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제해영 기자ㅣ부산 기장군이 21일 기장읍성 축성 600주년을 기념해 ‘기장읍성 국제학술대회’를 개최합니다. 이번 학술대회는 군청 지하 1층 차성아트홀에서 진행되며, 기장읍성이 조선시대 축성사에서 가지는 고고학 및 역사적 가치를 조명하기 위해 마련됐습니다.
올해는 기장읍성이 축성된 지 600주년이 되는 해이자 기장군이 복군된 지 30주년이 되는 뜻깊은 해입니다. 이에 기장군은 학술대회를 통해 기장읍성의 역사적 중요성을 밝히고, 향후 국가사적 지정을 위한 논의를 본격화할 계획입니다.
학술대회에는 한국, 중국, 일본의 성곽 분야 전공 학자들이 참여해 총 8개 학술 주제를 발표합니다. 차용걸 충북대학교 명예교수가 ‘조선왕조의 관방정책’을 주제로 기조강연을 진행하며, ▲조선시대 산성과 축성법의 특징(심광주 한국성곽연구소 소장) ▲명대 해방방어체계 연구(상형 중국 북경시 고고연구원 부연구관)의 발표가 진행됩니다.
이어 ▲일본 성곽의 진화과정에서 본 기장왜성(미야다케 마사토 일본 사가대학 교수) ▲조선시대 읍성 축조와 기능(이수진 동신대학교 교수) ▲조선시대 기장읍성에 대한 고고학적 연구(이일갑 시공문화재연구원 원장) ▲기장읍성 내부 공간의 구성과 변화(김찬영 계정문화재연구소 소장) ▲전근대시기 기장읍성의 관방사적 가치(김강식 국립한국해양대학교 교수) ▲기장읍성의 가치 구현을 위한 복원정비와 활용(나동욱 영남성곽연구소 소장) 등의 발표가 진행됩니다.
또한 오후에는 (사)한국성곽학회 학회장이자 국립순천대학교 교수인 최인선 회장이 좌장을 맡아 종합토론이 열릴 예정입니다.
기장읍성은 1425년 축성돼 1996년 부산시 기념물 제40호로 지정됐으며, 2010년 동문지 조사를 시작으로 10여 차례에 걸쳐 매장유산 발굴조사가 시행됐습니다. 성벽과 옹성, 치, 해자 등의 방어시설과 건물지 발굴을 통해 조선시대 연해읍성의 축성방식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현재 군은 읍성 부지 내에 기장근대역사관을 운영하며,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공유하는 공간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이번 국제학술대회를 통해 기장읍성이 조선시대 동남해안의 주요 연해읍성으로서 가지는 가치를 더욱 확고히 하고, 국가사적 지정을 위한 절차를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입니다.
정종복 기장군수는 “이번 국제학술대회를 통해 기장읍성의 국가사적 지정 절차를 본격화하고 군민의 역사의식을 높이는 데 앞장서겠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