 기대감에 자주 앱을 찾고, 충성도 높은 고객 기반이 형성되고 있다”며 “이는 더 좋은 상품·조건·큐레이션으로 연결되는 선순환 구조가 확립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 미디어 커머스·오픈마켓·직매입 성과..영업손실은 투자 때문
미디어 커머스 부문은 모바일 생방송 ‘TVON Live’가 2018년 방송 500회를 돌파했다. 이중 방송 시간 동안 매출 1억원을 넘긴 딜은 40여건이다. 최고 4억원을 돌파한 딜도 등장했다. 티몬에 따르면 월 거래액 100억을 상회하는 채널로 고객·파트너사의 호응도 높아졌다.
티몬의 오픈마켓 분야는 진출 1년 만에 등록 상품 수가 2500만개로 성장했다. 이같은 성과는 구색을 확장하는 데에 일조했다고 티몬은 분석했다. 직매입 사업은 매년 40% 이상 성장 중이다. 티몬은 “최근 급성장하고 있는 모바일 장보기 시장 확대에 힘입은 결과”라고 설명했다.
한편 영업손실은 1255억원으로 2017년보다 7% 정도 높아졌다. 티몬은 “오픈마켓 사업 확대를 위한 기술 투자·사업 조직 확대 등 IT 개발을 위한 투자 때문”이라고 답했다.
또 “미디어 커머스 방송 편성을 위한 제작 스튜디오 설립 등 설비 투자·운영 인력 확보, 하반기 런칭 예정인 C2C 방송 플랫폼 개발 등에서 선제 투자가 이뤄졌다”고 덧붙였다. 식품·생활·PB 매입 역량을 강화하는 과정에서 물류 인프라 구축 관련 투자도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이재후 티몬 대표는 “라이브 플랫폼 구축·오픈마켓 론칭·표준 API 완비 등 미래를 위해 꼭 필요한 선제적 기술 투자를 진행했다”며 “2019년은 타임 커머스 선두 위치를 공고히 하면서 수익 동반 성장의 기틀을 만들 것”이라고 영업손실 개선에 대한 의지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