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B·U·G News 부·울·경 뉴스 B·U·G 부·울·경 뉴스

부산대, 영재학생 대상 SW·AI 멘토링데이 성료

URL복사

Wednesday, November 06, 2024, 18:11:14

다양한 직업 체험과 진로 탐색 기회 제공

 

인더뉴스 제해영 기자ㅣ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소장 김정섭)는 경남·경북·대구·부산·울산 지역 초등 및 중고등 영재학생과 학부모, 교사 150명을 대상으로 진로 설정을 지원하기 위해 지난 10월 27일과 이달 2일 양일간 ‘SW·AI 전문가 멘토링데이’를 개최했다고 6일 밝혔습니다.

 

이번 행사는 교육부의 ‘영재키움 프로젝트’ 일환으로, SW와 AI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를 초청해 ‘꿈’을 주제로 학생들의 적성과 흥미를 고려한 진로 특강을 진행했습니다. 이 행사는 경남 김해 진영금병초등학교와 대구 창의융합교육원에서 각각 열렸습니다.

 

지난 10월 27일 김해 진영금병초등학교에서는 반려동물 전문가, 아나운서, 웹툰 작가 등 다양한 직업군을 초청해 영재학생들이 전문 직업인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했으며, 레크레이션과 LED 랜턴 만들기, 캐릭터 꽃병꽂이 등의 특강도 함께 진행됐습니다.

 

이달 2일 대구 창의융합교육원에서는 AI를 활용한 음악 작곡과 이모티콘 디자인, 에너지 하베스팅 등 직업 체험 프로그램이 제공됐습니다. 또한 라인 트레이서 레이싱과 오는 2025년 도입될 AI 디지털 교과서 설명, 청소년을 위한 마인드셋 특강도 진행돼 학생들의 큰 관심을 모았습니다.

 

김정섭 부산대 교육발전연구소 소장은 “이번 멘토링 행사가 영재학생들이 다양한 직업세계를 경험하고 적성을 찾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부산대는 앞으로도 학생들이 창의융합형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양질의 프로그램을 제공하겠다”고 말했습니다.

 

부산대 영재키움 프로젝트는 오는 11월에 영재학생들과 함께 과학고 및 영재학교를 견학하는 멘토링 프로그램을 이어갈 예정이며, 경상권역 영재교육지원서비스를 확대해 멘토교사 지원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운영할 계획입니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제해영 기자 helloje@hanmail.net

배너

노벨문학상 한강 “문학은 생명 파괴하는 모든 행위에 반대되는 위치에 서 있다”

노벨문학상 한강 “문학은 생명 파괴하는 모든 행위에 반대되는 위치에 서 있다”

2024.12.11 11:14:16

인더뉴스 김용운 기자ㅣ소설가 한강(54)이 10일(현지시간) 스웨덴 스톡홀름의 콘서트홀(Konserthuset)에서 열린 '2024 노벨상 시상식'에 참석해 칼 구스타프 16세 스웨덴 국왕으로부터 노벨상 메달과 증서(diploma)를 받았습니다. 한강은 아시아 여성 최초이자 한국 문학사상 처음으로 노벨문학상 수상자로 선정되어 세계적인 작가 반열에 올랐습니다. 한강은 역대 121번째이자 여성으로는 18번째 노벨문학상 수상자가 됐습니다. 한림원 종신위원인 스웨덴 소설가 엘렌 맛손은 시상에 앞선 5분가량의 연설에서 한강의 작품들에 대해 "형언할 수 없는 잔혹성과 돌이킬 수 없는 상실감에 대해 말하고 있다"며 "궁극적으로는 진실을 추구하고 있다"고 평했다. 한강은 시상식 후 열린 연회에서 "문학작품을 읽고 쓰는 일은 필연적으로 생명을 파괴하는 모든 행위에 반대하는 일"이라고 영어로 수상 소감을 밝혔습니다. 이날 한강과 함께 물리학상 존 홉필드(91)와 제프리 힌턴(76), 생리의학상 빅터 앰브로스(70)와 게리 러브컨(72), 화학상 존 점퍼(39)와 데미스 허사비스(48), 데이비드 베이커(62)가 메달을 받았습다. 경제학상은 다론 아제모을루(57), 사이먼 존슨(61), 제임스 로빈슨(64)이 수상했습니다. 다음은 한강의 노벨문학상 수상 소감 전문입니다. 폐하, 왕실 전하, 신사 숙녀 여러분. 제가 여덟 살이던 날을 기억합니다. 오후 주산 수업을 마치고 나오는데 갑자기 하늘이 열리더니 폭우가 쏟아졌습니다. 비가 너무 세차게 내리자 20여 명의 아이들이 건물 처마 밑에 웅크리고 있었습니다. 길 건너편에도 비슷한 건물이 있었는데, 마치 거울을 들여다보는 것처럼 처마 밑에 또 다른 작은 군중이 보였습니다. 쏟아지는 빗줄기, 제 팔과 종아리를 적시는 습기를 보면서 문득 깨달았습니다. 저와 어깨를 맞대고 서 있는 이 모든 사람들, 그리고 건너편에 있는 모든 사람들이 저마다의 '나'로 살아가고 있었다는 것을요. 저와 마찬가지로 그들 모두 이 비를 보고 있었습니다. 제 얼굴에 촉촉이 젖은 비를 그들도 느끼고 있었습니다. 수많은 1인칭 시점을 경험하는 경이로운 순간이었습니다. 글을 읽고 쓰면서 보낸 시간을 되돌아보니 이 경이로운 순간이 몇 번이고 되살아났습니다. 언어의 실을 따라 또 다른 마음 속 깊이로 들어가 또 다른 내면과의 만남. 가장 중요하고 긴급한 질문을 실에 매달아 다른 자아에게 보내는 것. 그 실을 믿고 다른 자아에게 보내는 것입니다. 어렸을 때부터 저는 알고 싶었습니다. 우리가 태어난 이유. 고통과 사랑이 존재하는 이유. 이러한 질문은 수천 년 동안 문학이 던져온 질문이며, 오늘날에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우리가 이 세상에 잠시 머무는 것의 의미는 무엇일까요? 무슨 일이 있어도 인간으로 남는다는 것은 얼마나 어려운 일일까요? 가장 어두운 밤, 우리가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는지 묻는 언어, 이 지구에 사는 사람들과 생명체의 일인칭 시점으로 상상하는 언어, 우리를 서로 연결해주는 언어가 있습니다. 이러한 언어를 다루는 문학은 필연적으로 일종의 체온을 지니고 있습니다. 필연적으로 문학을 읽고 쓰는 작업은 생명을 파괴하는 모든 행위에 반대되는 위치에 서 있습니다. 문학을 위한 이 상이 주는 의미를 이 자리에 함께 서 있는 여러분과 함께 나누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