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안정호 기자ㅣ최근 전셋값이 천정부지로 치솟아 현 전셋값이 3년 전 매매가를 넘어서고 있고 전세 품귀현상마저 지속되자 오히려 내 집 마련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습니다.
5일 KB부동산리브온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은 2018년 이후 현재(올해 2월 기준)까지 3년간 무려 27.7% 올랐습니다. 현재 전세수급지수도 170.4에 달합니다. 비싼 전세금을 지불할 의향이 있더라도 전셋집을 구하기가 쉽지 않다는 뜻입니다.
국토부 실거래가 자료를 살펴보면 현재 전셋값이 3년 전 매매가격을 넘어선 단지들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서울 은평구 진관동에 위치한 ‘은평뉴타운 박석고개 힐스테이트 1단지’ 전용 59㎡A형은 올해 2월 전세금 6억2000만원(10층)에 세입자를 맞이했습니다. 동일 주택형은 불과 3년 전만 해도 5억원 중후반 대로 내 집을 장만할 수 있었습니다. 실제, 동일주택형이 2018년 4월 5억5500만원(10층)에 거래된 바 있습니다.
경기도 성남시 중앙동에 ‘중앙동 힐스테이트 2차’ 전용 84㎡형은 지난 1월 6억5000만원(15층)에 전세 거래가 이뤄졌습니다. 동일 주택형은 2018년 1월 4억5500만원(15층)에 새주인을 맞이했습니다. 3년 전 매매가에 2억원을 더 지불해야만 전셋집을 구할 수 있는 셈입니다.
지방도 마찬가지입니다. 대구 동구 신천동에 ‘동대구반도유보라’ 전용 59㎡형은 올해 1월 4억원(10층)에 전세계약이 이뤄졌습니다. 반면, 2018년 1월엔 동일 주택형이 분양권 상태로 3억4120만원(10층)에 거래됐습니다.
전세난이 계속되면서 주요 건설사들은 수분양자들의 부담을 덜 수 있는 아파트들을 잇따라 선보이고 있습니다. 대도시 주변 위성도시나 교통호재를 품은 지역에 주택을 대거 공급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포스코건설(대표 한성희)은 오는 6월 경기도 의정부시 복합문화융합단지에 ‘의정부 리듬시티 더샵(536가구)’을 공급합니다. 차량 이용 시 세종~포천고속도로 동의정부 IC를 통해 서울로 빠르게 이동 가능한 곳입니다.
대방건설(대표 구찬우)은 경기도 파주시 운정신도시 A35·37블록에 ‘파주운정신도시 디에트르(809가구)’를 이달 중에 분양합니다. 향후 GTX- A노선 운정역(2023년 개통 예정)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두산건설(대표 김진설, 김진호)·코오롱글로벌(대표 윤창운) 컨소시엄은 경남 김해시 신문동 699-1번지 일대에 ‘김해율하 더스카이시티’를 이 달 중에 분양할 계획입니다. 공동주택 3764가구와 오피스텔 629실 총 4393가구 규모로 이 중 공동주택 1254가구를 일반분양 할 예정입니다. 남해제2고속지선 장유IC를 통해 부산 도심으로 쉽게 이동할 수 있고 부전~마산복선전철의 수혜(2022년 개통 예정)도 기대됩니다.
대우건설(대표 김형)은 경북 경산시 중산동 경산중산지구 C4-1블록에 ‘경산 중산지구 푸르지오(506가구)’ 다음달에 분양할 계획입니다. 대구 도심 수성구와 가까워 출퇴근이 수월하며 대구도시철도 2호선 사월역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김병기 리얼하우스 팀장은 “분양시장은 기존 부동산시장과 달리 초기 비용부담이 적기 때문에 진입장벽이 비교적 낮다”며 “특별공급과 1·2순위 청약 모두 무주택자들에게 우선권이 부여된 다는 점도 전세수요자들의 매수심리를 자극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