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Car 자동차

[인더 드라이빙] KGM 액티언…2세대로 컴백한 ‘도심에 어울리는’ SUV

URL복사

Thursday, August 22, 2024, 13:08:29

감각적인 디자인..심플함·편의성에 초점 맞추고 개발
조용하고 안전성 높인 주행감..'도심형 SUV' 최적화
3000만원대 중형 SUV..히트작 '토레스 열풍' 이어갈까

 

평택=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KG모빌리티(이하 KGM)는 최근 '실용적 창의성'을 새 브랜드 전략으로 내놓았습니다. 기존 강하고 튼튼한 SUV를 생산하는 회사라는 이미지를 넘어 다양한 고객을 흡수하겠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는데요. 새로운 전략 하에 첫 번째 모델로 개발한 중형 SUV '액티언'의 실물이 공개됐습니다.

 

액티언은 자동차에 관심 있는 누구에게나 익숙한 이름일텐데요. 지난 2005년 쌍용자동차(KGM 전신) 시절 스포츠 유틸리티 쿠페 형태의 SUV 모델로 나온 적이 있기 때문입니다. 1세대 모델이 2011년 단종됐으니 거의 13년 만에 2세대 모델이 나온 셈입니다.

 

지난 20일 KGM은 평택 본사에서 '트랜스포메이션 데이'를 통해 '실용적 창의성'의 구체적인 플랜을 발표하고 액티언의 실물 공개 및 시승 행사를 진행했습니다. 이날 KGM은 액티언의 개발 모토를 '아름다운 실용주의'로 소개하고 프리미엄 스타일과 합리성을 동시에 갖춘 야심작이 될 것이라고 자신했습니다.

 

 

감각적인 디자인..심플함·편의성에 초점 맞춰

 

'액티언' 외관은 KGM이 그동안 디자인 모토로 추구해 왔던 각진 스타일의 '정통 SUV' 느낌보다는 세련미와 유연함을 한 층 강조한 듯한 모습이었습니다. "쿠페 스타일을 기본으로 역동적인 라인, 긴 차체, 낮은 루프를 통해 세련된 도심형 SUV 이미지를 구현했다"는 회사 측의 설명처럼 도심에서 잘 어울리는 감각적인 SUV로 설계한 듯한 느낌이었습니다.

 

특히, 루프를 낮게 설계한 것에 초점을 두고 전체적인 모습을 체크하니 '크로스오버'나 '왜건' 스타일의 차량을 보는 듯 했습니다.

 

후면 디자인의 경우 각진 형태의 수직적으로 날렵한 모습을 나타냈는데 과거 쌍용차 시절 히트작인 '1세대 무쏘'의 헤리티지를 심은 듯한 생각이 들기도 했습니다.

 

 

스포츠 쿠페 SUV로 제작돼 실내에 탑승할 시 시트 포지션이 낮지 않을까 싶었지만 운전석과 뒷좌석에 직접 탄 후 확인해 보니 낮지 않고 일반 SUV와 비슷한 느낌이었습니다. 동시에 중형 SUV 치고 비교적 넓게 뺀 실내공간도 눈에 들어왔습니다.

 

액티언은 전폭 1910mm로 설계됐는데 타 중형 SUV의 전폭이 1800mm대 후반~1900mm대에 형성하고 있는 것과 비교할 경우 큰 폭으로 제작해 넓은 실내공간을 구현했습니다.

 

클러스터(계기판)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하나의 디스플레이 형태로 합쳐 길게 구성한 부분도 주목했습니다. 하나의 화면에서 운행 정보, 공조 컨트롤, 내비게이션, 오디오, 각종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스티어링 휠은 커팅형 스타일로 비교적 크게 설계해 클러스터가 한 눈에 들어왔습니다. 스티어링 휠에 즐겨찾기 버튼을 크게 구성해 운전자들이 자신에 맞거나 자주 이용하는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점도 편의성을 최대한 높였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러기지룸 용량은 668L로 토레스(703L)보다 용량이 살짝 적은 수준으로 설계했습니다.

 

쿠페 스타일이다 보니 차체가 뒤로 갈 수록 낮아져 자사 동급 모델 대비 적게 뺄 수 밖에 없었을 것 같다는 생각이었지만 직접 확인해 보니 레저 활동에 필요한 짐은 충분히 적재할 수 있다고 보였습니다.

