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Estate 건설/부동산

10대 건설사, 올 상반기 분양 물량 20년새 최대...SK건설만 ‘無’

URL복사

Wednesday, February 06, 2019, 06:02:00

포스코건설, 전국 1만3680가구로 가장 큰 규모..포스코건설이 뒤이어
전문가 “실수요자 중심 시장 형성..분양 양극화 나타날 우려는 존재”

 

 

[인더뉴스 이수정 기자] 설 연휴 이후인 2월 중순부터 국내 건설업계는 치열한 분양 전쟁을 치를 전망이다. 지난해부터 이어진 정부의 부동산 규제와 남북정상회담 등 대형 이슈로 미뤄진 물량이 올해부터 쏟아져 나오기 때문이다.

 

포스코건설이 가장 많은 물량을 준비 중이며 대우건설이 뒤를 잇는다. 10대 건설사 중에는 SK건설이 유일하게 분양 물량을 내놓지 않아 분양대전에 참전하지 않는다. 

 

6일 부동산시장 분석업체 부동산인포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10대 건설사가 공급하는 신규 아파트는 7만1644가구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20년 새 가장 많은 물량으로, 지난 2016년(5만2680가구) 입주 폭탄 우려가 제기됐던 당시보다 2만 가구 가량 많다.

 

이 중 가장 많은 물량을 준비 중인 곳은 포스코건설이다. 포스코건설은 남양주를 비롯, 인천 송도, 부산, 대구 등 전국 12개 단지에 1만3680가구를 공급한다.

 

대림산업은 그 뒤를 이어 전국 11개 단지, 1만1352가구를, 대우건설은 전국 13개 단지에 1만1262가구를 선보인다. 이밖에 GS건설이 7965가구, 롯데건설이 6841가구, 현대엔지니어링이 6725가구, HDC현대산업개발이 5816가구, 삼성물산이 3295가구, 현대건설이 2908가구를 분양할 예정이다.

 

올 상반기에 유독 물량이 많은 이유는 지난해 남북정상회담 등 굵직한 이슈와 더불어 정부의 강력한 부동산 규제 정책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업계 전문가는 “2017년부터 이어진 전방위적 부동산 규제책과 월드컵, 선거, 남북정상회담 등 대형 이슈로 지난해 물량이 대거 밀리면서 올 상반기 유례없는 분양 대전이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다만, 부동산 시장이 하향 곡선을 그리고 있는 만큼 상황에 따라 하반기와 내년으로 연기되는 물량이 생길 수 있다는 게 업계의 전언이다.

 

2월 분양 예정인 ‘남양주 더샵 퍼스트시티’(1153가구)는 올해 남양주의 첫 번째 더샵 브랜드 단지다. 해당 단지는 최근 남양주 진접 일대가 3기 신도시로 지정되면서 수혜 단지로 주목받고 있는 곳이다.

 

특히 이곳은 비조정지역으로 전매나 청약이 비교적 자유로워 실수요자와 투자수요가 대거 몰릴 것으로 예상된다. 대우건설도 내달 인천시 서구 검단신도시 AB16블록에 ‘검단 센트럴 푸르지오’를 선보인다. 지하 2층~지상 29층 16개 동, 총 1540가구로 검단신도시 내 최대 규모다.

 

상반기 지방 분양 시장도 1000가구가 넘는 단지가 예정돼 있다. 오는 3월 HDC현대산업개발은 대전 유성 ‘도안택지개발사업지구 2-1블록’(가칭)에 2560가구를 분양한다. 부산 진구에서는 삼성물산이 2616가구 규모의 ‘연지2구역 래미안’(가칭)을 선보일 예정이다.

