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한국인의 쌀 소비량이 줄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국내 즉석밥 시장은 성장세입니다. CJ제일제당의 햇반 연매출은 1조원에 근접했고 신규 플레이어의 시장 진입도 꾸준합니다.
19일 통계청 양곡소비량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56.7㎏으로 전년 대비 0.4% 줄었습니다. 30년 전인 1992년(112.9㎏)보다는 49.8% 감소했습니다. 핵가족화와 함께 식습관이 변하면서 나타난 현상입니다. 쌀 소비량은 1980년대 이후로 내리막을 걷고 있습니다.
쌀 소비 감소는 쌀 가공식품 사업의 전반적인 위축을 불러왔지만 즉석밥 시장은 예외입니다. 닐슨IQ코리아에 따르면 2010년만 해도 900억원에 머물던 상품밥(즉석밥) 시장 규모는 2015년 2200억원, 지난해 약 4500억원까지 커졌습니다. 2025년에는 5000억원을 넘어설 것으로 보입니다.
CJ제일제당의 햇반은 국내 즉석밥 시장을 대표하는 브랜드입니다. 1996년 출시된 이후 약 27년 간 압도적인 시장점유율을 바탕으로 대중에게 '즉석밥'을 지칭하는 고유명사로 자리 잡았습니다. 지난해 기준 햇반의 누적 매출은 5조원, 누적 판매량은 45억개입니다. 올 2분기 시장점유율은 약 67%입니다.
최근의 매출 성장세가 가파릅니다. 지난해 햇반 매출은 8150억원으로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4860억원)과 비교했을 때 3년 만에 약 1.7배 신장했습니다. 연매출이 평균 1000억원 이상씩 늘고 있어 향후 2년 안에 햇반 단일 브랜드로만 매출이 1조원을 돌파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점유율 약 30% 수준의 오뚜기밥은 올초 누적 생산량이 20억개를 넘었습니다. 오뚜기 즉석밥은 2020년 이후 연간 생산량을 3억개 내외로 유지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12월에는 14년 만에 용기 전면 패키지를 변경하기도 했습니다. 동원F&B도 2005년부터 즉석밥(쎈쿡)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지난해에는 각각 닭고기와 시리얼을 만드는 회사가 즉석밥 시장에 진출해 눈길을 끌었습니다. 하림은 지난해 5월 맛과 가격 모두에서 프리미엄을 콘셉트로 더미식 즉석밥을 론칭했습니다. 올해 8월에는 농심켈로그가 시리얼 제작 기술력에 기반한 통귀리밥을 선보였습니다.
1인 가구 증가와 MZ세대의 주 소비층 부상은 즉석조리식품 시장의 성장을 이끌었습니다. 20대~40대 초중반으로 정의되는 MZ세대는 이전 세대보다 요리에 대한 필요성이 적게 느끼고 가정간편식(HMR)이나 밀키트 등으로 간편하게 한 끼를 해결하려는 경향을 자주 보이기 때문입니다.
코로나19 시기에 접어들어 내식 비중이 늘면서 가공식품을 구매해 저장하는 패턴이 나타났습니다. 즉석밥, 컵밥 등 HMR 수요가 높아졌습니다. 실제로 쌀 소비량 감소에도 '기타 식사용 가공처리 조리식품 제조업'(즉석밥 제조업체)의 지난해 쌀 소비량은 14만4595톤으로 전년보다 27.2%가량 늘었습니다.
편리성은 소비자가 즉석밥을 선택하는 가장 큰 이유입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2020 가공식품 세분시장 보고서'에 따르면 가공밥 취식 상황에서 '간편하게 먹고 싶을 때'를 꼽은 답변이 69.6%로 1위에 올랐습니다. '캠핑 등 아웃도어 활동 시'(29.8%) 등 캠핑 필수품으로 챙겨가는 경우도 늘었습니다.
끊임 없는 연구 개발(R&D)과 설비 투자로 품질을 높인 점도 즉석밥 성장 요인입니다. CJ제일제당은 국내 유일한 '당일 자가도정 기술'과 국내 최초 '무균화 포장법 제조 기술', 최첨단 패키징 기술을 핵심 R&D로 설정했습니다. 오뚜기밥도 클린룸에서 위생처리 과정을 거쳐 상품을 만들고 있습니다.
건강 중시 트렌드에 맞춰 영양을 강화한 즉석밥 제품도 다양해졌습니다. 하림은 김홍국 하림그룹 회장의 경험을 토대로 메밀쌀밥, 귀리쌀밥 등 잡곡밥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1997년 오곡밥을 출시한 CJ제일제당은 지난해 현미, 귀리 등이 들어간 곤약밥 2종을 내놓며 라인업을 강화했습니다.
CJ제일제당 관계자는 "상온 즉석밥의 가정 내 침투율(1년에 한 번이라도 구매한 가구 비중)이 지난해 44%대를 기록했는데 국민 3명 중 1명꼴로 취식하는 셈"이라며 "즉석밥을 먹지 않았던 소비층이나 노년층까지도 햇반을 먹기 시작했다는 점에서 즉석밥 시장의 성장 가능성은 굉장히 크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