 

 

조용하고 안전성 높인 주행감..'도심형 SUV' 최적화

 

본격 액티언 시승행사는 평택 KGM 본사에서 카페로 이동한 후 시승차량을 배정받아 이뤄졌습니다. 시승 차량은 액티언 기본 트림인 S7에 스마트 파워 테일게이트를 적용하고 첨단 안전 사양을 더 추가한 최상위 트림인 S9의 풀옵션 모델로 진행됐습니다.

 

시승 코스는 평택 카페를 기점으로 남북대로와 안성대로 등을 거쳐 안성 미리내성지에 도착한 후 다시 되돌아오는 편도 33km, 왕복 66km로 온로드 코스로 마련됐습니다.

 

시승 과정에서는 안정감 및 주행 모드 설정에 따른 차이점, 고속 주행과 저속 주행 시 나타나는 특이점, 안전 시스템이 잘 작동하는지에 대한 부분 등을 포인트로 두고 차량을 체크했습니다.

 

본격적인 주행을 시작했을 때 느껴진 부분은 비교적 정숙한 상태에서 주행을 이어가는 부분이었습니다. 일반적인 주행 과정에서 특유의 큰 잡음 없이 기본적으로 조용함을 유지한 채 달리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고속 주행 과정에서는 엔진음이 어느 정도 발생하며 주행에 힘이 붙은 느낌이 나기도 했습니다. 파워트레인의 배기량이 비교적 높지 않은 수준(가솔린 1.5 T·GDI 엔진)이다 보니 주행 시 고배기량을 갖춘 차량과 비슷한 느낌을 내고자 액티브 배기 사운드(유상옵션)를 해당 차량에 넣었는데 이를 통해 힘있는 느낌의 주행감을 체감할 수 있도록 한 듯 했습니다.

 

반자율 주행 보조 시스템인 IACC와 주행 안전 보조 시스템인 딥 컨트롤 등 주요 안전 시스템도 비교적 잘 작동하는 모습이었습니다. 커브길 또는 굴곡진 곳에서 핸들을 인위적으로 돌리지 않아도 차선에 맞춰 움직이는 모습을 보였으며 차선변경 시 근거리에 차량이 있을 경우 경고음이 바로 울렸습니다. 

 

그러나 속도가 살짝 있는 상태에서 과속방지턱을 넘거나 일부 코스구간의 공사로 인해 도로 사정이 좋지 못한 곳을 달렸을 시 진동이 느껴진 점은 아쉬운 부분이었습니다.

 

해당 코스서 속도를 약간이나마 높였을 시 차체에 울림이 오는 느낌을 받았으며 1차선 도로를 달리는 과정에서 빼곡하게 자리한 높은 과속방지턱을 넘는 과정에서도 진동이 살짝 울리며 서스펜션 부분에서 살짝의 아쉬움을 남겼습니다.

 

속도감 있는 주행을 위해 악셀레이터를 밟는 과정에서 액티브 배기 사운드는 비교적 잘 작동했지만 일부 구간에서는 살짝 늦게 반응하는 듯한 부분도 약간의 '옥에 티'인 듯 했습니다.

 

전체적으로 '액티언'을 타 본 결과 KGM이 발표에서 강조한 '도심형 SUV'라는 말과 같이 도심 주행에 최적화된 차량이었습니다. 오프로드 등 코스를 시승하지 않아 아웃도어에 대한 부분은 판단할 수 없지만 역동적인 주행보다는 안전과 조용함을 기반으로 한 주행과 세련된 감각의 디자인을 바탕으로 30~40대 연령대가 도심에서 운행할 시 확실한 이점이 있는 SUV였습니다. 

 

 

3000만원대 중형 SUV..토레스 열풍 이어갈까

 

액티언도 토레스와 마찬가지로 '가성비'를 장점으로 꺼냈습니다.

 

트림별 가격은 S7 3395만원, S9 3649만원으로 책정됐으며, 상급 트림인 S9에 유상 옵션을 모두 추가한 풀 옵션으로 구매할 경우 4000만원대 초반까지 올라갑니다.