 

다만, 이같이 많은 물량 공급이 예정돼 있지만 비역세권 등 경쟁력이 떨어지는 일부 단지는 청약시장에서 외면 받을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정부가 추첨제 물량에서도 무주택자를 우선하는 방안을 내놓으면서 실수요자들 위주의 시장이 형성돼 있기 때문이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가성비를 따지는 실수요자 위주 시장이 형성돼 있는 가운데 고분양가에 대한 민감도가 커진 상황”이라며 “청약 물량은 기존 주택보다 수요가 크겠지만, 비역세권이거나 공급이 이미 많이 이뤄진 지역은 상대적으로 분양 리스크가 존재한다”고 말했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이수정 기자 crystal@inthenews.co.kr

배너

[위기의 HLB] ①‘FDA 쇼크-공매도 쾌재’ 재현…5년전 데자뷔

[위기의 HLB] ①‘FDA 쇼크-공매도 쾌재’ 재현…5년전 데자뷔

2024.05.25 10:00:00

인더뉴스 김대웅 기자ㅣ진양곤 회장이 이끌고 있는 HLB그룹이 또다시 위기에 봉착했다. 이번에도 항암 후보물질 리보세라닙발(發) 악재다. 회사 측이 신약 허가에 대한 기대감을 드높이면서 주가가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았던 터라 충격이 더 컸다. HLB 시가총액은 두달 전 16조원대까지 치솟았다가 현재 6조원대로 쪼그라들었다. 3개월간 공식 IR만 15차례..영업익 2조 제시 24일 한국거래소 및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HLB 주가는 이번 한주 간 24%대의 하락률을 기록했다. 지난주(-33%)에 이어 2주 연속 급락세를 이어간 것. 특히 지난 17일과 20일 이틀 연속 하한가의 충격이 컸다. 주가 변동성이 극심해지자 하루 거래대금이 수천억원에 달할 정도로 개인 투자자들의 관심도 뜨겁다. 지난 21일에는 하루 거래대금이 1조원을 넘어서기도 했다. "천하제일 단타 대회가 열렸다"는 우려 섞인 표현이 등장할 정도다. 진 회장을 비롯해 HLB 측은 올 들어 꾸준히 신약 허가에 대한 자신감을 내비치며 주가 부양의 지렛대 역할을 해왔다. 임상에서 리보세라닙과 캄렐리주맙 병용투여 요법에 부작용이 없다는 점을 강조했고, 3년 내 점유율 50% 이상과 영업이익 2조원대를 기록할 수 있다는 계산도 내놨다. 코스피 이전 상장도 추진하고 있다고 밝히며 기대치를 끌어올렸다. 회사 측은 올 들어 공식 기업설명회(IR)만 15차례를 가졌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는 두 차례에 불과했다. 이같은 배경 하에 HLB 주가는 올 들어서만 최대 150%대 급등세를 나타내며 한때 시총 16조원대의 공룡이 됐다. 주총까진 좋았는데..늘어난 대차거래 지난해 11월부터 전면 금지된 공매도도 주가 방향 전환의 모멘텀이 됐다. 하루 수십억원에 달하던 공매도 물량이 사라지자 주가에 탄력이 붙었다. 일부 손절매하는 숏커버(공매도 상환) 물량도 힘을 보탰다. 하지만 이번 사태로 졸지에 정반대 상황이 펼쳐지게 됐다. 현재도 HLB 공매도 잔고수량은 여전히 300만주를 넘어서고 있다. 지난 16일(하한가 직전일) 기준 공매도 잔고는 3000억원대에 달한다. 1년전 400만여주에 달했던 공매도 수량은 지난해 10월 들어 900만주를 넘어서는 등 가파르게 증가하며 HLB 주가를 짓눌렀다. 이에 진 회장은 적극적인 IR과 홍보 활동으로 기대감을 끌어올리며 주가를 떠받쳤고, 11월 공매도 전면 금지라는 천운이 따라주며 공매도는 급격히 줄기 시작했다. 롱포지션(주가 상승에 베팅)과 숏포지션(주가 하락에 베팅) 간 치열한 힘겨루기 상황에서 신규 공매도가 불가능해지자 롱포지션이 완전한 승기를 잡았다. 