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삼성전자가 12조원대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부진했던 2분기의 실적을 딛고 일어섰습니다.
삼성전자[005930]는 연결 기준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이 12조1000억원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31.81%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14일 공시했습니다.
지난해 2분기 영업이익(10조4400억원) 이후 5분기 만에 10조원대로 들어선 것으로, 2022년 2분기(14조1000억원) 이후 3년 만의 최대치 기록입니다.
매출액은 86조원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8.72% 늘었으며 분기 최초로 80조원을 넘는 분기 사상 최대 매출 기록을 세웠습니다.
삼성전자의 3분기 실적 개선은 부진하다고 평가받았던 직전 분기에 비해 눈에 띄게 개선되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합니다. 영업이익은 전 분기(4조6800억원) 대비 무려 158.55% 증가했으며 매출 역시 전 분기(74조5700억원) 대비 15.33% 상승했습니다.
이번에 발표된 잠정 실적에서는 부문별 세부 실적이 공개되지는 않았습니다. 증권업계는 삼성전자의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이 최대 6조원에 달하는 영업이익을 내면서 삼성전자의 3분기 '어닝 서프라이즈'를 이끈 것으로 분석합니다.
DS 부문은 지난 2분기 미중 무역규제의 영향으로 대규모 재고 자산 평가 충당금이 발생하면서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절반가량 줄며 휘청인 바 있습니다. 하지만 이번 분기에 들어서며 AI 데이터센터 등 AI 산업의 급성장으로 D램 가격 상승, 고대역폭메모리(HBM) 수요 증가 등으로 인해 반도체 산업이 성장 흐름을 탄 것입니다.
특히, '겨울이 다가온다'와 같은 표현으로 '반도체 저승사자'로 불리던 글로벌 투자은행 모건스탠리가 이러한 산업 흐름을 바탕으로 삼성전자를 메모리 업종 '최선호주(Top Pick)'로 꼽기도 했습니다.
세 분기 연속 2조원이 넘는 적자를 기록한 비메모리 분야도 파운드리 가동률 상승에 힘입어 3분기에는 적자가 약 1조원으로 감소한 것으로 추산됩니다.
모바일경험(MX)·네트워크 사업부는 3조원대 영업이익을, 디스플레이는 1조1000억~1조2000억원, TV·가전은 3000억~4000억원, 하만은 9000억~1조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한 것으로 보입니다.
삼성전자의 실적 반등세는 향후에도 지속될 예정입니다. 그간 진전이 없던 HBM 공급에서 활로를 찾으며 본격적인 공급에 들어설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입니다.
삼성전자는 엔비디아에 5세대 HBM인 HBM3E 공급을 눈앞에 두고 있으며 6세대 HBM4의 공급 인증 절차도 순항 중인 것으로 전해집니다.
또한, 협력 관계인 AMD가 챗GPT의 개발사인 오픈AI와 대규모 그래픽처리장치(GPU) 공급 계약을 맺으면서 HBM 공급도 함께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