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국내 플라스틱 쓰레기양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특히 배달음식과 택배 이용 증가로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우리나라에서 배출된 플라스틱 포장재 폐기물의 양은 이전에 비해 80%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사회 전반에 플라스틱 문제에 대한 경각심이 날로 커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가운데 유통업계에서는 꼬리에 꼬리를 물며 지속적으로 플라스틱 절감에 나서는 일명 ‘꼬꼬플’ 트렌드가 이어지며 소비자의 눈길을 사로잡고 있습니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4년 동안 ‘원더플 캠페인’을 진행해 온 한국 코카콜라는 이번 시즌 4를 통해 투명 음료 페트병이 새로운 페트병으로 돌아오는 자원순환 경험을 제공합니다. 원더플 캠페인은 2020년 12월을 시작으로 올해 네 번째 시즌을 맞이한 소비자 참여형 자원순환 캠페인입니다.
올해 시즌 4는 투명 음료 페트병과 같은 식품용기가 다시 식품용기로 태어나는 ‘보틀투보틀’이 국내에서도 본격 시작되는 시점임을 반영해 수거된 페트병을 전량 재생원료로 전환했습니다. 이번 시즌 참가자에게는 코카콜라의 국내 첫 재생페트 제품인 ‘코카콜라 재생 보틀 1.25L’를 증정합니다.
아모레퍼시픽은 2003년부터 ‘이니스프리 공병 수거 캠페인’을 진행하며 플라스틱 공병을 수거해오고 있습니다. 지난해까지 수거된 화장품 공병은 총 2471톤에 달합니다. 수거된 화장품 공병은 ‘그린사이클’ 캠페인을 통해 재활용되거나 예술 작품으로 업사이클링 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재탄생됐습니다.

대표적으로 2020년 ‘플라스틱 화장품 공병 재활용 테라조(매장에 반납한 화장품 공병 분쇄품에 초고강도 콘크리트 UHPC를 섞어 제작)’ 기법을 활용해 업사이클링 벤치를 제작한 바 있습니다. 이후 올해까지 업사이클링 벤치 총 20개를 다양한 장소에 기증했습니다.
이마트는 2018년 3개 파트너사와 함께 시작한 플라스틱 감축 캠페인 ‘가플지우(가져가요 플라스틱 지켜가요 우리바다)’를 지속적으로 확대하며 대규모 친환경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유통업체의 특성을 살려 고객을 비롯한 여러 협력사들에 캠페인 동참을 유도하고자 함입니다.
올해는 18개의 파트너사와 함께 플라스틱 수거, 파트너사 브랜드 협업 및 프로모션 강화, 연안 정화활동 확대, 환경 교육 강화 등 4가지 분야에서 친환경 캠페인 활동을 펼칠 예정입니다. 실제로 이마트와 협력사는 지난 한 해에만 폐플라스틱 2톤가량을 수거·재활용했다는 설명입니다.
사조대림은 ESG 경영의 일환으로 '지구야 안심해'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최근 캠페인을 통해 플라스틱 트레이를 제거한 ‘더 고소한 김 바삭 재래김’을 출시하며 트레이 외 전체 포장부피까지 줄였습니다. 올해는 64톤 수준의 플라스틱 사용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식품업계 관계자는 "플라스틱 수거 캠페인을 꾸준히 진행해 플라스틱을 유용한 자원으로 재탄생시키거나 사용된 플라스틱을 반복적으로 재사용하면서 신생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는 기업들이 눈에 띈다"며 "무라벨 패키지나 플라스틱을 제거한 패키지를 확대 출시하는 등 형태도 다양하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