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이승재 기자ㅣKT가 현대엘리베이터와 손잡고 승강기의 AI·로봇 등 4차 산업 기술을 적용하기 위해 힘씁니다.
KT(대표 구현모)는 29일 현대엘리베이터와 함께 ‘엘리베이터 DX(디지털혁신) 사업 확대’를 위한 MOU(업무협약)를 체결하고, 양사가 보유한 기술 교류를 통해 AI·로봇을 연계한 엘리베이터 DX 신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날 협약식에는 박종욱 KT 경영기획부문장 사장과 송승봉 현대엘리베이터 대표를 비롯해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습니다.
기존 속도 경쟁에 치중했던 엘리베이터 산업은 AI(인공지능)를 비롯한 IT기술의 발달로 ‘차세대 모빌리티’로 자리매김하며 시장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이번 협력을 통해 KT와 현대엘리베이터는 AI기반의 엘리베이터 제어 솔루션과 자율주행 로봇의 엘리베이터 연동 솔루션 등 다양한 엘리베이터 DX 서비스에 대한 공동 개발에 나섭니다.
음성 인터페이스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으로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것은 물론 자율주행 로봇이 스스로 엘리베이터를 타고 목적지까지 배달하는 등 다양한 서비스를 실생활에 적용 확대할 예정입니다,
향후, 안면인식 기술 및 빅데이터 등을 바탕으로 실시간 승객 현황을 분석해 조명 조절·음악 및 미디어 콘텐츠 제공 등 개인 맞춤형 서비스도 제공한다는 방침입니다. 또 데이터 분석을 통한 ▲운행 효율 증대 ▲선제적인 유지관리 ▲보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IT기술 접목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양사는 오는 9월 중 기축 아파트를 대상으로 기가지니를 이용해 엘리베이터를 호출하는 서비스 ‘AI-리프트(LIFT)’ 서비스를 상용화할 계획입니다.
아울러, 기존 호텔에 적용돼있는 AI 로봇을 엘리베이터와 연동해 아파트·병원·상가 등으로 확대할 방침입니다. 또한 엘리베이터 DX 사업 확장을 위한 긴밀한 마케팅 협력도 추진할 복안입니다.
송승봉 현대엘리베이터 대표이사는 “엘리베이터와 IT기술 융합으로 고객에게 효율성과 편리성, 안전성을 제공하는 미래 엘리베이터(Vertical e-Mobility) 제품 및 서비스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며 “이는 그간 정체되었던 승강기 산업에 새로운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박종욱 KT 경영기획부문장은 “업계 1위 현대엘리베이터의 원격관리 기술과 KT의 디지털 플랫폼기술 융합을 통해 엘리베이터 DX 분야에 새로운 경쟁력을 갖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앞으로도 KT 핵심역량인 AI, Big Data, Cloud 차별화 기술을 활용해 다양한 협력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전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