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Electronics 전기/전자 B·U·G News 부·울·경 뉴스

“상용화되면 반도체 업계에 파란...국내서 결실 맺기를 바라”

URL복사

Monday, October 07, 2024, 06:10:00

㈜태성환경연구소 정혁제 실장 인터뷰

인더뉴스 제해영 기자ㅣ국내 중소기업이 고성능을 구현할 수 있는 차세대 D램의 새로운 설계 기술 개발에 성공했습니다. ‘악취’ 관련 기업으로 시작한 이 기업은 27년이 지난 현재에는 반도체 설계라는 영역으로까지 진출해 가시적인 성과를 보이게 된 것인데요. 이 회사의 정혁제 실장을 만나 얘기를 들어봤습니다.

 

▲ “가장 먼저, ㈜태성환경연구소라는 회사명이 다소 생소합니다. 반도체 설계가 주력 사업분야는 아닌 걸로 알고 있는데요. 간략히 회사 소개를 해주세요.”

 

- “태성환경연구소(이하 태성)는 1997년 창립 이후 악취 연구분야에서 시작해 탄소중립과 센서 기술까지 광범위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기술을 선보이며 지속적으로 성장해왔습니다. 기술력의 토대는 26년간의 지속적인 연구에서 나온 노하우를 기반으로 한 것입니다.”

 

▲ “환경전문 중소기업으로 볼 수 있겠는데요. 국내외 대기업의 전유물이라고 할 수 있는 반도체 설계를 하게 된 계기 혹은 근간을 알고 싶습니다.”

 

- “태성은 반도체 개발을 위한 나노 FAB센터, 반도체 칩 설계 기술센터, 센서 개발 센터 3곳을 운용하고 있습니다. 이중 나노 FAB센터에서는 수소센서, PID 센서, 반도체센서, NDIR 센서 등 다양한 센서의 국산화 개발에 주력해 왔습니다. 이곳에는 반도체 8대 공을 수행하기 위한 장비가 구축돼 있으며, 나노 공정을 수행할 수 있는 노하우 및 기술을 축적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반도체 칩 설계 기술센터에서는 D램 반도체의 용량과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소자 및 소자 설계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데요. 다양한 설계 툴(HFSS, OrCad, Tcad, EDA)을 활용해 1테라급 D램 반도체 및 SCM(Storage Class Memory) 반도체를 설계하여 IP를 확보, 기술이전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센서 개발 센터는 비메모리 반도체를 설계하고 나노 공정을 통해서 제품을 제조할 수 있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스마트 센서·바이오센서·광센서 등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 모든 것들이 태성이 새로운 반도체 기술 개발에 성공한 배경이 됐습니다.

 

또한, 이 연구소들의 전문가 팀들이 오랜 연구와 개발을 통해 130개 이상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 “태성이 새롭게 개발한 D램 기술의 핵심적인 장점은 무엇인가요?”

 

- “가장 큰 특징은 반도체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는 겁니다. 더 작은 크기로도 더 많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게 되면서, 예전에는 16Gb 밖에 저장하지 못했던 D램이 앞으로는 32Gb까지 저장할 수 있게 됩니다. 이는 같은 크기에 용량이 두 배로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또한, 저전력기술을 통해서 전기를 덜 사용합니다. 전기를 덜 쓰니까 더 경제적이고, 환경에도 더 좋습니다.”

 

 

▲ “그리고, 또 다른 특징은요?”

 

- 또한, 반도체의 생산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같은 시간에 더 많은 반도체를 제조하는 게 가능해지면서 생산성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거지요. 아울러, 현재 붐을 일으키고 있는 HBM, 차세대 기술인 3D에 응용이 가능합니다. 이를 통해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반도체 생산 기업의 수익성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 “새로운 반도체 기술에서 가장 강조하고 싶은 점은 무엇인가요?”

 

- “우리의 기술은 무어의 법칙을 계승해 효율성과 용량에서 놀라운 개선을 이뤄냈다는 점입니다. 또한 셀 면적을 줄이고 데이터 저장 용량을 2배 이상 대폭 증가시켜 성능과 효율성을 동시에 꽤할 수 있습니다. 이는 반도체 시장에서의 기술적 우위를 확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특히, 실제로 반도체 생산에 적용될 경우, 비용 절감을 통한 생산성 증대로 기업의 경제적 성과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향후 기대할 수 있는 부분은 무엇이 있을까요?”

