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진은혜 기자ㅣ 스마트홈 시스템의 보안이 취약해 입주자가 사이버 해킹에 노출되는 등의 사회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 가운데 서울주택도시공사(이하 SH공사)가 국내최초로 차세대 스마트홈 사이버 보안시스템을 도입해 주목받고 있다.
SH공사가 스마트홈 시스템 해킹에 대비하기 위해 차세대 보안시스템을 시범 설치해 운용에 들어갔다고 4일 밝혔다. 대상지는 현재 준공 및 입주를 앞두고 있는 구로구 항동지구 4단지 297세대다. 각 세대마다 사이버 방화벽을 구축하는 보안시스템이 적용된다.
지금까지 아파트 단지 스마트홈 시스템은 메인 서버에만 방화벽이 설치돼 외부 해킹만 방어 할 수 있었다. 단지 내 스마트홈 시스템에 접속해 이뤄지는 해킹에 대해선 보안기준이 없어 세대 간 보안이 취약하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이번에 SH공사가 도입하는 차세대 스마트홈 보안시스템은 세대 간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수준을 크게 강화한 것이 특징이다. 각 세대마다 방화벽을 설치해 단지 내 해킹에 능동적인 방어체계를 구축했다.
아울러 SH공사는 지난해부터 스마트홈 시스템의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세대 간 안전한 네트워크 구현을 위한 사이버 방화벽 구축’을 과제로 선정, 관련 기관 및 업체와 강화방안을 마련해왔다.
SH공사는 스마트시티 사업과 IoT 및 AI 결합 스마트홈 구축사업의 일환으로 항동 4단지에 보안시스템을 시법적용했다. 시범운영 결과를 검증해 세부 보안기준을 마련한 후 공공아파트에 차세대 보안 시스템을 확대 적용해 나갈 방침이다.
김세용 SH공사 사장은 “이번 사이버 방화벽의 시범운영을 통해 효과적인 보안 기준을 마련, 확대 적용하겠다”며 “4차 산업혁명의 발전에 따라 다양하게 연결되고 있는 스마트홈 시스템의 정보보안 환경을 강화하는 계기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