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주동일 기자ㅣ SKT가 5G시대를 맞아 모빌리티 사업 확장을 위해 보폭을 넓히고 있다. 국내외 유수의 모빌리티 기업들과 맞손을 잡으며 시장 선점에 적극 나섰다. 박정호 SKT 사장은 CES2019의 CEO 기자간담회에서 모빌리티 산업의 중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SKT는 9일(현지시각) 미국 3대 자율주행 기업인 죽스·모빌리티 기업 디에이테크놀로지와 손을 잡았다. 이어 국내 최고 자율주행 전문가라 불리는 서승우 교수가 창립한 토르드라이브와 자율주행 서비스 제공키로 했다.
◇ SK텔레콤, 국내외 모빌리티 기업과 국내 5G 자율주행 서비스 상용화 추진
SK텔레콤(대표이사 사장 박정호)이 국내외 모빌리티 기업과 손잡고 국내 5G 자율주행 서비스 제공을 위한 협력에 나선다. SK텔레콤은 미국 3대 자율주행 기업 죽스(Zoox), 모빌리티 기업 디에이테크놀로지와 3자 MOU를 맺었다.

SK텔레콤은 CES 2019가 열린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죽스(Zoox·창립자 제시 레빈슨), 디에이테크놀로지(대표이사 박명관·이현철)와 3자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협약 목적은 자율주행 기술 개발·사업화다.
체결식엔 박정호 SK텔레콤 사장, 존 포스터(John Foster) 죽스 최고재무책임자, 이현철 디에이테크놀로지 대표이사 등이 참석했다. 3사는 국내에서 5G 자율주행 서비스 상용화를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이에 SK텔레콤과 디에이테크놀로지는 국내 서비스 개발·운영을 추진한다. 죽스는 이에 필요한 자율주행 기술 개발·고도화를 맡을 예정이다. 3사는 국내에서 ▲교통 약자 대상 자율주행 서비스 ▲자율주행 기술을 적용한 보안·관제 서비스 ▲자율주행 로봇 택시 등을 준비할 계획이다.
죽스는 2014년 미국 실리콘밸리에 설립한 자율주행차 제조·관련 소프트웨어 개발 기업이다. 구글 웨이모·GM 크루즈와 함께 최고 수준의 자율주행 기술을 보유했다. 현재까지 유치한 투자금은 총 7억 9000만달러(약 8800억원). 블룸버그가 작년 평가한 기업가치는 32억달러(3조6000억원)다.
죽스는 작년 12월 말 미국 캘리포니아주로부터 자율주행차 시험 운행에 일반인 승객을 태울 수 있도록 허가를 받은 첫 기업이다. 지속적인 시험 운행을 통해 오는 2020년까지 자율주행 로봇 택시를 상용화할 계획이다.
디에이테크놀로지는 전기차에 필요한 2차 전지의 제조 설비를 생산하는 코스닥 상장기업으로 2000년 설립됐다. 최근 사업 다각화와 미래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해 버스 공유 플랫폼 ‘e버스’ 개발·운영사인 위즈돔에 전략적 투자를 단행했다.
SK텔레콤은 “자율주행 등 4차 산업혁명 분야에서 장벽 없는 협력은 기업의 선택이 아닌 생존을 위한 필수 요건이다”며 “앞으로도 기업의 국적과 규모를 막론하고 죽스, 디에이테크놀로지 같은 역량 있는 파트너와 협력을 지속 강화해 자율주행 분야를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 SK텔레콤, 자율주행차 전문가 집단과 한국형 5G 자율주행 서비스 시동

SK텔레콤은 국내 최고 자율주행 전문가로 손꼽히는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서승우 교수가 창립한 토르드라이브(대표 계동경)와 국내 5G 자율주행 서비스 제공 협력에 나선다. SKT의 5G V2X, HD맵 업데이트 등과 토드드라이브의 소프트웨어, 솔루션 등을 결합할 예정이다.
SK텔레콤은 9일 오후(현지시각) CES 2019가 열린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토르드라이브와 ‘자율주행 사업 개발·기술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체결식에는 장유성 SK텔레콤 AI·Mobility사업단장, 서승우 토르드라이브 창립자 등이 참석했다.
두 회사는 국내에서 ▲서울 도심 혼잡지역 대상 자율주행 셔틀 차량 구축 ▲도서 산간 지역 교통 약자를 위한 자율주행 로봇 택시 공급 ▲물류·배송 기업과 연계한 ‘라스트 마일(고객에 상품을 배송하는 마지막 구간)’ 자율주행 배송 등 다양한 서비스 상용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SK텔레콤은 5G 차량통신기술(V2X)·HD맵 업데이트·차량 종합 관리 서비스(FMS) 등의 기술을 고도화할 예정이다. 토르드라이브는 자율주행 기술·소프트웨어 개발, 무인 자율주행 솔루션 고도화, 자율주행차량 공급·개조 등을 담당하기로 했다.
토르드라이브는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서승우 교수와 제자들이 ‘15년 창립한 스타트업으로 현재 미국 실리콘밸리 중심으로 활동 중이다. 이들이 앞서 만든 자율주행차 ‘스누버’는 여의도 등 복잡한 서울 도심을 3년 간 6만km 이상 무사고로 주행하며 기술력을 입증한 바 있다.
토르드라이브는 2017년 말 미국에 법인을 설립했다. 2018년 11월 미국의 글로벌 건축자재 유통기업인 에이스 하드웨어(Ace Hardware)와 자율주행 택배 서비스를 시작하는 등 발빠른 행보를 보여 왔다.
SK텔레콤은 “치열한 각축전이 벌어지고 있는 자율주행 분야를 선도하려면 토르드라이브 같은 전문가 집단과의 협력이 필수”라며 “앞으로도 모빌리티 분야에 전문적 역량을 가진 다양한 파트너와 협력해 자율주행 생태계를 구축해 나가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