 

4륜구동(AWD) 시스템이 200만원대(202만원) 유상 옵션이라는 점을 감안했을 때 토레스 4륜구동 모델(3431만원~3752만원)과 비교했을 경우 약 100만원정도의 차이를 보이며 비슷한 수준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타사 중형 SUV 가 4000만원대를 호가하는 점과 견줬을 경우 합리적인 수준이라 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 KGM은 '중고차 가격보장 서비스'라는 파격적인 카드도 제시했습니다.

 

'액티언'을 구입해 운행한 고객이 KGM에 중고차로 판매할 시 실제 차량 구입 가격을 기준으로 3년 이내 60%, 5년 이내 45%의 잔존가를 보장받을 수 있는 '액티언 슈퍼 보장 프로그램'을 마련하며 품질에 대한 자신감을 간접적으로 드러내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액티언은 친환경 1.5L 터보 가솔린 엔진(e-XGDi150T)이 장착됐으며 최대 토크 28.6kg·m, 최고 출력 170마력의 성능을 발휘합니다.

 

연비는 복합 11km/L며 도심은 10km/L, 고속은 2륜구동 모델 기준 12.5km/L입니다.

 

엔진의 경우 저공해 3종 자동차 인증을 획득한 엔진을 탑재해 공영·공항·지하철 환승 주차장을 이용할 시 이용료 50~80%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했습니다.

 

곽재선 KGM 회장은 트랜스포메이선 데이를 통해 "1세대 액티언이 출시 당시 많은 고객들에게 사랑을 받지 못했지만 다시 한번 사랑을 받아보자는 의미로 가격과 성능, 디자인을 새롭게 기획해 출시했다"며 "다행스럽게도 많은 분들이 사전에 관심을 가져 주셨고 분명히 사랑을 받을 수 있는 차로 태어나리라고 생각한다"고 자신했습니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More 더 읽을거리

