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지난해 오피스텔 매매 실거래가 총액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가계대출 규제와 기준금리 인상 등으로 아파트 매매시장이 위축되며 아파트를 대체할 수 있는 상품으로 방향을 트는 풍선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21일 직방이 국토부 실거래가의 전국 오피스텔 매매거래와 관련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오피스텔 매매 실거래가 총액은 13조6476억원으로 지난 2006년 실거래가 발표가 진행된 이후 최대치인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전년인 2020년 10조6028억원과 비교하면 28.7% 증가한 수치입니다.

오피스텔 거래당 평균가격은 2억1882만원으로 2020년 2억1709만원 대비 170만원이 증가했으며, 거래량은 6만2369건으로 전년 4만8860건과 비교해 27.7%가 늘어났습니다.
권역별 거래총액을 살펴보면 아파트 값이 크게 뛰어오른 수도권이 가장 두드러지게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수도권 오피스텔 거래총액은 11조1526억원으로 전년 대비 34.6%가 뛰며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습니다. 지방 광역시는 1조6561억원, 나머지 지방은 8389억원으로 전년보다 각각 8.7%, 5.7% 늘었습니다.

권역별 거래량 또한 수도권이 4만6212건으로 전년 대비 36.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며 거래총액 증가세와 비례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거래당 평균가격은 2억4134만원으로 조사되며 2020년 2억4495만원보다 약간 줄은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아파트 대체상품으로 인식되는 데다가, 지속적으로 규제가 늘고 있는 아파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규제가 적다는 장점으로 인해 거래수요가 늘은 것으로 보인다”며 “주택담보대출 규제를 받지 않아 LTV 70%까지 대출이 가능한 것도 영향으로 작용했을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그러면서 “단, 최근 5년간 새로 입주한 오피스텔이 60만실 이상이라 공급에 대한 부담이 가중되고 있고,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강화나 기준금리 인상 등이 예상돼 인기가 계속될지는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