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한류에 대한 관심이 식품으로 퍼지며 K-푸드가 부상하고 있습니다. 다양하고 이색적인 맛에 더해 해외 유통 채널에 입점하는 한국 식품이 늘면서 이전보다 구매하기 쉬워진 까닭입니다. 국내 식품기업들은 신년 목표로 해외시장 확대를 내세우고 있습니다.
14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해 농식품 수출액은 약 11조7700억원으로 전년 대비 3% 증가하며 역대 최대를 기록했습니다. 식품업계에서는 최근 K푸드 성장세에 힘입어 오랜 기간 사랑받아 온 스테디셀러 제품을 중심으로 수출을 늘리고 있습니다.
동남아시아에서 K-치킨이 인기입니다. bhc치킨은 동남아시아 시장 출점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달 싱가포르에 3호점을 정식 오픈하고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갑니다. 홍콩 1개점에 이어 말레이시아 6개점, 싱가포르 3개점 등 동남아에만 총 10개 매장을 확보하게 됐습니다.
bhc 치킨은 지난달 태국 외식전문 기업인 미션그룹과 업무 협약을 체결하며 태국 시장 진출도 알렸습니다. 이번 협약으로 올해 상반기 내 방콕 시내 주요 상권에 1호점이 오픈할 예정입니다.
bhc치킨 대표 제품은 뿌링클로 2014년 출시된 이래 10년간 꾸준히 판매 순위 상위권을 지키고 있습니다. bhc치킨은 골드킹, 레드킹, 핫뿌링클, 뿌링치즈볼 등 인기 메뉴를 기본으로 동남아 지역에서 한식을 결합한 현지 특화 메뉴를 구성하는 차별화 전략을 펼치고 있습니다.

K-음료는 아프리카에도 진출했습니다. 일화는 지난달 남아프리카공화국에 국내 최초 보리 탄산음료 맥콜을 수출하는 공급 계약을 체결하고 아프리카 시장에 본격적으로 나섰습니다.
일화는 남아공 현지 네트워크 그룹이자 대형 계열사를 다수 보유한 ‘트릴리온 카트’와 손잡고 맥콜 총 20만캔을 공급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맥콜은 현재 미국, 일본, 러시아, 호주 등 각국에 수출되고 있습니다. 일화는 맥콜에 이어 올해 아프리카 수출 품목을 추가 확대할 방침입니다.
맥콜은 1982년 출시된 장수 음료로 보리맛이 특징입니다. 국산 보리를 주원료로 사용했으며 비타민B1, 비타민B2, 비타민C 등을 함유했습니다. 지난해 2월에는 당과 칼로리를 낮춘 ‘맥콜 제로’를 출시하며 라인업을 확대했습니다.
한국식 디저트에 매료된 해외 소비자도 늘고 있습니다. SPC삼립은 지난해 11월 미국 슈퍼마켓 체인점 H마트와 업무협약을 체결했습니다. 이번 협약을 계기로 베이커리 제품 공동기획 및 유통 판매 추진 등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며 H마트의 전략적 상품공급 파트너로 참여할 계획입니다.

SPC삼립은 최근 한국 전통 간식이 해외에서 인기 디저트로 급부상하는 추세에 힘입어 사업 영역을 넓히고 있습니다. 대표 제품인 삼립호빵은 미국, 호주, 유럽 등 25개국에 수출되고 있습니다. SPC삼립은 호빵뿐만 아니라 호떡, 약과 등을 앞세워 K-디저트 확대의 시너지 효과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농심은 태국 시장 공략에 나섰습니다. 신라면의 글로벌 첫 컬래버레이션 제품으로 ‘신라면 똠얌’, ‘신라면볶음면 똠얌’을 선보였습니다. 두 제품은 신라면의 매운맛과 똠얌 특유의 새콤한 맛이 담겼으며 태국의 유명 셰프 ‘쩨파이’와 손잡고 공동 개발했습니다.
신라면은 2022년 국내 단일 라면 제품 중 최초로 연매출 1조원을 돌파했으며 판매 국가만 100여개국에 이릅니다.
농심 관계자는 "태국의 라면시장은 약 7000억원 규모로 저가형 제품이 시장점유율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며 "신라면의 고급스러운 브랜드 이미지에 미슐랭 1스타 셰프의 노하우와 인지도를 더해 태국에서 프리미엄 라면시장을 열어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