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제너럴모터스(이하 GM)는 지난 28일(현지시각) ‘2021 지속가능경영 연간보고서’를 발간했다고 29일 밝혔습니다.
GM에 따르면, 보고서는 지난 한 해 GM의 전기차 보급과 범주 확대, 전-전동화 미래 전환과 더불어 기후 위기에 대한 공정하고도 포괄적 대응 등이 포함된 지속가능경영 목표를 담았습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미래 일자리 확보 ▲다양한 가격대의 전기차 출시를 통한 접근성 확대 ▲고객이 만족할 수 있는 충전 솔루션을 통한 인프라 확충 ▲30개 비영리 단체 지원을 위한 5000만 달러 규모의 기후 형평성 기금 조성 등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4가지 핵심 사항이 담겼습니다.
보고서에서 메리 바라 GM 회장 겸 CEO는 “GM은 다음 세대를 위해 경제적×사회적×환경적 책임을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진해야 한다고 믿고 있다”며 “GM의 모든 임직원은 탄소배출 제로의 전동화 미래를 포괄적이고 누구나 접근할 수 있는 현실로 구현하기 위해 엄청난 속도와 사명감을 가지고 일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아울러 "지난해 6월 전동화 비전이 기후 변화로 인해 불거지는 불균형 문제로 영향을 받는 인력, 고객 및 지역사회까지도 포괄할 수 있도록 공정한 기후 행동을 우선시할 것"이라고 덧붙이기도 했습니다.
GM은 보고서를 통해 지난해 신규 사업인 ‘브라이트 드롭’ 출범을 통해 전기 상용차와 전동 팔레트, 클라우드 기반의 소프트웨어 등 물류 전 단계를 지원하는 제품군을 제공하고 있다고도 설명했습니다. 브라이트드롭은 배달, 물류 회사들이 사업 전반에 비용을 절감하고 생산성을 극대화하며, 직원의 안전과 화물의 보안을 개선하는 등 사업의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GM 관계자는 "한국사업장 역시 전-전동화 미래 전략에 큰 축을 담당하고 있다"며 "GM의 한국 사업장은 두 종의 친환경×고효율의 차량 출시를 통해 국내 사업의 안정뿐만 아니라 GM의 전동화 전환 과정에서 경쟁력과 수익성을 유지시켜 주는 성장 동력이 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지엠테크니컬센터코리아는 GM의 전동화 비전 달성에 있어 핵심 연구개발 기관으로 자리잡고 있다"며 "GM의 연구개발 기관 중 미국 다음으로 큰 규모를 자랑하며 다수의 글로벌 EV 프로그램에 참여해 전기차 개발을 주도하고 있으며 미래 모빌리티 관련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GM은 오는 2040년까지 탄소중립을 실현하고 탄소배출 제로의 세상을 만들겠다는 목표를 밝힌 바 있습니다. GM은 일반 전기차 모델부터 고성능 슈퍼트럭 및 스포츠카까지 다양한 차량에 적용 가능한 ‘얼티엄 플랫폼’을 바탕으로 전기차를 지속 출시할 계획이며 국내 시장에도 오는 2025년까지 10종의 전기차를 출시할 예정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