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정석규 기자ㅣ“서민·취약계층의 실수요대출에는 충분한 한도와 인센티브를 부여하겠다.”
정은보 금융감독원장은 5일 명동 은행회관에서 연구기관장들과 간담회를 갖고 금융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을 강조했습니다.
정 원장은 “개인사업자의 영업실적을 분석한 결과 코로나 장기화로 폐업 위기에 놓인 사업자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금융회사는 건전성 관리를 강화해야 하고, 정부와 금융당국은 취약 소상공인을 위한 맞춤형 지원방안을 지속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정 원장은 차주 단위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확대 등의 규제 필요성을 언급하면서도 서민과 취약계층을 대출 지원은 빼놓지 않았습니다.
정 원장은 “상환능력에 기반한 대출 관행을 정착시키고 가계대출 증가세를 코로나 이전 수준인 4%~5%대로 관리하겠다”면서도 “코로나19 장기화로 폐업 위기에 놓인 사업자가 늘어난 만큼 취약 소상공인을 위한 맞춤형 지원방안을 지속할 필요가 있다”고 부연했습니다.
정 원장은 “이를 위해 프리워크아웃·채무재조정 제도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은행·유관기관과 연계한 소상공인 경영컨설팅 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정 원장은 부동산 시장에 대해 우려를 표하며 “금리 인상으로 부동산시장이 조정될 경우 금융시장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정 원장은 “지난 수년간 저금리 기조가 이어지면서 부동산시장으로 많은 자금이 유입돼 부동산금융 익스포져가 작년 9월 기준 2488조 원에 이른다”며 “금융회사가 보유한 부동산 관련 자산에 대해 충당금을 충분히 적립해야 하는 만큼 투자손실을 적시에 평가해 손실흡수 능력을 높여 나가도록 조치하겠다”라고 말했습니다.
정 원장은 금리 상승기를 맞이해 단기 금융시장에 대한 리스크 관리 강화도 주문했습니다.
정 원장은 “시장금리가 예상보다 빠르게 상승할 경우 머니마켓펀드(MMF)·환매조건부채권(RP)·기업어음(CP) 등 단기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며 “비은행권 금융회사의 유동성 리스크에 문제가 생길 수 있는 만큼 유동성 영향과 업권 간 전이 가능성 등을 폭넓게 점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한편 이날 간담회에는 ▲박종규 금융연구원장 ▲신진영 자본시장연구원장 ▲안철경 보험연구원장 ▲김남수 삼성글로벌리서치 부사장 ▲허용석 현대경제연구원장 ▲김영민 LG경영연구원장 등이 참석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