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문승현 기자ㅣ'빛을 되찾은 80년. 그날의 용기, 오늘의 자부심. 교보생명은 기억하고 함께합니다.'
교보생명(대표이사 신창재)이 광복 80주년을 맞아 대한민국 대표 민족기업으로서 광복의 정신을 되새기는 특별한 태극기를 내걸었습니다. 교보생명 광화문 본사 외벽에는 독립운동 정신을 상징하는 '남상락 자수 태극기'가 래핑 방식으로 게시됐습니다.
교보생명은 행정안전부 주관 '나라사랑 태극기 달기운동' 일환으로 독립운동가의 애국정신을 기리고 그날의 기쁨을 온국민과 함께 나누기 위해 이번 태극기 래핑을 기획했습니다. 래핑은 가로 31m, 세로 31m 크기로 교보생명 빌딩 5층부터 12층까지 총 8개층에 걸쳐 설치됐습니다.
교보생명이 내건 태극기는 2019년 3·1운동 100주년 때에도 건물 외벽에 선보인 남상락 자수 태극기 입니다. 이 태극기는 독립운동가 남상락 선생이 1919년 충남 당진지역에서 펼쳐진 4·4만세운동에 쓰기 위해 만들었습니다. 선생의 부인 구홍원 여사가 가내수공업 방식으로 짠 명주에 손바느질로 자수를 놓았다고 전해집니다. 희소성과 사료적 가치를 인정받아 2008년 국가등록문화재 386호로 지정됐습니다.

2019년 3월 교보생명이 남상락 자수 태극기를 처음으로 광화문 사옥 외벽에 내건 당시 건곤감리 4괘 문양이 현재 태극기와 달라 '잘못 그려진 태극기'라는 오해를 사기도 했습니다. 1949년 태극기 표준화 이전 만들어져 태극기 4괘 중 '감'과 '리'의 위치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후 이 태극기가 독립운동 시기 제작된 역사적 유물이라는 사실이 알려지며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습니다.
교보생명은 남상락 태극기 하단에 광복 80주년을 기념하고자 '빛을 되찾은 80년. 그날의 용기, 오늘의 자부심. 교보생명은 기억하고 함께합니다' 라는 메시지도 담았습니다.
오늘날 대한민국을 가능하게 한 독립운동가들의 숭고한 희생과 헌신을 기리는 동시에 교보생명이 민족기업으로서 창립정신을 잊지 않고 계승하겠다는 의지를 표현한 것입니다.
교보생명은 독립운동가와 그 후손이 일궈낸 민족정신에 뿌리를 둔 민족기업으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교보생명 창업주 대산(大山) 신용호 창립자를 비롯해 그의 부친 신예범 선생, 큰형 신용국 선생 모두 독립운동에 헌신했습니다.
특히 신용호 창립자가 집안어른이자 독립사상가 신갑범 선생의 소개로 항일문학을 대표하는 시인이자 독립운동가 이육사 선생과 교류하며 독립운동 자금을 지원한 일화는 유명합니다. 당시 이육사 시인은 신용호 창립자에게 "모쪼록 큰 사업가가 되어 헐벗은 동포들을 구제하는 민족자본가가 되길 바란다"며 격려했고 훗날 교보생명 창립의 정신적 근간이 됐습니다.

신용호 창립자는 1958년 '보험은 믿음을 주는 수단'이라며 대한교육보험(현 교보생명)을 설립하고 국민교육진흥, 민족자본형성을 창립이념으로 내세웠습니다.
대한교육보험은 창립과 함께 세계 최초의 교육보험 '진학보험'을 선보입니다. '담배 한갑 돈만 아끼면 자녀를 대학에 보낼 수 있다'는 희망을 제시한 이 보험은 30년간 300만명의 학생들에게 학자금을 지급했습니다.
신용호 창립자의 교육철학은 1981년 국내 최대 서점 '교보문고' 설립으로 이어지며 국민 독서문화 확산에 기여합니다. 교보문고는 연간 5000만명이 방문하는 한국의 대표서점이자 문화명소로 자리매김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