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권용희 기자ㅣ코스닥 상장사 디에이치엑스컴퍼니(옛 엔에스엔→에스유홀딩스)의 대규모 회삿돈이 외부로 흘러나간 정황이 포착됐다. 사업다각화를 앞세웠던 투자 법인들은 줄줄이 적자를 기록 중이고, 자회사를 향한 자금 투입과 손상 처리가 반복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회사는 또 다시 외부 자금을 조달해 타법인 취득에 사용하겠다고 예고했다.
부실 자회사로 향한 회삿돈..'손상 또 손상'
18일 금융감독원 및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디에이치엑스컴퍼니는 총 200억원 규모 전환사채(CB) 발행을 예고했고, 이 중 100억원을 타법인 취득에 사용하겠다고 공언한 상태다. 하지만 출자한 법인 상당수가 부실한 상황에서 회사 자금만 빠져나가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일례로 회사는 지난 2019년 55억원을 들여 리온시스템이라는 업체 지분 100%를 사들였다. 거래 대상은 곽대원, 김정미, 전영 씨와 매치파인이라는 법인이다. 리온시스템은 지난 2013년 자본금 3000만원에 설립된 법인으로 이태현, 이상욱 씨가 임원에 등재돼 있다. 이 중 이상욱 씨는 과거 광무에서 활약했던 인물로 지난 2021년부터 디에이치엑스컴퍼니 대표로 활동 중이다.
이 법인의 재작년 매출은 전무한 상태로 순손실만 2800만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3분기 누적 매출액과 순손실은 각각 130만원, 4100만원으로 적자를 이어오고 있다. 거래가 이뤄진 2019년 당시 리온시스템은 37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했고, 2019년 말 기준 완전 자본잠식 상태였다. 대규모 적자를 기록 중인 부실 업체를 수십억원을 들여 사들인 셈.
디에이치엑스컴퍼니는 지분을 취득한 해에 28억원 가량을 손상 차손으로 인식했고, 이듬해 전액 손상 처리했다. 회사는 지난 2021년 재차 리온시스템에 25억원을 투입했지만 같은해 말 22억원 가량을 손상 처리했다. 손상차손은 자산가치가 감소해 회복하기 어려울 경우 회계상 손실로 반영하는 것을 의미한다.
리온시스템은 서울 강남구 소재 디에이치엑스컴퍼니 사무실에 주소를 등록해 놓은 상태로, 주소지를 방문했지만 관련 직원을 만날 수 없었다. 건물 관리인은 "리온시스템이라는 법인은 처음 들어본다"고 말했다.

이 밖에도 회사는 자회사 디에이치엑스모션(옛 에이모션)에 2018년 20억원을 출자했고 같은해 말 약 14억원을 손상 처리했다. 2019년에도 10억원을 투입했고, 11억원 가량을 손상 차손으로 인식했다. 2021년과 2022년에도 각각 2억원, 3억원 가량을 손상 처리했다. 자회사를 중심으로 대규모 회삿돈이 투입되고 손상 처리하는 패턴이 반복되고 있는 것.
디에이치엑스모션은 지난 2008년 설립된 법인으로 주요 인물에 김성우 씨가 이름을 올리고 있다. 이상욱 대표는 지난 2022년부터 사내이사로 활동하다 올해 2월 사임했다. 이 업체의 재작년 매출액과 순손실은 각각 3600만원, 5억원이고 재작년 말 기준 완전자본잠식 상태다.
또 다른 종속회사인 에스유드림의 지난해 3분기 누적 매출액은 전무했고, 순손실만 1억5000만원에 달했다. 이 법인은 지난해 자본금 5억원에 설립됐고 임원에 이상욱 대표와 이태현 씨가 등재돼있다. 서울 강남구 소재 등록 주소지를 방문했지만 담당 직원은 만날 수 없었다. 에스유드림 관계자는 "담당자가 자리를 비웠다"고 짧게 답했다.

증발하는 돈..기업사냥꾼의 개입?
이 밖에도 회사가 사업 다각화를 앞세워 진행한 투자가 손실로 돌아오고 있는 모양새다. 디에이치엑스컴퍼니는 재작년 80억원을 들여 엘디미디어플러스(이하 엘디미디어)라는 법인의 지분 40%를 취득한다고 밝혔다. 거래 대상은 이선영 씨로 당시 회사는 23, 27회차 CB와 현금을 중도금으로 지급했다.
이 과정에서 회사는 이선영 씨 계좌에 현금 2억원과 CB 14억원어치를 지급하고, 현금 16억원을 노빌리티와이라는 법인에 넣겠다고 밝혔다. 노빌리티와이는 지난 2022년 설립된 법인으로 주요 인물에 전홍관, 이차윤 씨가 이름을 올리고 있다.
이 법인 대표에 등재된 이 씨는 재작년 백재열 씨 등과 함께 코스나인(현재 거래정지) 21회차 CB를 사들였다. 백 씨는 거래정지 등 한계기업에서 활약한 기업사냥꾼 양 모씨와 함께 활동하는 것으로 알려진 인물이다.
이후 디에이치엑스컴퍼니는 계약금과 중도금으로 지급한 선급금 72억원 중 37억원 가량을 손상 차손으로 인식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엘디미디어의 지난해 3분기 누적 매출액과 순손실은 40억원, 5억원이다.
엘디미디어는 지난 2014년에 설립된 법인으로 임원에 박명애 씨가 등재돼있다. 서울 노원구 소재 엘디미디어 등록 주소지를 방문했지만 박 씨를 만날 수는 없었다. 엘디미디어 관계자는 "자세한 건 알지 못한다"며 "명함을 전달하겠다"고 말했지만 이후 연락은 오지 않았다.

120억원을 들여 취득한 유토피아게임즈(옛 해시게임즈)도 사정은 비슷했다. 회사는 이 업체 지분 20%를 사들이는데 현금 30억원을 투입했고, 나머지 90억원은 보유 CB로 상계했다. 그로부터 한 달 뒤 비유테크놀러지(현재 거래정지)도 지분 15%를 취득하면서 90억원 CB를 발행해 대납했다.
유토피아게임즈는 지난 2021년 자본금 5000만원에 설립된 법인으로 주요 인물에 박준영, 백기운, 정윤호, 양대훈, 신형섭, 이진호 씨 등이 이름을 올리고 있다. 이 업체의 지난해 3분기 누적 매출액은 900만원에 불과하고, 순손실은 48억원으로 매출 규모를 훌쩍 넘어섰다. 또한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자본총계가 마이너스인 자본 잠식 상태다.
서울 서초구 소재 등록 주소지에서 만난 유토피아게임즈 관계자는 "회사 상황이 좋지 않아서 직원들이 많이 나간 상태"라며 "얘기를 할 수 있는 사람이 없다"고 말했다.
한편, 디에이치엑스컴퍼니의 실적 부진은 장기화하고 있다. 지난해 매출액은 95억원을 기록한 반면, 순손실은 190억원으로 매출 규모를 훌쩍 넘어섰다. 재작년 매출액과 순손실은 각각 113억원, 325억원을 기록했다. 이와 관련 디에이치엑스컴퍼니 관계자는 "따로 드릴 말씀이 없다"고 짧게 답했다.
관련기사 참조☞[한계기업 진단] 디에이치엑스컴퍼니 ①행방 묘연한 대주주…자금 납입 원활할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