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반환되는 용산 주한미군기지 일대를 국가공원으로 조성하는 용산공원 사업 부지 면적이 기존 계획에서 57만㎡ 확장된 300만㎡로 확정됐습니다. 정부는 부지 반환이 확정되는 해를 착공시점으로 잡은 뒤 7년 안에 준공 및 개원을 마무리한다는 계획입니다.
국토교통부는 27일 용산공원 정비구역 종합기본계획 변경계획을 내놓았습니다. 변경계획은 ‘용산공원조성추진위원회’ 심의를 거친 뒤 오는 28일 확정·고시됩니다.
국토부에 따르면, 이번 계획변경은 지난 2014년 최초 계획 수립 이후 여건 변화를 반영해 이뤄졌습니다. 국립중앙박물관, 용산가족공원, 전쟁기념관, 군인아파트 부지, 옛 방위사업청 등 총 57만㎡ 규모의 부지가 용산공원조성지구로 신규 편입되고, 국민제안을 거쳐 계획변경안이 발표됐습니다.
이에 따라 옛 방위사업청 및 군인아파트 부지는 인근 남산과 용산공원을 생태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녹지공간으로 조성됩니다. 부지 내 역사적 가치를 지닌 건축물은 주변지역과 연계해 문화예술프로그램에 활용됩니다.
전쟁기념관과 용산가족공원, 국립중앙박물관은 공원 조성 이후 공원과 시설을 쉽게 오갈 수 있도록 경계부를 계획합니다. 전쟁기념관은 인근 부지 일부를 야외 전시공간으로 조성해 공원의 활용도를 올릴 예정이며 용산가족공원은 생태성 강화를 위해 리모델링을 진행할 방침입니다.
조성 후 운영 시에도 국민들의 의견을 적극 반영하기 위해 참여 플랫폼을 구축합니다. 또, 탄소중립의 중요성을 고려해 녹지조성 시 탄소흡수율을 고려하고, 건축물을 제로에너지 건축으로 리모델링할 예정입니다. 사물인터넷과 빅데이터를 활용한 스마트 기술도 도입해 효율적 공원 운영도 모색합니다.
국토부는 당초 지난 2016년 반환이 완료될 시 오는 2027년까지 공원 조성을 마무리한다는 계획을 갖고 있었으나 반환이 미뤄지는 점과 계획 변경 등을 고려해 반환 시점을 N년으로 정했습니다. 반환이 완료된 후 착공에서 준공 시기는 7년으로 잡았습니다.
국토부는 반환 이후 오염정화가 필요한 부지에 대한 정화공사를 진행하면서 그간 수립된 계획과 설계를 보완할 계획입니다. 옛 방위사업청, 군인아파트 부지 등 오염정화가 필요하지 않은 부지는 우선적으로 착공할 예정입니다.
김복환 국토교통부 용산공원조성추진기획단장은 “변경되는 용산공원 정비구역 종합기본계획을 바탕으로 용산공원을 자연과 문화, 역사와 미래가 어우러진 국민의 여가휴식공간으로 조성할 수 있도록 공원 조성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