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김용운 기자ㅣCJ제일제당[097950]이 지난해 4665명을 대상으로 약 8만3000건의 식단과 26만건의 조리 방법·메뉴를 빅데이터로 분석∙조사해 '2022 식문화 트렌드 전망'을 2일 발표했습니다.
'식문화 트렌드 전망'에 따르면 올해 핵심 키워드는 ▲초(超)편리(Less effort) ▲개인화(Individual) ▲푸드테크(Food Tech) ▲지속가능성(ESG)이 꼽혔습니다.
먼저 올해 식문화 변화의 선두에는 '초(超)편리(Less effort)'에 대한 소비자들의 니즈가 밑바탕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코로나19이후 간편한 집밥에 익숙해진 소비자들이 늘어난데다 잠정적인 위드코로나 정책으로 학생들의 등교율과 직장인의 회사 근무 빈도의 증가로 조리부터 식사까지 시간과 수고를 더 줄여주는 '초 편리한 제품'에 대한 선호가 뚜렷해질 가능성이 크다는 것입니다.
실제로 CJ제일제당이 지난해 진행한 ‘가정간편식(HMR)에 대한 인식과 식사 마련법’ 조사(1,000명 대상)에 따르면, ‘코로나 이후 HMR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게 됐다’는 응답자는 71.9%였습니다. HMR을 활용한 식사도 1인당 연 평균 225.5끼에서 236.5끼로 11끼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유로는 ‘조리 및 취식 간편성’이 57.3%로 가장 높았습니다.
이와 함께 '개인화'에 따른 개인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시장이 급부상할 가능성이 커졌다는 전망입니다. 코로나19 이후 일상 속 면역과 건강 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데다 중장년층을 벗어나 MZ세대도 자신을 위한 투자로 건강기능식품 구매에 나서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식품기업부터 스타트업까지 개인 맞춤형 건강식품 시장에 집중하는 한 해가 될 확률이 높아졌습니다.
친환경 기술을 기반으로 한 '푸드테크'도 올 한해 주요한 트렌드로 부상한다는 전망입니다. 신(新)기술 집약체로 불리우는 '대체육', '배양육', '친환경 조미소재' 등이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CJ제일제당은 지난해 비건 인증을 받은 100% 식물성 ‘비비고 플랜테이블 만두’를 출시했고 농심은 식물성 재료로 만든 음식만 제공하는 비건 레스토랑을 오픈할 예정입니다. SK도 1000억원대 펀드를 조성해 대체식품 시장 공략에 나섰습니다.
마지막으로 식문화 트랜드에도 'ESG'를 반영한 환경을 위한 제품이 구매 기준이 될 것이란 전망입니다. 젊은 세대들의 윤리적·친환경 제품 소비가 늘면서 재활용이 손쉽고 플라스틱 저감 노력이 담긴 제품들의 출시가 더욱 더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푸드 업사이클링도 새로운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다. 콩비지, 깨진 쌀 등 버려지는 것들이 당연했던 식품 부산물로 만든 친환경 제품들이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임영하 CJ제일제당 트렌드인사이트팀 팀장은 "일상 회복이 기대되는 올해 식문화 트렌드에는 보다 편리하게 건강과 취향을 챙기고,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해 기업과 소비자가 함께 노력하는 모습이 담길 것"이라며 "빠르게 변화하는 소비 트렌드를 먼저 읽고 이에 부합하는 제품과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선보이는 기업이 시장에서 더 주목을 받을 것이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