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김현우 기자ㅣ #. 세종시(세종특별자치시) 주민인 A씨는 운전할 때 각별히 신경을 쓴다. 주변에서 교통사고를 당했다는 이야기를 자주 듣기 때문이다. 세종시를 조금만 벗어나는 외곽으로 갈수록 도로사정이 매우 좋지 않아 운전을 더욱 조심하게 된다. 이 때문에 시간이 지날수록 A씨의 불안감은 커지고 있다.
세종시의 자동차종합보험 손해율이 지난 수년 동안 전국 평균을 웃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12년 행정도시로 공식 출범되면서 신도시로 개발돼 도로사정이 좋을 것으로 예상되는 세종시에서 자동차보험 손해율이 높은 이유는 무엇일까?
16일 인더뉴스가 보험개발원이 발간한 보험통계연감을 분석한 결과, 지난 5년 간(2013년~2017년) 세종시의 자동차종합보험 손해율이 전국 시·도 평균 자동차종합보험 손해율보다 평균 5.2%p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13년부터 2017년까지 전국 평균 손해율은 ▲79.5%(2013) ▲86.6%(2014) ▲84.9%(2015) ▲77.3%(2016) ▲74.1%(2017)다. 이에 비해 세종시 손해율은 ▲88.7%(2013) ▲92.9%(2014) ▲88.7%(2015) ▲79.7%(2016) ▲78.2%(2017)로 전국 평균 손해율보다 높다.

자동차보험 손해율은 전체 자동차보험 가입자로부터 받은 수입보험료에서 지급한 보험금을 나눈 비율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상황·날씨 등에 의해 교통사고가 증가할수록 지급한 보험금이 늘어나기 때문에 차 손해율도 높아진다.
손해율이 높은 배경에는 도로폭과 도농복합도시적 특성 등이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세종시는 신도심보다 구도심의 면적이 더 크며, 신도심을 중심으로 인근에 조치원읍·금남면·연동면·장군면 등 농촌 지역으로 구성된다. 구도심으로 갈수록 도로 사정은 안 좋아지고, 교통사고에 취약한 노인인구 비율이 높은 편이다.
한 손해보험사 관계자는 “세종시가 차량 수에 비해 도로폭이 좁은 편이고, 도농복합도시라서 조금만 시 외곽으로 벗어나도 도로의 상태가 급격히 나빠진다”며 “이로 인해 사고 빈도가 높고 그에 따라 손해율도 높아졌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높은 자동차종합보험 손해율은 교통사고 사망자 수와도 연관이 깊다. 교통사고가 많이 발생할수록 보험사가 보험금을 지급해야 할 경우가 늘어나기 때문이다.
최근 3년 간(2015년~2017년) 특·광역시(서울·인천·부산·대구·울산·광주·세종)별 교통사고 관련 통계에 따르면, 세종시의 인구 대비 교통사고 발생 비율이 0.026%로 서울(0.011%)보다 두 배 이상 높았다.
또, 등록차량 기준 교통사고 사망자수비율도 0.057%로 가장 낮은 인천(0.029%)보다 두 배 가량 높은 수치로 1위를 기록했다. 보험업계 한 관계자는 “전국 평균보다 높은 세종시의 자동차종합보험 손해율은 세종시의 높은 교통사고 사망자 발생 비율과 연관이 있어 보인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세종시 교통안전업무 관계자는 “대부분의 사고는 신도심보다 구도심에서 많이 발생한다”며 “구도심은 아직 신도심만큼 교통환경이 잘 갖춰져 있지 않기 때문이다”고 설명했다.
한편, 세종시는 올해 교통안전정책을 계획하고 있다. 지난 10일 세종시는 2022년까지 자살·교통사고 등 5대 안전 분야 사망자 50% 감축을 위한 재난안전관리체계를 구축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세종시 교통안전업무 관계자는 “도로교통안전에 취약한 구도심을 중심으로 오는 2월부터 어린이·노인 등 보호구역 전수조사에 들어간다”며 “이와 함께, 과속단속카메라와 같은 교통안전시설 등을 늘려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교통사고 등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안전보건공단·교통안전공단과 상호 업무협약도 체결해 사고예방과 사망자 감축에 선제적으로 협력 대응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