 

- “HBM 및 3D 기술과의 호환성을 통해 시장 점유율을 확대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적 우위는 경쟁사와의 차별화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시장에서 주도적인 위치를 확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와 함께 데이터 센터, AI, 머신러닝, 자율 주행차 등 고성능 애플리케이션에서 요구하는 높은 메모리 성능을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의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습니다. 이러한 차세대 D램 기술의 도입은 글로벌 메모리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을 촉진하며, 기업들이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입니다.”

 

 

▲ “마지막으로, 바라는 점이 있다면 말씀해 주세요.”

 

- “태성환경연구소가 개발한 새로운 D램 기술이 상용화된다면 글로벌 반도체 시장에 큰 파장을 일으키게 될 거라고 봅니다. 이 기술은 전력 소모를 줄이고, 생산 속도를 높이며, 데이터 저장 용량을 크게 늘림으로써 반도체의 성능을 대폭 향상시키게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아쉽게도 태성은 D램 반도체 기술을 가지고 있지만, 제품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지는 못합니다. 기술 이전을 위해 국내외 여러 기업들과 만나고 있는데, 가급적이면 한국에서 결실을 맺을 수 있으면 더 좋겠다는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 관련 기사 

 

- “기존 D램보다 성능 2배↑”…국내 중소기업, 반도체 ‘新기술’ 만들었다

중소기업이 D램 신기술을 개발했다고?…무엇을, 어떻게?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More 더 읽을거리

제해영 기자 helloje@hanmail.net

배너

G마켓, 1시간 한정 특가 방송 ‘오늘만산다’ 인기…MZ 취향 노린다

G마켓, 1시간 한정 특가 방송 ‘오늘만산다’ 인기…MZ 취향 노린다

2025.09.02 09:30:12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G마켓은 한정 특가 라이브방송 '오늘만산다'가 '1시간 한정 특가 방송, 품절 시 방송 조기 종료'라는 포맷을 기반으로 회당 평균 거래액 약 2억원을 기록, 신규 고객 유입 효과를 입증했다고 2일 밝혔습니다. '오늘만산다'는 G마켓의 라이브방송 채널인 'G라이브'에서 새롭게 선보인 프로그램으로 생활밀착형 상품 총 10종을 엄선해 1시간 동안 특가에 판매합니다. 방송 중 준비 수량이 모두 소진되면 조기 종료합니다. 지난 3월 론칭한 이후 지금까지 총 14회 방송을 진행했으며 방송 1시간 동안 평균 거래액은 1억9000만원, 회당 평균 조회수는 77만뷰에 달합니다. 특히, 구매고객 중 2030세대 비중은 35%로 G라이브 전체 평균(30%)보다 5%p 높아 MZ세대에게 반응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늘만산다' 역대 최고 실적은 지난 달 25일자 '신학기 시즌' 방송으로 1시간 동안 9억원이 넘는 판매고를 달성했습니다. 당시 신학기 개강일에 맞춰 노트북, 조립형 PC, 컬러복합기 등 디지털기기를 중심으로 인기 상품 10종을 최대 56% 할인가에 판매했고 1시간 내 대부분의 품목이 매진됐습니다. 'MSI 게이밍 노트북'은 방송 개시 10여분 만에 준비 수량이 매진됐고 추가 주문 요청에 따라 당초 목표 판매량 대비 4배 이상 판매되는 기록을 세웠습니다. '오늘만산다' 방송을 통한 신규 가입자 수는 G라이브 평균 대비 6배 높은 수준으로 신규 고객 유입 효과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G마켓 관계자는 "짧은 시간 안에 긴장감을 주는 방송 포맷과 최근 MZ세대를 중심으로 유행하는 '헝거마케팅'(시간, 수량 등을 제한해 소비욕구를 일으키는 마케팅)을 살린 기획력이 성공적으로 맞물리며 흥행을 기록하고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