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문승현 기자ㅣ올 들어 금융그룹 가운데 최고의 실적을 내면서 '리딩뱅크' 탈환을 노리고 있는 신한금융이 차기 회장 후보로 진옥동 현 신한은행장을 낙점한 것은 '이변'과 '파격'으로 요약됩니다.
코로나19라는 전대미문의 위기국면은 지나고 있지만 한치 앞도 내다볼 수 없는 국내외 금융환경 변화와 가속화하는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이라는 불확실성의 한복판에서 신한금융은 60대 초반의 새롭고 유연한 리더십을 선택했습니다.
1961년생(전북 임실)으로 서울 덕수상고를 졸업한 진옥동 행장은 '상고 출신' 말단 은행원에서 은행장을 거쳐 국내 유수의 금융지주 수장에 사실상 올라서며 스스로 입지전적의 주인공이 됐습니다.
또 신한은행에 입행해 그룹 회장직을 연임한 '정통 신한맨' 조용병 현 회장과 달리 진옥동 행장은 기업은행 입행 후 신한은행으로 이적했다는 점에서 신한금융의 차기 회장 후보 발탁은 '파격'으로 여겨지기도 합니다.
진옥동 행장은 1986년 11월 신한은행에 들어와 인력개발실 등 부서에서 일하다 1997년 7월 일본 오사카 지점 차장으로 발령나면서 5년여 일본에서 경력을 쌓았습니다.
이후에도 일본 SH캐피탈 사장을 2004년과 2011년 두차례나 지냈고 신한은행 오사카지점장, SBJ은행 대표이사 부사장 및 사장을 역임하며 신한은행의 대표적인 '일본통'으로 이름을 알렸습니다.
2017년 한국으로 돌아와선 신한은행 부행장에 이어 신한금융지주 부사장에 오르는 기염을 토했습니다. 2019년 3월부터는 신한은행장으로서 코로나 시기 안정적인 경영과 위기관리능력을 입증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신한금융지주 회장후보추천위원회(회추위)는 진옥동 행장을 차기 대표이사 회장 후보로 추천하면서 "신한은행장으로 근무하며 리딩뱅크로서 지위를 공고히하고 지속적인 성과창출 기반을 마련했다"며 "사상 최대 실적을 연이어 달성하는 경영능력과 함께 코로나 위기상황에서도 탁월한 위기관리역량을 보여줬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