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고금리 기조 상황 속에서도 부동산 관련 추가 대출을 받겠다는 수요자들이 10명 중 5명 이상에 달한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10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이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716명을 대상으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참여 인원의 55.0%가 매입 및 전세금, 임대료 마련을 위한 추가 대출 계획이 '있다'고 응답했습니다.
추가 대출 계획이 있다고 응답한 인원을 연령별로 구분할 경우 20대 이하(69.2%), 30대(59.8%), 40대(58.7%)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50대(52.7%) 또한 과반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이와 달리 60대 이상 연령은 '없다' 비중이 57.5%로 집계됐습니다.
추가 대출 금리 형태의 경우 고정금리형(56.3%)이 가장 많은 선택을 받았습니다. 뒤를 이어 혼합금리형(29.9%), 변동금리형(13.7%)의 순으로 조사됐습니다. 대출 금리가 지속 오름세를 보여 고정금리형태의 대출 상품을 선택하겠다는 응답비율이 여전히 높은 것으로 직방 측은 전망했습니다.
추가 대출을 계획한 이유로는 거주 부동산 매입(49.5%)이 절반 가량을 차지했으며, 전·월세 보증금(44.2%), 부동산 투자(4.6%), 기타(1.8%)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연령별로는 20~30대의 경우 '전·월세 보증금' 목적이 가장 많았고, 40대 이상은 '거주 부동산 매입' 비중이 높았습니다.
이와 더불어, 현재 부동산 매입 및 전세금, 임대료 마련을 위한 대출이 있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전체 응답자 중 39.0%가 대출이 있다고 응답했습니다. 연령별로는 40대(43.5%)에서 대출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60대 이상(39.8%), 30대(39.3%), 50대(38.4%)도 10명 중 3명이 대출이 있다고 답했습니다.
대출이 있다고 답한 응답자 가운데 대출 이자의 경우 3% 미만(25.8%)이 가장 많았으며, 4%~4.5% 미만(13.3%), 6% 이상(12.9%), 5%~5.5% 미만(12.5%), 5.5%~6% 미만(10.4%), 3.5%~4% 미만(9.3%), 4.5%~5% 미만(9.3%), 3%~3.5% 미만(6.5%)이 뒤를 이었습니다.
이자 부담이 지난해와 비교했을 때 어떠한 지를 묻는 질문에는 58.1%가 ‘늘었다’고 응답했습니다. ‘변동없다’는 31.5%, ‘줄었다’는 응답은 10.4%로 조사됐습니다.
거주지역별로 살펴볼 경우 서울 거주자가 이자 부담이 늘었다고 답한 응답자 비율이 70.2%로 상대적으로 높았습니다. 지방5대광역시 거주자도 63.2%로 작년보다 이자 부담이 커졌다는 응답비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응답자 절반 이상이 올해 안에 내집마련이나 전·월세 보증금을 위해 추가 대출을 계획하는 만큼 금융부담이 커진 상황에도 수요가 적지 않다"며 "대출을 계획하고 있는 수요자일 경우 자금 상황과 대출 상환 가능성 등을 고려해 적절한 대출 금리 적용 방식을 잘 선택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