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한국을 오고 싶어하는 외국인들이 여행 계획을 세울 때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하다고 한다. 특정 사이트들을 돌아다니며 헤매고 있는데 이제는 달라질 것이다. 인터파크트리플에서 자신이 사용하는 언어로 '나 한국 가고 싶어' 이렇게 외치면 된다. 검색은 묻어버려도 된다"
인터파크는 20일 서울 영등포구 페어몬트 앰배서더 서울에서 '인터파크 비전 선포 미디어데이'를 열었습니다. 지난해 야놀자에 인수된 뒤 올해 20년 넘게 운영해온 인터파크커머스(쇼핑·도서) 사업을 큐텐에 매각한 인터파크는 이날 새로운 사명 '인터파크트리플'을 공개했습니다.
인터파크트리플은 여행, 엔터테인먼트 사업에서 인터파크가 가진 강점과 데이터 기반 개인화 플랫폼 '트리플'의 AI 기술을 더한 시너지가 핵심입니다. 최휘영 인터파크트리플 대표는 인터파크트리플이 제공할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영화 아이언맨 속 AI 비서 '자비스'에 비유했습니다.
인터파크는 사명 교체와 함께 '인바운드 관광객 5000만명'을 핵심 키워드로 설정했습니다. 앞서 정부가 발표한 2027년 3000만명을 넘어, 오는 2028년까지 연간 외국인 방한 관광객 5000만명 돌파를 위해 적극적인 지원에 나선다는 목표입니다.
이수진 야놀자 총괄대표는 "수십 년간 여행·여가 전문성을 쌓아온 전통강자 인터파크와 AI 기반으로 여행을 최적화하는 신흥강자 트리플이 만났다"며 "인터파크트리플은 야놀자가 글로벌 원톱 트래블 테크 기업으로 도약하는 데 중점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인터파크트리플에 따르면 인터파크가 보유한 공연, 스포츠, 전시 등 콘텐츠를 접목해 K-패키지 여행 상품 제작에 나섭니다. 국가별 특성을 반영한 세분화된 패키지 상품을 기획하고 일부 아시아 국가들에 한정된 인바운드 여행객을 글로벌로 확대하는 게 주 내용입니다.
이수진 대표는 여행산업 발전이 지역과 국가 경제에 미칠 긍정적인 영향력에 기대감을 드러냈습니다. 그는 단순한 기업의 비전을 넘어 대한민국 여행 산업의 역량을 최대화할 수 있을 때 여행기업도 성장할 수 있다는 현실 인식을 내놨습니다.
세계 10위권 경제 규모이자 G7 회의에 초청받는 한국이지만 경제 수준과 비교했을 때 도시의 관광 다양성은 부족한 게 현실입니다. 일본은 도쿄나 오사카 외에도 후쿠오카, 오키나와 등 다수 도시의 여행 산업이 발달했고 베트남의 경우도 하노이, 호치민, 다낭 등 다양한 선택지가 놓여 있습니다.
반면 한국은 경제, 사회적 특성과 마찬가지로 여행 산업 역시 수도인 서울에 지나치게 편중됐다는 게 구조적인 문제로 지적됩니다. 이에 인터파크트리플은 한국관광공사 및 지자체와 협업해 양양, 무안, 청주 등 지역 국제공항과 연계한 지자체별 패키지를 만들겠다고 밝혔습니다.
이 대표는 "한국 사회의 가장 큰 이슈인 지역 소멸이나 지역 인구 감소를 여행이 해소할 수 있을 가능성도 있다"며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와 다르게 지역 공항과 서울이 지리적으로 가깝기 때문에 충분히 여행 일정 속에서 주요 포인트가 있는 서울까지도 관광할 수 있는 여정을 만들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인터파크는 지난 1995년 출범한 후 90년대 후반 티켓, 여행 예약 시스템을 오픈하며 국내 이커머스업계의 태동을 함께 했습니다. 올해로 출범 28주년을 맞아 '오래된 기업'이라는 평이 나오는 만큼 변화를 주도할 기술력이 있을지에 대한 의심의 목소리도 제기됐습니다.
이 대표는 "인터파크는 상당히 오래된 편이다. 여행, 티켓, 엔터테이닝 분야에서 오랫동안 사업을 영위하고 있기에 노하우와 경험이 많다"며 "트리플 합병으로 기술력이 더해졌으며 충분한 기술력을 가지고 앞으로도 지속적인 R&D 투자를 통해 소개한 서비스들을 계속 만들어 갈 것"이라고 했습니다.
아울러 최휘영 대표는 국적과 취향이 다른 방한 외국인을 위한 맞춤형 프로그램의 중요성을 언급했습니다. 그는 "상품에 맞춰 관광객을 유치하는 게 아니라 여행객의 요구를 디테일하게 반영한 맞춤형 상품이 이목을 끌 수 있다"며 "인터파크트리플이 유리한 포지션에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인터파크트리플은 패키지여행의 다양성과 자유도를 높여 한국 여행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킨다는 의도입니다. 하지만 아무리 좋은 상품이어도 가격이 너무 비싸면 관광객을 유치하는 데 한계가 생기기 마련입니다. 이 또한 인공지능(AI)을 바탕으로 적절한 가격을 산정할 수 있다는 설명입니다.
최 대표는 "대규모의 볼륨 경제가 작동하도록 하는 AI 기반의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다"며 "첨단 기술력이 뒷받침하고 인터파크트리플과 야놀자가 가지고 있는 상품 경쟁력을 활용한다면 우리는 최적의 합리적인 가격대를 만들어낼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