홍승표 기자 softman@inthenews.co.kr

배너

삼성전자, ‘AI 포럼 2025’ 개최…글로벌 석학과 미래 AI 전략 논의

삼성전자, ‘AI 포럼 2025’ 개최…글로벌 석학과 미래 AI 전략 논의

2025.09.15 13:55:11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삼성전자[005930]가 15일부터 16일까지 양일간 '삼성 AI 포럼 2025'를 개최한다고 15일 밝혔습니다. 올해로 9회째를 맞는 '삼성 AI 포럼'은 매년 학계와 업계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AI 분야의 최신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모색하는 기술 교류의 장입니다. 이번 포럼에는 ▲딥러닝 분야의 세계적 석학인 요슈아 벤지오 캐나다 몬트리올대 교수 ▲언어모델과 AI 에이전트 연구의 권위자인 조셉 곤잘레스 UC 버클리 교수 등 글로벌 AI 전문가들이 기조 강연에 나섭니다. 전영현 삼성전자 대표이사 부회장은 개회사를 통해 "삼성전자는 다양한 업무영역에 AI 기술을 적용해 언제 어디서나 쉽고 빠르게 AI를 활용할 수 있는 기반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라며 "올해 삼성 AI 포럼은 산업계와 학계를 대표하는 전문가들을 모시고 AI가 사회와 산업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 논의하고 함께 지혜를 나누는 의미 있는 시간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삼성전자 DS부문이 주관하는 1일차 포럼은 경기도 용인에 위치한 삼성전자 The UniverSE에서 진행됐습니다. 이날 포럼에는 사전 초청자 200여명이 참석해 '반도체 산업의 버티컬 AI 전략과 비전'을 주제로 논의했습니다. 기조 강연에 나선 벤지오 캐나다 몬트리올대 교수는 기존 AI 모델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인간 통제 회피', '악의적 사용' 등 잠재적 위험 요소를 설명하고 안전장치 역할을 할 새로운 모델 '과학자 AI'를 소개했습니다. 그는 "과학자 AI 모델은 인간을 모방하거나 기쁘게 하려는 의도 없이 검증된 사실과 데이터를 근거로 정직한 답변을 제공한다"라며 "안전성과 과학적 발견의 가속화 측면에서 과학자 AI 기술이 중요하다"라고 강조했습니다. 반도체 설계 자동화 회사인 지멘스 EDA의 아밋 굽타 부사장은 'AI 기반 전자 설계의 미래'를 주제로 강연을 진행했습니다. 그는 "반도체 전자 설계 자동화 도구에 AI를 통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라며 "특히 AI의 잠재력을 완전하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전체 워크플로우에서 작동하는 엔드투엔드(End-to-End) 시스템이 필요하다"라고 설명했습니다. 송용호 삼성전자 DS부문 AI센터장 부사장과 강석형 포항공대(POSTECH) 교수, 문일철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가 진행한 기술 세션에서는 반도체 설계 및 제조 분야의 최신 AI 응용 연구 성과와 미래 전망이 논의됐습니다. 송 부사장은 "AI는 칩 설계나 소프트웨어 개발에 필수적인 도구가 됐으며 제조 분야에서도 제조 복잡성의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는 데 AI가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한편 이날 진행된 '삼성 AI 연구자상' 시상에는 ▲니콜라스 파프르노 캐나다 토론토대 교수 ▲로즈 유 UC 샌디에이고 교수 ▲르렐 핀토 뉴욕대 교수 등 3명이 선정됐으며 수상자들의 현장 강연도 진행됐습니다. 16일에 진행하는 2일차 포럼은 삼성전자 DX부문이 주관하며 '생성형 AI를 넘어, 에이전틱 AI로'를 주제로 온라인 운영됩니다. 전경훈 삼성전자 DX부문 최고기술책임자(CTO) 겸 삼성리서치장 사장은 "생성형 AI는 이미 일상과 산업 전반에서 필수 도구로 자리 잡았다"라며 "삼성전자는 본격화되는 에이전틱 AI 시대에 맞춰 사용자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AI 기술을 준비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둘째 날 기조 강연에는 ▲언어모델과 AI 에이전트 연구의 권위자인 조셉 곤잘레스 UC 버클리 교수 ▲AI의 자율적 계획 수립과 의사결정 분야 전문가 수바라오 캄밤파티 애리조나 주립대 교수 ▲확산 방식 언어모델(DLM) 기술을 공개한 스타트업 인셉션의 공동창립자 겸 스탠퍼드대 교수 스테파노 에르몬 등이 나섭니다. UC 버클리 곤잘레스 교수는 거대언어모델(LLM) 기반의 에이전트 능력 고도화 연구 사례를 발표합니다. 또 사용자와 에이전트 간 상호작용 사이에 발생하는 공백 시간을 활용해 에이전트가 추론·학습·계획을 수행하는 '슬립타임 컴퓨트' 패러다임도 소개합니다. 캄밤파티 애리조나 주립대 교수는 기존 거대언어모델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한 '대규모 추론 모델(LRM)' 연구 결과를 공유합니다. 그는 언어 모델에서 해결돼야 할 주요 과제로 ▲정확성 보장 ▲상황 적응형 계산 ▲중간 추론 해석 제공 등을 제시할 예정입니다. 에르몬 스탠퍼드대 교수는 이미지·영상·오디오 생성에 활용되던 확산 모델을 언어에 적용한 '확산 언어 모델(DLM)'을 발표합니다. 이 기술은 순차적 텍스트 생성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고 보다 효율적인 언어 모델의 패러다임을 제시할 전망입니다. 기술 세션에서는 삼성리서치 연구원들이 ▲카메라 색온도 자동 조절 AI 기술 ▲지식 증류를 활용한 효율적인 거대언어모델 학습 기법과 적용 사례 ▲스마트폰, TV 등 전자제품에 거대언어모델을 탑재하기 위한 온디바이스 기술 ▲실제 목소리로 더빙 음성을 자동 생성하는 AI 기술 등 최신 연구개발 성과를 공유합니다. 또 ▲멀티 에이전트 시스템으로 다양한 보고서를 분석하고 자동 생성하는 '딥 다이브' 기술 ▲다양한 형식의 문서를 거대언어모델이 이해할 수 있는 구조로 자동 변환시켜 주는 '문서 AI' 기술 ▲제품에 탑재되는 생성형 AI 모델들의 개발 주기를 단축하는 '온디바이스 AI 스튜디오' 등 사내 생산성 향상을 위한 기술과 적용 사례도 공개됩니다. 2일차 '삼성 AI 포럼 2025'는 삼성전자 개발자 유튜브 채널에서 시청 가능합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