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박경보 기자ㅣ 현대중공업그룹이 전력시장의 차세대 블루오션인 ‘직류(DC)배전’ 분야의 기술개발을 위해 한국전력과 손을 잡았다. 2027년 484억 달러(약 55조 2800억 원) 규모로 성장할 직류배전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기술 개발에 적극 나선다는 계획이다.
현대중공업그룹은 12일 서울 양재동에 위치한 한전 아트센터에서 한국전력과 '글로벌R&D센터 직류전력 공급기술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차세대 직류배전 방식은 전력변환 과정을 단순화시켜 기존보다 최대 15% 전력 손실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현대중공업은 신축 예정인 글로벌R&D센터에 차세대 직류배전 방식을 적용할 방침이다. 또 현대일렉트릭은 한국전력 전력연구원과 공동으로 1.5MW급 직류 배전망에 대한 기술 및 제품 개발을 진행하기로 했다. 이는 단일 빌딩 기준 세계 최대 규모이다.
미국 기술조사기관인 내비건트 리서치에 따르면, 직류배전 시장은 신재생에너지 발전과 산업용배터리(ESS) 확산에 따른 수요 증가로 시장규모가 지난해 110억 달러(12조 5000억 원)에서 2027년 484억 달러까지 4배 이상 늘어날 전망이다.
현대일렉트릭은 오는 2020년까지 AC/DC컨버터, DC/DC컨버터 등 직류배전에 필수적인 전력변환장치를 개발하고 이를 글로벌R&D센터에 시범 적용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잠재력이 높은 직류배전 시장에 본격 진입한다는 계획이다.
현대일렉트릭 관계자는 "최근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적용에 유리하고 효율이 높은 직류배전 시장이 새로운 블루오션으로 떠오르고 있다"며 "직류배전 시장 선점을 위해 향후 관련 기술 확보에 적극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현대중공업그룹은 그룹의 기술경영 컨트롤타워 역할을 수행할 글로벌 R&D센터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연면적 5만평, 20층 규모로 경기도 성남에 지어지는 글로벌 R&D센터는 2021년 완공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