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권용희 기자ㅣ고(故) 이건희 선대회장 3주기를 맞아 '삼성 신경영 30주년 기념 국제 학술대회'가 열렸습니다.
한국경영학회가 주최하고 삼성글로벌리서치 후원으로 열린 이번 학술대회는 오는 25일 이 선대회장 3주기를 앞두고 고인의 리더십과 사회공헌, 삼성의 신경영을 재조명하기 위해 마련됐습니다.
이건희 삼성 선대회장은 지난 1993년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마누라와 자식 빼고 다 바꾸라”면서 신경영을 선언하며 삼성을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시켰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이날 행사에는 김재구 한국경영학회장, 김황식 호암재단 이사장을 비롯해 국내외 석학들과 삼성 관계사 임직원 등 총 300여명이 참석했습니다.
기조 연설은 지난 2017년 세계 1위 '경영 사상가'로 선정된 로저 마틴 토론토대 경영대학원 명예교수와 신학·인문학 분야 권위자인 김상근 연세대 신학대 교수가 맡았습니다.
마틴 명예교수는 "이건희 선대회장이 미래에 대한 상상력과 통찰력을 보유한 전략 이론가였으며, 통합적 사고에 기반해 창의적 해결책을 만들어내는 능력을 갖춘 통합적 사상가였다"고 평가했습니다.
마틴 명예교수는 이 선대회장 경영 당시에 대해 "존재하지 않는 미래를 발굴하고 발명하는 입장이었고 과거에 묶여 있지 않았다"며 "관련 데이터와 정보가 없는 상황에서 설득력 있는 주장을 했고, 삼성의 전략을 구사했다는 점에서 대단한 전략 이론가"라고 주장했습니다.

행사에서는 삼성 신경영을 기술, 전략, 인재, 상생, 미래세대, 신흥국에 주는 함의 등 6가지 관점에서 분석하고 신경영이 가진 현재적 의미에 대해 의견을 교류가 이뤄졌습니다.
'삼성의 미래와 도전'을 주제로 국내외 석학들 논의와 토론도 이어졌습니다. 스콧 스턴 MIT 경영대 교수를 비롯해 리타 맥그래스 컬럼비아대 경영대 교수, 패트릭 라이트 사우스캐롤라이나대 경영대 교수, 김태완 카네기멜런대 경영대 교수, 구정우 성균관대 사회과학대 교수 등이 세션을 진행했습니다.
김재구 한국경영학회장은 개회사에서 "이건희 선대회장은 미래 지향적이고 도전적인 경영으로 삼성을 세계적인 초일류기업으로 성장시켰다"라면서 "이번 국제학술대회는 한국 기업의 창조적 혁신과 새로운 도약을 모색하는 기회가 될 것이다"라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