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양귀남 기자ㅣ긴축과 침체 우려가 지난 6월보다 크지 않은 상태에서 주식시장의 전 저점 회귀 가능성은 낮다는 전망이 나왔다. 이런 국면에서 내년 실적 성장이 가능한 화학, IT하드웨어, 통신, 필수소비재 업종과 에너지 변동성 헤지가 가능한 도시가스 중심 유틸리티 업종에 주목해야 한다는 분석이다.
29일 신한금융투자는 9월 코스피 밴드를 2350~2600포인트로 예상했다. S&P500 대비 역사적 디레이팅 상황에서 코스피 PER 추가 상승 여력은 존재한다고 분석했다.
노동길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파월 의장의 잭슨 홀 연설이 내년 금리 인하 기대를 되돌릴 적도로 구체적이지 않았다”며 “투자자들도 선물 금리 예상치에 여전히 내년 한 차례 이상 인하 가능성을 반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주식시장 전 저점은 Fed 긴축 공포와 침체 우려 간 합작이었다”며 “전 저점을 떠올리기에는 당시와 상황이 다르다”고 말했다.
신한금융투자는 내년 실적 그림을 그릴 수 있는 업종과 실적 성장 방어주, 에너지 변동성 헤지 방어주에 주목해야 한다고 전했다. 구체적으로는 화학, IT하드웨어, 기계, 통신, 도시가스 중심 유틸리티 업종 위주 대응이 유효하다고 조언했다.
노 연구원은 “지난 7~8월 주식시장 전망에서는 과대낙폭 성장주를 주요 전략으로 제시했고 이제는 실적을 중요하게 볼 필요가 있다”며 “11월 이후 난방 시즌을 앞두고 에너지 가격 변동성이 재점화할 수 있는 상황에서 이를 헤지할 수 있는 방어주도 효과적일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