지난해 11월 3만원 초반대였던 HLB 주가는 올해 3월말 12만원대까지 치솟았다. 이에 HLB에 투자한 개인들도 환호했다. 주가 급등으로 인해 지난 3월 주주총회장은 축제를 방불케 했다. 리보세라닙 FDA 승인은 기정 사실로 여겨졌고, 주주들은 "우리 고니 하고 싶은 거 다해"(고니=진양곤 회장)라는 플래카드를 내걸며 진 회장을 추켜세웠다. HLB 주가는 주총 직전 고점을 찍은 뒤 현재 반토막 이하로 추락한 상태다. HLB 공매도 잔고는 최근 주가 급락으로 축소됐음에도 여전히 에코프로와 에코프로비엠에 이어 세번째(코스닥)로 많다. 특히 최근 분위기 반전으로 '잠재적 공매도 물량'으로 불리는 대차잔고가 늘고 있다. HLB는 하한가 쇼크 직전일부터 이후 4거래일 동안 120만주가 넘는 신규 대차거래가 발생했다. 상환 수량은 하루 2만~8만 수준에 그친다. 이에 7% 후반대였던 대차잔고비율이 8.5%까지 높아졌다. 코스닥 시장에서 최근 일주일 간 대차거래 체결(주수) 1위 역시 HLB다. HLB생명과학은 74만여주로 3위에 올랐다. 1개월, 3개월 또는 6개월 기준으로 보면 에코프로가 부동의 1위이지만 최근 일주일 사이에는 HLB그룹주가 상위에 랭크되는 모습이다. 현재 국내 주식시장은 모든 종목에 대한 공매도를 금지하고 있지만 예외적으로 LP(유동성 공급자, 주로 증권사)에 대해서는 허용하고 있다. 한편 국내 증시에서는 지난해 11월 금융당국이 올해 6월 말까지 공매도 거래를 중단하는 조치 이후 꾸준히 감소하던 외국인 투자자의 차입 비중이 지난 3월을 기점으로 다시 늘어나는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 '주가 급등 후 쇼크'..5년 전과 닮은꼴 주요 신약 후보물질인 리보세라닙발 쇼크와 그에 따른 공매도 투자자의 환호는 5년 전과 유사한 패턴이다. 지난 2019년 6월 진 회장은 기업설명회를 열고 리보세라닙의 글로벌 임상 3상 결과가 목표치에 도달하지 못했다고 발표하며 시장에 충격을 줬다. 이 발표로 HLB 주가는 이틀 연속 하한가로 내리꽂았다. 주가가 2017년 3배 가량, 2018년 2배 이상 오른 상태에서 일어난 일이다. 당시에는 현재보다 공매도가 더욱 기승을 부리던 시기였다. 발표 전부터 대차거래가 증가세를 보이며 대차잔고비율이 30%를 넘어서기도 했다. 충격적인 발표 내용은 결과적으로 공매도 주체에게 큰 수익을 안겨다 줬다. 그 무렵 신라젠, 헬릭스미스 등 주목받던 바이오주들이 잇달아 실망스러운 임상 결과를 발표했고 공교롭게도 발표 직전 일제히 공매도가 급증해 논란이 일기도 했다. 시가총액 규모가 크고 대규모 공매도 거래가 이뤄지는 바이오주에는 임상 실패 등에 대한 사전 정보 유출 가능성이 끊임없이 제기된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시총이 커진 바이오주들의 경우 임상이나 승인 결과가 실망스럽게 나오면 주가가 급락해 공매도로 단기간 큰 이익을 보는 경우가 많다"며 "과거 바이오주들의 실패 발표 전 공매도 급증은 공교로운 측면이 많았다"고 지적했다. 한편, HLB는 지난해 1250억원의 영업손실과 2060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지난 5년간 누적 적자(연결 영업손익 기준)는 4100억원을 넘어선다. 운영비를 충당하고 자본 규모를 유지하기 위해 회사는 매년 전환사채(CB)나 신주인수권부사채(BW)와 같은 메자닌을 발행하거나, 3자배정 유상증자 또는 주주배정 유상증자를 통해 자금을 조달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HLB는 리보세라닙에 대한 첫 투자 이후 16년째 연구개발을 이어오고 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