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정석규 기자ㅣKB금융지주는 그룹 사업부문 체계 고도화·디지털플랫폼·ESG경영·글로벌 부문 강화를 위해 조직개편과 경영진 인사를 실시했다고 28일 밝혔습니다.
먼저 KB금융지주는 사업부문을 3명의 부회장과 총괄부문장이 담당하는 4개 비즈니스 그룹 체제로 재편했습니다. 이를 통해 사업부문간 연계·협업을 강화하고 그룹 관점의 시너지를 확대한다는 계획입니다.
4개 비즈니스 그룹은 각각 ▲허인 부회장의 개인고객부문·자산관리(WM)·연금부문·중소상공인(SME)부문 ▲이동철 부회장의 글로벌부문·보험부문 ▲양종희 부회장의 디지털부문·정보기술(IT)부문 ▲박정림 총괄부문장의 자본시장부문·기업투자금융(CIB)부문으로 구성됩니다.

자본시장부문과 CIB부문을 담당하는 총괄부문장은 그룹의 투자·자산운용 역량 강화와 투자 포트폴리오 관리 등 그룹 내 투자부문 조정 역할을 수행할 예정입니다.
또한 금융 앱 리번들링 추세·마이데이터 사업 본격화 등으로 다른 금융사 뿐 아니라 빅테크와의 ‘플랫폼 주도권 경쟁’에도 대응하기 위한 조직을 신설했습니다. 리번들링은 특화돼 개별적으로 분화됐던 서비스가 다시 통합돼 하나의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것입니다.

디지털플랫폼총괄(CDPO) 산하 디지털콘텐츠센터는 그룹 내 플랫폼을 통해 제공되는 대고객 콘텐츠의 질적 업그레이드를 지원합니다. 디지털 플랫폼 품질관리 전담 조직인 플랫폼 QC(Quality Control) 유닛은 고객 관점에서 플랫폼의 완성도를 높이는 작업을 추진합니다.
KB금융그룹은 그동안 추진해왔던 ESG 경영 강화와 글로벌 사업 확장을 위한 조직도 보강합니다. KB금융그룹은 전략총괄(CSO) 산하에 ESG 본부를 신설해 그룹 ESG 경영을 위한 중장기 로드맵 ‘KB 그린 웨이브 2030’과 그룹 탄소중립 전략 ‘KB 넷 제로 스타(Net Zero S.T.A.R)’ 등 그동안 수립한 그룹 전략을 기반으로 계열사별 실행력을 높이고, ESG 선도 기업 입지를 더욱 강화할 계획입니다.
글로벌전략총괄(CGS) 산하에 신설되는 글로벌본부는 글로벌 인수사의 조기 안정화를 지원하고 글로벌 네트워크 확장 등 글로벌 성장기반 확대에 속도를 높일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