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박경보 기자ㅣ 현대로템은 해외기술을 국산화한 자주도하장비 및 경장갑차를 통해 방산부문 경쟁력을 높이기로 했다. 이를 통해 국내 중소업체들의 관련 기술 발전 및 경영환경이 개선될 수 있어 국내 방산업계의 성장이 기대된다.
현대로템은 지난 13일부터 이틀간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종합학술대회에서 방산부문 차세대 제품군을 선보였다고 14일 밝혔다. 40여 개 방산 기관 및 업체가 참가했으며, 현대로템은 자주도하장비, 경장갑차, 차륜형지휘소용차량 등을 전시했다.
자주도하장비란 전차, 장갑차 등 기동부대가 작전중단 없이 곧바로 하천을 건널 수 있게 하는 차량이다. 여러 대를 연결해 교량처럼 활용할 수도 있고, 차량 개별적으로 기동부대를 싣고 수상 이동할 수도 있는 강습도하 지원 장비다. 현재 우리 군에는 자주도하장비가 없다.
현대로템은 글로벌 방산업체인 영국 BAE 시스템스의 미국 법인과 터키 FNSS가 함께 만든 자주도하장비 AAAB를 개량 및 국산화할 예정이다. AAAB는 4계절이 뚜렷하고 하천, 산지 등 지형환경이 국내와 유사한 터키에서 안정적으로 전력화된 모델이다.
현대로템이 개발에 나선 자주도하장비는 무한궤도가 아니라 바퀴가 달린 8x8 차륜형 차량이다. 펑크가 나도 주행 가능한 런플랫 타이어와 지형에 따라 바퀴 공기압을 자동 조절할 수 있는 공기압자동조절장치(CTIS), 맞춤형 차량 높이 조절장치 등을 탑재할 예정이다.
또 이날 현대로템이 전시한 경장갑차는 승용차 크기의 작은 몸집을 바탕으로 기동력을 확보했고, 항공기를 이용해 공중수송도 가능하다. 무한궤도로 움직이며 목적에 따라 기관총, 포탑 등 다양한 무장을 탑재할 수 있다. 자주도하장비와 마찬가지로 해외기술을 국산화하는 방식으로 개발됐다.
이와 더불어 차륜형지휘소용차량은 현재 양산 중인 차륜형장갑차의 계열형 차량으로, 네트워크 기반 전투지휘체계 운용 능력을 갖춘 이동식 전투지휘 차량이다. 지난 2016년 현대로템이 체계개발사업을 수주했으며 내년 체계개발이 완료될 예정이다.
현대로템 관계자는 “이번 학술대회를 통해 자주도하장비를 비롯한 차세대 제품들을 선보이고 향후에도 꾸준히 경쟁력을 알릴 계획”이라며 “방산부문 기술 및 제품 개발에 매진해 시장 수요에 적극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