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최연재 기자ㅣ코스피가 외국인의 현선물 매수세 확대와 반도체주 강세에 힘입어 이틀 연속 상승했다.
코스피는 3일 전 거래일 대비 0.44% 오른 3237.14로 마감했다. 지수는 0.05% 내린 3221.57에서 출발해 등락을 반복하다 외국인의 자급 유입으로 상승 전환했다.
이날 외국인은 나홀로 6626억원을 순매수하며 지수를 견인했다. 반면 개인과 기관은 각각 6694억원, 350억원을 순매도하며 차익 실현에 나섰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강세에 3230선까지 회복됐지만, 중화권 증시가 규제에 따른 불확실성을 보여 국내 증시는 개인과 기관의 매물이 출회돼 일부 상승폭을 반납했다”고 분석했다.
상해종합, 홍콩항셍 등 아시아 증시는 혼조세를 보였다. 최근 중국 사교육 플랫폼 기업에 대한 당국의 규제가 이어지자 향후 온라인 게임 산업에 대한 강도 높은 규제가 발표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진 탓이다.
밤사이 뉴욕증시는 제조업 지표가 엇갈렸고, 긴축 우려가 나오면서 혼조세로 마감했다. 다우존스30산업평균·S&P500 지수는 전장보다 하락한 반면 나스닥 지수는 올랐다.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 중 카카오(-1.37%), 네이버(-1.27%), LG화학(-1.27%), 삼성바이오로직스(-0.44%) 등은 하락했다.
삼성전자는 2분기 반도체 매출에서 인텔을 제치고 세계 1위에 올랐다는 소식에 2.65% 상승했다. SK하이닉스도 덩달아 3.45% 오르며 강세를 보였다. 그 외에도 현대차(1.59%), 삼성전자우(1.50%), 셀트리온(0.57%), 삼성SDI(0.27%) 등이 상승했다.
업종별로 철강금속(-3.9%), 기계(-1.7%), 운수창고(-1.01%), 비금속광물(-0.98%), 섬유의복(-0.98%) 등이 하락했다. 중국 게임 산업 규제 가능성에 대한 우려로 엔씨소프트(-1.70%), 넷마블(-1.82%) 등 게임주가 약세를 보였다. 반면 의료정밀(3.61%), 전기전자(2.05%), 운수장비(0.93%), 제조업(0.83%), 대형주(0.7%) 등은 상승했다.
유가증권시장 거래량은 6억4285만주, 거래대금은 12조2916억원이었다.
코스닥 지수는 전일 대비 0.16% 내린 1036.11에 마감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