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이진솔 기자 | 통신사업자를 넘어 종합 ‘디지털플랫폼기업(DIGICO)’으로 변신을 서두르는 KT가 올해 1분기 실적에서 성과를 기록했습니다. 기존 주력 사업뿐만 아니라 비통신 사업이 성장세를 타며 두 자릿수 영업이익 증가가 이뤄졌습니다. 올해 연매출 목표치인 25조원 이상도 달성 가능하다는 자신감을 보였습니다.
KT(대표 구현모)는 11일 올해 1분기 실적발표 이후 이어진 컨퍼런스콜(다자간 전화 회의)에서 “무선 서비스 매출 4% 가이던스(목표치)는 현재도 유효하다”며 “5G가 대중화되며 높은 ARPU(가입자당평균매출) 가입자가 늘어나고, 부가서비스와 추가 매출 발굴로 연간 매출 가이던스 4%를 달성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날 KT는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매출이 6조294억원, 영업이익이 4442억원이라고 공시했습니다.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4%, 15.4% 증가했습니다. 특히 영업이익은 2017년 2분기 이후 최대 규모입니다.
핵심 사업인 통신 부문 성장과 플랫폼 사업, 그룹사 실적이 모두 균일하게 성장한 결과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습니다. 통신 사업은 5G와 기가 인터넷 가입자 증가로 매출이 늘었습니다. 여기에 AI·DX 및 IDC(데이터센터) 사업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비대면 수요가 늘며 성장세를 나타냈습니다.
주주환원 정책에 대해서도 “배당성향 50%는 유효하다”며 “별도 매출 기준 당기순이익 50% 주주환원 정책은 투자자와 주주에게 한 약속으로 계속 지켜나갈 예정이다”라고 했습니다.
KT는 자사주 소각 계획은 현재까진 없다고 밝혔습니다. KT는 “현재 자사구 소각은 검토하고 있지 않다”며 “사업 경쟁력 강화나 시너지 창출을 위한 제휴 등에 활용하는 방안으로 검토할 계획”이라고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